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 산수화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김홍도의 풍속도
신윤복의 풍속도
강세황의 그림
조영석의 그림
김두량의 그림
최북의 그림
장승업의 그림
민화
이광사와 글씨
김정희의 추사체
동국진체와 추사체
몽유도원도(안견)
고사관수도(강희안)
송하보월도(이상좌)
신사임당의 그림
세한도(김정희)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
화성성역의궤
수원 화성
근정전
경회루
숭례문(한양 남대문)
대동문(평양)
남대문(개성)
해인사 장경판전
원각사지 10층 석탑
도산 서원
소수 서원
청화 백자
옹기
목공예
화각 공예
조선 후기 사원 건축
백자 만드는 법
조선 백자의 발전
판소리의 의미
판소리
신재효
스크롤 기능 켜기
 
문화의 새 경향

4. 진경 산수화와 풍속화


1. 진경 산수화 : 중국 남종 화법 + 우리 고유 화법

 

(1) 우리 자연의 사실적 표현으로 회화의 토착화 마련
(2) 정선 : 인왕제색도, 금강전도는 산수화의 새로운 경지 개척

2. 풍속화 : 당시 사람들의 생활 정경과 일상적인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 → 회화의 폭 확대

 

 

 

(1) 김홍도 :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소탈하고 익살스러운 필치로 묘사 → 밭갈이, 추수, 씨름, 서당
(2) 신윤복 : 양반 부녀자들의 생활과 유흥, 남녀 사이의 애정 등을 감각적이고 해학적으로 묘사 → 단오 풍정

3. 개성적 화풍 : 강세황(서양화 기법), 장승업(강렬한 필법 ? 채색법)
4. 민화 : 민중의 미적 감감 표현, 해, 달, 나무, 꽃, 동물, 물고기 등이 소재 → 소원을 기원하고 생활 공간 장식
5. 서예 : 이광사(동국진체), 김정희(추사체 창안)

 


   

5. 건축의 변화

 

 

 

 

1. 17세기

 

(1) 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양반 지주층의 경제적 성장을 반영
(2)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2. 18세기

 

(1) 부농과 상인의 지원으로 장식성 강한 사원이 세워짐
(2) 논산 쌍계사 · 부안 개암사 · 안성 석남사
(3) 수원 화성 : 정조 때의 문화적인 역량 집약, 방어와 공격을 겸한 성곽 시설, 종합적 도시 계획 아래 건설

3. 19세기 : 경복궁 근정전 ? 경회루(흥선 대원군, 국왕의 권위 고양 목적)

     
 

6. 백자·생활 공예와 음악

1. 자기 공예

(1) 백자가 민간에까지 널리 사용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함
(2) 청화백자의 유행, 청화?철화?진사 등 다양한 안료 사용
(3) 옹기 : 서민들이 주로 사용

2. 목공예 : 장롱, 책상, 문갑, 소반, 의자, 필통 등에서 성행
3. 화각 공예 : 독특한 우리 멋을 풍김
4. 음악 : 음악 향유층이 확대되어 다양하게 발전 → 양반(가사 ? 시조 애창), 서민(민요), 기생과 광대들의 창작(판소리, 산조와 잡

 

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