1. 구리는 철보다 녹는점이 낮다 |
|
구리는 철에 비해 빛깔이 좋고 원하는 모양을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지표면에서 낮은 곳에 매장되어 있어 금속 중에서 가장 |
먼저 이용되었다. 하지만 구리는 국한된 곳에만 매장되어 있어 광범위한 전파가 어려울 뿐아니라 한반도에는 구리가 귀한 편이라 귀중품으로 유통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비하면 철은 구리보다 훨씬 강하고 철광 또한 여러 곳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원료를 구하기 쉬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철을 사용하지 못한 것은 두 금속의 녹는 점이 달랐기 때문이다. 구리는 철에 비해 훨씬 무른 금속으로 800도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잘 녹았다. 하지만 철은 이보다 높은 1천도 내외의 온도에서만 녹았으며 강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1500도까지 온도를 올려야했다. 구리에 비해 거의 두배 가까이 높은 온도에서만 가공이 가능 했던 것이다. |
|
|
|
2. 청동기는 북방에서, 철기는 중국에서 |
|
우리 나라의 청동기 문화는 두 차례에 걸쳐 성격이 다른 형태로 흘러들어왔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베리아 계통의 북방계 청 |
동기 문화가 먼저 들어오고 뒷날 중국계 청동기 문화가 철기와 함께 들어왔다고 한다. 북방계 청동기의 특징은 아연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과 동물 문양의 청동기가 다수라는 점이다. 이는 우리나라 청동기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계 청동기는 화중 지방을 진원지로 발해 연안을 거쳐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반면 철기는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 B.C 4세기경의 춘추 전국 시대와 2세기 경의 진·한 교체기에 중국에서는 정치적 혼란기를 틈타 한반도로 건너오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들에 의해 중국의 청동기가한반도에 전해졌는데 1차 이주민들에 의해 처음으로 전해지고 2차 유이민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수용된 것으로보인다. 그렇다면 중국은 어떻게 철기를 사용하게 되었을까. 중국의 철기는 히타이트 족에 의해 사용된 청동기가 중동과 서아시아를 거쳐 전해졌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그들 문화가 전해지는 관문격이었던 진나라가 철기 문화를 가장 먼저 받아들여 춘추전국을 통일하게 된 것도 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
|
자 료 명 |
반달돌칼 |
|
반달 돌칼로 수확하는 모습 |
|
|
자료 설명 |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인 반달돌칼과 돌낫 |
|
|
자 료 명 |
동검은 찌르는 무기, 철검은 베는 무기 |
|
|
자료 설명 |
비파형 동검이나 세형 동검의 단면은 정확한 +자형은 아니지만 비교적 +자형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는 동검 자체가 튼튼하지 못하여 검의 가운데에 형태를 지탱해주는 지주를 설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 더 큰이유는 동검이 살상용으로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형으로 만들어진 동검은 물체를 찌르고 다시 빼기 쉬울 뿐만 아니라 상대가 생명체일 경우에는 심각한 타격을 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는 동검이 상대를 찔러 상해를 입히는 무기였음을 입증하는것이다. 반면 철검은 찌르기 보다는 베는 것을 주용도로 만들어졌다. 동검과는 달리 강도가 강한 철검은 찌르는 것보다 상대 신체의 일부를 베어 버림으로써 동검보다 더 심각한 상처를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
|
|
자 료 명 |
거푸집(주물틀) |
거푸집 |
|
자료 설명 |
청동기 철기 제품의 독자적인 생산 |
|
|
자 료 명 |
중국과의 교류 - 붓과 명도전, 오수전 |
|
|
|
자료 설명 |
경남 창원의 다호리에서 출토된 붓은 옻칠을 한 필대의 양쪽 끝에 붓이 달려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필모(筆毛)는 없어져 버리고 붓대만 남게 되었다. 초 기 철기 시대의 유적지에서 붓이 출토되는 것은 당시의 사람들이 중국과 교류하며 중국식 한자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나라 각처에서 출토되는명도전을 통해서는 당시 한반도가 중국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전국 7웅 중의 하나였던 연나라는 요서 지역에 자리잡고 있던 나라로 B.C. 3세기경 고조선과 세력을 다투었던 나라이다. 물론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명도전 뿐만 아니라 진나라의 화폐인 반량전이나 한나라의 화폐인 오수전까지도 출토된다. |
|
|
|
|
|
|
자 료 명 |
거울 |
거친무늬 거울(철기 시대) |
|
|
|
|
자 료 명 |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검 |
|
|
세형 동검(철기 시대) |
|
|
|
자 료 명 |
고인돌 |
탁자식 고인돌 |
|
|
자료 설명 |
청동기 시대의 무덤 |
|
|
자 료 명 |
바위그림(암각화) |
|
고령 양전동 암각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