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신분 구성 : 귀족, 중류층, 양민, 천민
|
|
|
|
(1) 구성 : 왕족, 5품 이상의 고위 관료 → 고려 사회 주도
(2) 지위 : 음서와 공음전의 혜택, 개경에 거주(죄를 지으면 형벌로 귀향), 중첩된 혼인 관계(왕실의 외척) |
|
|
3. 귀족층의 변천
문벌귀족 |
고려 전기 지배 세력 |
무신 |
무신정변으로 집권 |
권문세족 |
정계의 요직 차지, 농장 소유, 음서로 신분 세습, 친원 세력 |
신진사대부 |
성리학 수용, 중소지주층, 과거로 관계 진출, 권문세족과 대립
(사전의 폐단 지적, 구질서와 모슨 비판 사회 개혁과 문화 혁신 추구) |
|
|
|
|
|
|
1. 지위 :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에서 지배 기구의 말단 행정 업무 담당
|
2. 구성 : 잡류, 남반, 향리, 군반, 역리
|
|
잡류 |
중앙 관청의 말단 서리 |
남반 |
궁중 실무 관리 |
향리 |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 |
역리 |
지방의 역(驛)을 관리 |
군반 |
직업 군인인 하급 장교 |
|
|
|
|
3. 특징 : 직역 세습,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음, 과거 응시 자격 부여, 통치 체제의 하부 구조 담당 |
|
4. 향리 |
|
(1) 상층 향리 : 호족 출신으로 호장·부호장 배출, 지방의 실질적 지배층으로 행세
(2) 하층 향리 : 통치 체제의 하부 구조를 맡아 중간 역할을 담당 |
|
|
|
|
1. 구성 : 농업이나 상공업에 종사(주 · 부 · 군 · 현에 거주) → 대부분 농민층
|
2. 농민 : 백정(白丁)으로 국가에 조세 ·공납 · 역의 의무를 부담 |
|
|
백정(白丁) : 백(白)은 없다는 뜻이고, 정(丁)은 성인 남성을 의미하는 글자로, 고려 시대 일반 농민들은 특정한 국역을 담당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에서 백정이라 불렸다. 조선 시대에 도축업에 종사하는 천민을 가르키는 백정과 구별된다. |
|
|
|
3. 특수 집단 |
|
|
(1) 거주 : 양민인 군현민과 달리 특수 행정 구역인 향 · 소 · 부곡에 거주 |
|
(2) 특징 : 신분은 양민이면서도 일반 양민에 비하여 심한 규제를 받음 → 양민에 비하여 더 많은 세금을 부담, 다른 지역으로 이주 |
|
|
금지(소속 집단으로 거주지 제한) |
|
(4) 신분 변동 : 반란을 일으킨 군현을 부곡 등으로 강등 |
|
(5) 유형 |
|
향 |
농업에 종사 |
역 |
육로 교통에 종사 |
부곡 |
진 |
수로 교통에 종사 |
소 |
수공업이나 광업품의 생산에 종사 |
|
|
|
|
|
1. 구성 : 대다수가 노비 |
2. 노비 : 공노비와 사노비로 구분 |
|
|
공노비 |
입역 노비 |
궁중, 관청(중앙·지방)에서 잡역에 종사하면서 급료를 받아 생활 |
외거 노비 |
지방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 → 규정된 액수를 관청에 납부 |
사노비 |
솔거 노비 |
주인집에 살면서 집일을 돌봄 |
외거 노비 |
■ 주인과 따로 사는 노비로 주로 농사에 종사 → 일정량의 신공을 받침
■ 독립된 경제 생활 영위(토지를 비롯하여 자신의 재산 소유, 다른 사람의 토지 소작) → 양민 백정과 비슷한 경제 생활
■ 경제력을 이용하여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음(지위 상승) |
|
|
|
(1) 재산으로 간주되어 국가에서 엄격히 관리
(2) 매매, 증여, 상속의 대상 → 인격적 대우를 받지 못함
(3) 노비 신분 세습(부모 중의 한쪽이 노비이면 그 자식도 노비)
|
|
 |
백성들의 생활 모습 |
|
 |
|
|
|
|
|
1. 기능 : 일상 의례와 공동 노동을 수행하며 공동체 의식을 다짐 |
|
|
|
2. 향도 |
|
|
|
(1) 시작 : 매향 활동을 하는 무리에서 출발 |
|
|
|
매향(매향) : 위기가 닥쳤을 때를 대비하여 향나무를 바닷가에 묻었다가 이를 통해 미륵을 만나 구원받고자 하는 염원을 표현하는 것. 향나무를 땅에 묻는 활동을 매향이라고 하고, 매향 활동을 하는 무리들을 향도라고 하였다. |
|
|
|
|
|
(2) 활동 |
|
|
|
|
① 전기 : 매향을 하고 불상, 석탑, 절 등을 지을 때 주도적인 역할 담당(신앙 조직)
② 후기 : 마을 노역, 혼례와 상장례, 민속 신앙과 관련된 마을 제사 등 공동체 생활을 주관하는 농민 조직으로 발전(협동 조직) |
|
|
|
|
2. 사회 시책과 제도 |
|
|
|
1. 목적 : 농민 생활 안정을 통해 체제 유지 도모
2. 농민 안정책 : 농번기에 잡역 면제, 자연 재해시 조세와 부역을 감면, 고리대로부터 농민 보호(법정 이자율 책정)
3. 권농 정책 : 황무지를 개간하거나 버려둔 땅을 새로 경작하는 경우에 일정 기간 조세를 면제
4. 사회 제도 |
|
사회 제도 |
내용 |
사회 제도 |
내용 |
의창 |
곡물 비치 → 빈민 구제(흉년) |
혜민국 |
의약전담 |
상평창 |
물가 조절(개경, 서경, 12목) |
구제도감·구급도감 |
재해시 백성 구제(임시 기구) |
제위보 |
기금 마련 → 이자로 빈민 구제 |
동서 대비원 |
환자 진료와 빈민 구휼(개경)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