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세에 묻혀 사는 사람들이여. 이 나의 삶이 어떠한가?
옛사람의 풍류를 미치겠는가, 그렇지 못한가?
천지간에 남자의 몸으로 태어나 나만한 사람 많겠지만
산수(山水)에 묻혀 지내는 지극한 즐거움을 모른다 말인가?
몇 칸짜리 소박한 초가집을 푸른 시냇물 앞에 지어놓고
소나무와 대나무가 울창한 속에서 풍월주인(風月主人)이 되어 살고 있노라.
엊그제 겨울이 지나고 새봄이 돌아오니
복사꽃과 살구꽃은 석양 속에 피어 있고
푸른 버드나무와 향기로운 풀은 가랑비 속에 푸르구나.
칼로 재단해 내었는가, 붓으로 그려냈는가?
조물주의 신비로운 재주가 사물마다 야단스럽구나.
수풀에서 우는 새는 봄기운을 이기지 못해 소리마다 아양을 떤다.
물아일체(物我一體)가 되니, 흥겨움이 다르겠는가?
사립문 앞을 걸어도 보고 정자에 앉아도 보니,
천천히 거닐며 시를 나직이 읊조리는 산 속의 하루가 적적한데
한가로움 속에서 느끼는 참다운 맛을 아는 이 없이 나 혼자로구나.
여보게 이웃 사람들아, 산수 구경 가자꾸나.
산책은 오늘하고 목욕은 내일하세.
아침에 산나물 캐고 저녁에 낚시질하세.
이제 막 익은 술을 갈건(葛巾)으로 걸러 놓고
꽃나무 가지 꺾어 잔 수 세어 가며 마시리라.
봄바람이 문득 불어 푸른 물을 건너오니
맑은 향기는 잔에 지고 붉은 꽃잎은 옷에 떨어진다.
술동이가 비었거든 날더러 알리거라.
심부름하는 아이에게 술집에 술이 있는지 물어
어른은 지팡이 짚고 아이는 술동이 메고
시를 나직이 읊조리며 천천히 걸어 시냇가에 혼자 앉아
고운 모래 맑은 물에 잔 씻어 부어 들고
맑은 물을 바라보니 떠오르는 것이 복사꽃이로다.
무릉도원이 가깝구나. 저 들판이 그곳인가?
소나무 사이로 난 좁은 길에 두견화(杜鵑花)를 붙들고
산봉우리에 급히 올라 구름 속에 앉아 보니
수많은 마을들이 곳곳에 벌어져 있네.
안개에 비친 해는 수놓은 비단을 펼쳐 놓은 듯.
엊그제까지만 해도 거뭇거뭇한 들에 이제 봄빛이 흘러넘치는구나.
공명도 날 꺼리고, 부귀도 날 꺼리니.
맑은 바람과 밝은 달 외에 어떤 벗이 있겠는가.
소박한 시골 생활에도 헛된 생각 아니 하네.
아무튼 평생 누리는 즐거움이 이만한들 어찌하리.
「상춘곡」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泉石膏肓)이 되어, 은서지인 창평에서 지내고 있었는데, (임금님께서) 8백 리나 되는 강원도 관찰사의 직분을 맡겨 주시니, 아아, 임금님의 은혜야말로 망극(罔極)하다.
경복궁 서문인 연추문으로 달려 들어가 경회루 남쪽 문을 바라보며 임금님께 하직을 하고 물러나니, 임금님께서 신표로 주신 옥절(玉節)이 앞에 서 있다. 평구역[양주]에서 말을 갈아 타고 흑수[여주]로 돌아 들어가니, 섬강[원주]는 어디인가? 치악산[원주]이 여기로구나.
소양강의 흘러내리는 물이 어디로 흘러든다는 말인가? 외로운 신하가 임금님 곁을 떠남에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 때문에 생긴) 백발이 많기도 많구나.
동주[철원]에서 밤을 겨우 새워 북관정에 오르니, 임금님 계신 서울의 삼각산 제일 높은 봉우리가 웬만하면 보일 것도 같구나. 옛날 태봉국 궁예왕의 대궐 터였던 곳에 까막까치가 지저귀고 있으니, 너희들은 한 나라의 흥하고 망함을 알고 우는가, 모르고 우는가.
이 곳이 옛날 한(漢)나라에 있던 '회양'이라는 이름과 공교롭게도 같구나. 중국의 회양 태수(太守)로 선정을 베풀었다는 급장유(汲長孺)의 모습을 이 곳 회양에서 다시 볼 수 있지 않겠는가?
감영 안이 무사하고, 시절이 3월인 때에, 화천(花川)의 시냇길이 금강산으로 뻗어 있다. 행장을 다 떨쳐 버리고 돌길에 지팡이를 짚어서, 백천동 곁을 지나서 만폭동 계곡으로 들어가니, 은같은 무지개 옥같이 희고 고운 용의 꼬리처럼 생긴 폭포가 섞어 돌며 내뿜는 소리가 십리 밖까지 퍼졌으니, 멀리서 들을 때에는 천둥소리 같더니, 가까이서 보니 눈이 날리는 것 같구나!
금강대 맨 꼭대기에 사는 선학(仙鶴)이 새끼를 치니 봄바람에 들려오는 옥피리 소리에 선잠을 깨었던지, 흰 저고리 검은 치마로 단장한 학이 반공중(半空中)에 솟아 뜨니, 서호의 옛 주인 임포(林逋)를 반겨서 넘나들며 노는 듯하구나!
소향로봉과 대향로봉을 눈 아래 굽어보고, 정양사 진헐대에 다시 올라 앉으니, 여산같이 아름다운 금강산의 참모습이 여기서야 다 보인다. 아아, 조물주의 솜씨가 야단스럽기도 야단스럽구나. 저 수많은 봉우리들은 날거든 뛰지 말거나 우뚝 서있으면 솟지 말거나 할 것이지, 연꽃을 꽂아 놓은 듯 백옥을 묶어 놓은 듯, 동해를 박차고 오르는 것 같기도 하고 북극성을 떠받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높기도 하구나 망고대여, 외롭기도 하구나 혈망봉이 하늘에 치밀어 무슨 일을 아뢰려고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굽힐 줄 모르는가? 아, 너로구나. 너 같은 이가 또 있겠는가?
개심대에 다시 놀라 중향성(衆香城)을 바라보며 금강산 만 이천 봉우리를 똑똑히 헤아려 보니, 봉마다 맺혀 있고 끝마다 서린 기운, 맑거든 깨끗하지 말거나 깨끗하거든 맑지나 말 것이지, 저 맑고 깨끗한 기운을 흩어 내어 뛰어난 인재를 만들고 싶구나. 생긴 모양도 끝이 없이 다양하고 자세고 많기도 하구나. 천지가 생겨날 때에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이제 와서 보니 조물주의 뜻이 깃들어 있어 정답기도 정답구나!
금강산의 최고봉인 비로봉에 올라 본 사람이 누구이신가? 태산(東山)과 태산(泰山)의 어느 것이 높던가? 노나라가 좁은 줄도 우리는 모르거든, 하물며 넓거나 넓은 천하를 공자는 어찌하여 작다고 하셨는가? 아! 공자와 같은 그 높고 넓은 경지를 어찌하면 알 수 있겠는가? 오르지 못하는데 내려감이 이상할까?
…(하략)…
『관동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