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구려, 백제에 비해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한 시기가 늦은 편
(2) 여러 부족의 대표들이 함께 모여 정치를 운영하고 사회를 이끌어 가던 신라 초기의 전통을 오랫동안 유지 → 화백 회의 성립
2. 화백 회의
(1) 성격 : 귀족 합의체 → 만장일치제로 운영됨
(2) 역할 : 귀족들의 단결, 왕권 견제 → 국왕과 귀족 사이의 권력 조절
3. 골품 제도
(1) 성격 : 지배층만의 별도의 신분 제도
(2) 특징 : 골품에 따라 개인의 정치·사회 활동의 범위 제한, 관등의 승진 상한선 규정, 일생 생활 규제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 복색, 수레 등)
4. 화랑도
(1) 기원 : 원시 사회의 청소년 집단
(2) 구성 : 화랑(귀족 자제 출신), 낭도(귀족 또는 평민 출신)
(3) 역할 : 인재 양성, 여러 계층이 같은 조직 속에서 일체감을 갖고 활동
→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을 조절 완화
(4) 확대 : 진흥왕 때 국가 조직으로 확대
(5) 계율 : 세속 5계(원광) → 화랑도의 행동의 규범
세속 5계(世俗 五戒)
사군이충(事君以忠) - 임금은 충성으로 섬긴다.
사친이효(事親以孝) - 부모는 효도로 섬긴다.
교우이신(交友以信) - 친구는 믿음으로 사귄다.
임전무퇴(臨戰無退) - 싸움에서는 물러서지 않는다.
살생유택(殺生有擇) - 생명을 죽일때는 가려서 한다.
남북국 시대의 사회
1.통일 후 신라 사회의 변화
1. 삼국 통일의 의의 : 혈연적인 동질성과 문화적 공통성을 바탕으로 우리의 민족 문화가 하나의 국가안에서 발전하는 계기 마련
2. 민족 통합 노력
(1) 백제와 고구려의 옛 지배층에게 신라 관등을 부여 (2) 백제와 고구려 유민을 9서당에 편성력
2. 신라의 민족 통합책
(1) 백제와 고구려의 옛 지배층에게 신라 관등을 부여
(2) 백제와 고구려 유민을 9서당에 편성력
3. 통일 후 변화
(1) 정치
① 국왕 : 왕권의 전제화 → 통일 직후 신문왕의 진골 귀족 세력 일부 숙청
② 귀족 : 진골 귀족 → 최고 신분층으로 중앙 관청의 장관직 독점, 국가의 중대사 결정(화백회의)
③ 6두품 : 학문적 식견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정계 진출 → 국왕 보좌, 진골 귀족 견제, 신분의 제약으로 중앙 관청의
우두머리나 지방의 장관 자리에는 오를 수 없었음
④ 3두품~1두품 : 두품 사이의 구분이 희미해지면서 평민과 동등하게 간주됨
(2) 경제 : 늘어난 영토와 인구 → 100여 년 동안 안정된 사회 유지
2. 발해의 사회 구조
1. 지배층
(1) 왕족(대씨)와 귀족(고씨) 등 고구려계 사람들이 대부분
(2) 중앙과 지방의 중요 관직 차지
2. 피지배층
(1) 말갈인이 대다수
(2) 발해 건국 후 말갈인 중 일부는 지배층이 되거나 촌락의 우두머리가 되어 국가 행정을 보조
3. 사회 모습
(1) 상층 사회 : 당의 제도와 문화를 수용, 당에 유학생을 파견(빈공과 합격)
(2) 하층 촌락 : 고구려나 말갈 사회의 전통적인 생활 모습 유지
3. 통일 신라 말의 사회 모순
1. 신라 말의 상황
(1) 귀족 사회의 모순 :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격화 → 중앙 정부의 통치력 약화
(2) 지방 세력의 성장 : 지방의 유력자들이 무장 조직을 결성하여 호족 세력으로 등장
(3) 농민 몰락 : 귀족들의 농장 확대, 세금 부담 가중, 빈번한 자연 재해 → 소작농, 유랑민, 걸식, 화전민, 노비로 전락
2. 사회 모순의 폭발
(1) 9세기 말(진성 여왕)부터 중앙 정부의 기강이 극도로 문란해짐
(2) 농민 항쟁의 확산 : 원종과 애노의 난(상주)을 시작으로 농민 항쟁이 전국적으로 확산
→ 중앙 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상실됨
통일 이후의 신라 사회
민족 통합 노력
왕권의 전제화
진골 귀족 세력의 약화 6두품의 정치 활동 활발3두품~1두품의 평민화
통일 신라 말기의 사회
사회 기강 문란
왕권의 약화로 인한 왕위 쟁탈전
진골 귀족 세력의 사치 향락 6두품의 반신라 성향 농민 항쟁
(1) 거주 : 금입택이라 불린 저택에서 많은 노비와
사병을 거느림
(2) 수입원 : 지방에 소유한 대토지와 목장, 서민을 상대로 한 고리대업
(3) 종교 생활 : 불교를 적극 후원 → 귀족 출신의 한 여성은 자신의 재산으로 불사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지원하기도 하였음
(4) 사치품 선호
① 아라비아산 고급 향료, 동남 아시아산 거북딱지로 만든 장식품과 고급 목재, 에메랄드
등 진기한 사치품을 선호
② 사치 풍조가 신분 구분을 문란하게 할 상황에 이르자 흥덕왕 때 사치를 금지하는 왕명을
내렸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함
③ 사치 풍조 속에 신라 사람들이 본래 지녔던 소박함과 강인함이 점차 사라짐
4. 평민들의 생활
(1) 평민의 대부분 :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며 근근이
생활
(2) 가난한 농민들 : 귀족의 토지를 빌려서 경작하며 생계를 이어 나감, 귀족에게
빌린 빚을 갚지 못하면 노비로 전락
4. 통일 신라 말의 사회 모순
1. 정치 기강의 문란
(1) 귀족들의 모습 : 정권 다툼과 대토지 소유 확대로
백성의 생활은 더욱 곤궁해짐
(2) 지방 세력의 성장 : 지방의 토착 세력과 사원들은 대토지를 소유 → 유력한 신흥
세력으로 성장
(3) 지방 자영농의 모습 : 귀족들의 농장이 확대되면서 몰락
(4) 농민 부담의 가중 : 중앙 정부의 통치력 약화로 대토지 소유자들이 세금을 부담하지
않는 대신 농민들이 더 많은 세금 부담
(5) 호족의 등장 : 지방 유력자들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무장 조직이 결성되었고,
이들을 아우른 큰 세력가들이 호족으로 등장
2. 농민들의 몰락
(1) 빈번한 자연 재해 : 9세기 이후 자주 발생한
자연 재해로 농민의 처지는 더욱 어려워짐
(2) 정부의 대책 : 수리 시설 정비, 자연 재해가 심한 지역에 조세 면제, 농민
구휼, 해적으로부터 농민 보호 →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고자 노력하였으나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함
(3) 토지를 상실한 농민들의 모습 : 소작농, 유랑민, 걸식, 화전민, 노비로 전락
(1) 배경 : 9세기 말 진성 여왕 때부터 중앙 정부의
기강이 극도로 문란해지고 지방의 조세 납부 거부로 국가 재정이 고갈됨
(2) 농민들의 봉기 : 중앙 정부의 강압적 조세 징수에 대항하여 농민들이 봉기
(3) 농민 항쟁의 확산 : 상주에서 일어난 원종과 애노의 난을 시작으로 농민 항쟁이
전국적으로 확산 → 중앙 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상실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