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제 활동 |
|
 |
|
|
|
|
1. 경제 기반
: 상속 받은 토지와 노비, 관료가 되어 받은 과전과 녹봉 |
|
(1) 과전 : 생산량의 1/10을 조세로 징수
(2) 녹봉 : 1년에 두 번씩 곡식이나 비단을 지급 받음
(3) 자기 소유지(
|
2. 토지 확대 : 권력ㆍ고리대를 이용해 농민의 토지 약탈ㆍ매입, 개간 → 농장 형성
|
|
3. 귀족의 생활 : 많은 수입을 바탕으로 화려한 생활을 즐김
|
|
(1) 문벌 귀족이나 권문 세족은 큰 누각과 별장을 짓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함
(2) 외출 시에는 시종을 거느리고, 중국에서 수입한 차를 다점에서 즐김
|
|
|
민전) : 노비를 이용해 경작, 소작을 준 경우에는 생산량의 1/2 수취
(4) 노비의 신공 : 외거 노비에게 매년 베나 곡식을 수취
|
|
|
|
|
|
|
(1) 토지 경작 : 자영농은 민전 경작, 소작농은 국ㆍ공유지나 다른 사람의 소유지 경작
(2) 기타 : 품팔이, 부녀자의 삼베ㆍ모시ㆍ비단 짜기
|
|
|
|
2. 경작지의 확대 노력 |
|
(1) 황무지 개간 : 국가에서 일정 기간 소작료나 조세 감면
(2) 진전 개간 : 주인이 있으면 소작료 감면, 주인이 없으면 개간한 사람의 토지로 인정
(3) 12세기 이후 연해안의 저습지ㆍ간척지 개발 : 강화도 지방을 중심으로 간척 사업 추진
(4) 수리 시설의 발달 :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 개축, 소규모 저수지 확충 |
|
|
|
(1) 농기구ㆍ종자 개량,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 일반화, 시비법 발달 → 휴경지 감소
(2) 밭농사에서의 2년 3작의 윤작법 보급, 논농사에서의 이앙법 보급(고려말 남부 일부 지방) |
|
4. 고려 후기 농업 : 이암이 중국 농서인 농상집요 소개, 문익점은 목화씨를 가져와 목화 재배가 가능하게 함
|
|
|
|
|
|
(1) 전기 : 관청ㆍ소 수공업 중심
(2) 후기 : 유통 경제의 발전 → 사원ㆍ민간 수공업 발달(후기)
|
|
|
|
(1)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기술자를 공장안에 등록(농민을 부역으로 동원으로 보조하게 함)
(2) 무기류, 가구류, 금은 세공품, 견직물, 마구류 등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물품 생산
|
|
|
|
3. 소 수공업 : 금, 은, 철, 구리,실, 각종 옷감, 종이, 먹, 차 생강 등을 생산 → 공물로 납부 |
|
|
4. 민간 수공업 : 농촌의 가내 수공업 중심, 자급ㆍ공물을 위해 삼베, 모시, 명주 등 생산 |
|
|
5. 사원 수공업 : 기술 좋은 승려와 노비가 베, 모시, 기와, 술, 소금 등을 생산 |
|
|
|
|
|
1. 도시 상업 |
|
(1) 시전 설치 : 개경에 설치 → 관청과 귀족들이 이용
(2) 관영 상점 : 개경ㆍ서경(평양)ㆍ동경(경주) 등 대도시에 설치 → 서적점, 약점, 다점
(3) 비정기적 시장의 설치 : 도시 거주민의 일용품 매매
(4) 경시서 설치 : 상행위 감독 기관 |
|
2. 지방 상업
|
|
(1) 시장 개설 : 관아 근처에 쌀, 베 등 일용품을 서로 바꿀 수 있는 시장을 개설
(2) 행상의 활동 : 베나 곡식을 받고 소금, 일용품 등을 지방 시장에서 판매
(3) 사원의 상행위 : 곡물과 승려나 사원 노비가 만든 수공업품 민간에 판매 |
|
3. 고려 후기의 상업 발달 : 시전 규모 확대, 업종별 전문화 |
|
(1) 개경 상업 : 상업 활동의 도성 밖 확대 → 벽란도를 비롯한 항구들이 교통로와 산업이 중심지로 발달
(2) 지방 상업 : 행상의 활동 활발, 조운로를 이용한 교역 활발(미곡, 생선, 소금, 도자기 등), 육상로 개척(여관인 원이 상업 활동 |
|
|
|
의 중심지가 됨) |
|
(3) 소금 전매제 시행 → 국가 재정 수입 증대 목적
(4) 농민을 유통 경제에 강제 편입 : 물건 강매, 조세 대납 등
(5) 상인ㆍ수공업자의 성장 : 부 축적 → 관리로 진출
(6) 화폐의 발행 :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발행하기 시작 |
|
|
① 화폐 주조 : 건원중보(성종), 삼한통보ㆍ해동통보ㆍ해동중보ㆍ활구[은병](숙종)
② 한계 : 제한적 유통에 그침(다점ㆍ주점에서만 사용) → 일반 거래에는 곡식과 포 사용 |
|
5. 무역 활동 |
|
1. 무역 발달 |
|
(1) 국내 상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하면서 송, 요 등 외국과 무역 활발
(2) 예성강 어귀의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 |
|
2. 송과의 무역 |
|
(1) 대외 무역에서 가장 큰 비중 차지
(2) 서해안 해로 이용, 왕실ㆍ귀족의 수요품 수입, 종이와 인삼 등 수공업품ㆍ토산물 수출 |
|
3. 거란ㆍ여진과의 무역 : 은 수입, 농기구ㆍ식량 수출 |
|
4. 일본과의 무역 : 11세기 후반 이후 내왕, 수은ㆍ황 수입, 식량ㆍ인삼ㆍ서적 수출 |
|
5. 아라비아(대식국)와의 무역 : 수은ㆍ향료ㆍ산호 수입 → 고려의 이름이 서방 세계에 전파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