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양의 근세
: 명(전통 한문화 회복, 서민생활 향상, 대외 팽창), 이슬람 세게(오스만제국, 티무르제국, 무굴제국), 일본(무로마치 막부의 수립 → 전국시대 → 에도막부)
(2) 서양의 근세 : 르네상스, 유력 무역의 중심 이동(지중해 → 대서양), 상업혁명, 자본주의의 발전, 중산주의 정책, 종교개혁(루터
파, 칼뱅파, 영국 국교회, 예수교)
근세
사회의 성립
1. 조선의 건국
(1) 위화도 회군 : 신진 사대부 실권 장악, 본격적인 개혁의 계기 마련
(2) 신진 사대부 분열 : 온건 개혁파(점진적 개혁추진), 급진 개혁파(역성혁명 주장)
→ 급진 개혁파의 온건 개혁파 제거 → 도평의사사 장악 → 조선 건국
(3)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① 태조 : 한양천도, 도성 축성, 궁궐, 종묘 등 건설 → 도읍의 기틀 마련
※ 정도전 : 민본적 통치규범 마련, 재상중심 정치, 불씨잡변→불교비판, 성리학 통치이념확립
② 태종 : 국왕중심 통치체제의 정비 - 6조직계제, 사간원 독립,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설치
국가경제기반 안정 - 양전사업·호구파악, 호패법, 사원의 토지 몰수 등
군사력 강화 - 사병혁파, 친위군사 확대
2. 유교 정치의 실현과 문물 제도의 정비
(1)세종 : 유교정치의 실현 - 집현전(정책연구) 설치, 의정부 서사제, 재상등용→왕권·신권 조화
국가행사의 유교식 거행, 주자가례의 시행 장려, 왕도정치→유교적 민본사상 실현
(2) 문물 제도의 정비
① 세조 : 6조 직계제, 경국대전 편찬 시작, 집현전, 경연 폐지
② 성종 : 문물제도 정비, 홍문관 설치, 경연 부활, 경국대전 반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