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 일본 원정 동원(2회) : 인적?물적 자원 수탈, 원정 실패, 정동행성 설치
※ 정동행성 : 몽골이 일본 원정 위해 설치했으나 원정실패 후 고려의 내정 간섭 기구화
(2) 영토 축소 : 쌍성 총관부(철령 이북 땅 직속령 편입, 공민왕 때 무력 탈환), 동녕부(자비령 이북, 충렬왕 때 반환), 탐라 총관부 (삼별초 항쟁 진압 후 설치, 목마장 설치, 충렬왕 때 반환)
(3) 관제 격하 : 원 공주와 결혼(부마국), 2성 6부 → 1부 4사
(4) 내정 간섭 : 정동행성(일본 원정기구→연락 내정간섭기구), 만호부(군사조직에 영향력), 다루가치 (감찰관, 공물 징수, 내정간섭 관리)
(5) 경제적 수탈 : 공녀, 응방, 특산물(금, 은, 인삼 등) 등 막대한 조공 징발 → 농민 고통 가중(6) 결과 : 고려의 자주성 손상. 비정상적 정치운영(원의 압력과 친원파의 책동)
(6) 결과 : 고려의 자주성 손상. 비정상적 정치운영(원의 압력과 친원파의 책동)
|
|
|
|
|
|
|
2. 공민왕의 개혁 정치와 신진 사대부의 성장
|
|
|
|
(1) 권문세족의 성장 : 원 간섭기에 성장, 농장·노비확대→모순 심화 → 신진관료중심 개혁추진
(2) 공민왕의 개혁정책(원·명교체기)
|
|
|
|
① 반원 자주정책(대외) : 친원세력 숙청,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성 총관부 수복, 관제 복구, 몽골풍속 금지, 요동지방 공략
② 왕권강화 정책(대내) : 권문세족 압박, 정방 폐지, 전민변정도감 설치 → 권문세족 경제 기반약화, 국가재정수입 기반확대
③ 실패 : 원의 압력, 권문세족 반발, 공민왕 시해, 신진 사대부 미약 |
|
(3) 신진 사대부의 성장 - 공민왕의 개혁추진 과정에서 정계진출 확대
|
|
① 성격 : 무신집권기(최우)이래 과거로 진출, 지방 향리 자제, 유교적 소양(성리학) 토대, 공민왕 때 정치세력화, 권문세족 대 토지 소유 비판, 불교 폐단 시정1. 삼국의 정치적 발전
② 한계 : 국가의 공적 기능 강화, 관직 진출 제한 → 적극적 개혁 추진 불가
|
|
|
|
|
|
|
(1) 고려말 상황 : 권문세족의 농장확대, 정치기강 문란,
홍건적, 왜구 침입 : 최영과 이성계의 전과 → 국민 신망 얻음
(2) 이인임 일파 축출(우왕) → 요동 정벌 : 명의 철령 이북지역 차지, 최영이 이성계를 시켜 요동정벌 단행 → 위화도 회군(1388) : 이성계의 실권 장악(최영 제거), 본격적 개혁 계기
(3) 전제 개혁 단행 : 급진개혁파 사대부, 과전법(권문세족 몰락, 신진 사대부의 경제기반 마련)
(4) 조선의 건국(1392) : 이성계와 급진개혁파 사대부에 의해 온건 개혁파 제거 → 고려 멸망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