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사상과 신앙
 
1. 불교 정책
1. 태조
 
(1) 불교의 적극 지원 및 유교 이념과 전통 문화도 함께 존중
(2) 불교 장려 : 개경에 여러 사원 건립, 불교 숭상 및 연등회 · 팔관회 성대 개최 당부((훈요10조)
2. 광종
 
(1) 승과 제도 실시 : 승계 수여 및 지위 보장
(2) 국사 · 왕사 제도 실시 : 왕권 위에 위치(상징적 의미) → 불교가 국교의 권위를 가짐
(3) 사원에 토지 지급 및 승려들의 면역 혜택 수여
3. 귀족들의 불교 인식 : 정치 이념인 유교와 배치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음
4. 일반의 불교 인식 : 현세적인 기복 신앙으로 숭상 → 향도(불교 + 토속 신앙, 불교 + 풍수지리설)
     
 
2. 불교 통합 운동과 천태종
1. 불교의 변천 과정 : 균여의 화엄종 유행 · 선종 관심(초기) → 개경에 흥왕사 · 현화사 건립(불교 번창) → 화엄종과 법상종 융성 →
  종파적 분열상 노출(11세기)
2. 의천(문종의 넷째 아들)의 교단 통합 운동
 
(1) 교종 통합 : 흥왕사를 근거지로 화엄종 중심 통합
(2) 선종 통합 노력 : 국청사 창건 → 천태종 창시 → 교관겸수 제창(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아울러 강조)
(3) 새로운 교단 분위기 조성 → 폐단 시정의 적극적 시정 대책 부족 → 의천 사후 교단 분열(귀족 중심의 불교 지속)
 
 
3. 결사 운동과 조계종
1. 결사 운동의 발생 : 불교 본연의 자세 확립 주창
 
(1) 수선사 결사 : 명리에 집착하는 당시 불교계의 타락상 비판 → 독경 · 선 수행 · 노동 중시 개혁 운동 제창 → 송광사 중심의
  수선사 결사 운동의 확대(개혁적 승려와 지방민의 적극적인 호응)
(2) 정혜쌍수(선과 교학이 근본에 있어서 둘이 아니라는 사상 체계) · 돈오점수(꾸준한 수행으로 깨달음의 확인 강조) 의 주장
  → 선교일치 사상의 완성
 
3. 혜심 : 유불일치설 → 성리학 수용의 사상적 토대 마련
4. 요세 : 법화 신앙에 바탕을 둔 백련결사 제창, 수선사 결사와 양립(고려 후기 불교계 선도)
5. 후기 불교 : 막대한 토지 소유, 상업에 관여, 부패 심각 → 신진 사대부의 불교계 사회 경제적 폐단 비판
     
 
4. 대장경 간행
1. 대장경 : 경 · 율 · 논의 삼장으로 구성된 불교 경전의 집대성
2. 초조대장경 :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간행 → 몽골 침입으로 소실
3. 교장 : 의천 주도, 송 · 요 대장경의 주석서 편찬, 신편제종교장총록 제작 및 교장도감 설치 → 4,700여 권의 전적 간행
4. 재조 대장경(팔만대장경) : 고종, 몽고 침입 격퇴 의지, 합천 해인사에 현존(8만 매가 넘는 목판 )
→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대장경으로 꼽힘
 
 
5. 도교와 풍수지리설
1. 도교 : 불로장생 · 현세구복 추구, 초제 성행(국가 안녕 · 왕실 번영 기원), 도교 사원의 건립(예종), 팔관회 개최(도교 + 민간 신앙
    + 불교) → 일관된 체계 미비로 민간 신앙화 으로 전개
2. 풍수지리설
 

(1) 도참 사상과 결합하여 유행
(2) 개경 · 서경 명당설 : 서경 천도 · 북진 정책의 이론적 근거 제공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에 영향 → 북진 정책의 퇴조 → 한양

 

명당설 대두(문종) → 한양의 남경 승격 및 궁궐 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