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하기를, “붕당
(朋黨)의 폐단이 요즘보다 심한 적이 없었다. 처음에는 사문(斯文)에서 분란이 일어나더니 지금은 한쪽 편의 사람들을 모조리 역당(逆黨)으로 몰고 있다. 세 사람이 함께 길을 가더라도 그중에 어진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이 있기 마련인데, 어찌 한쪽 편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무리일 리가 있겠는가? 각박하게 대하고서 또 심하게 대해서 유배(流配)보냈다가 다시 찬축(竄逐)
'붕당' 관련자료
죄인을 멀리 귀양 보내어 쫓음
되었으니, 그 가운데 어찌 원한을 품은 사람이 없겠는가? 한 아녀자가 원통함을 품으면 5월에 서리가 내리는데, 더구나 한쪽 편의 여러 신하를 모조리 여러 지방에 내쫓는 데에 있어서이겠는가? 이러한데도 다투고 배척하는 말이 어찌 그칠 수 있겠는가? 우리나라는 본래 한쪽에 치우쳐 있고 작아서 사람을 등용하는 경로 역시 넓지 못한데, 요즘에는 사람을 등용하는 것이 당목(黨目) 안의 사람을 쓰지 않는 경우가 없으니 이렇게 하면서도 공정한 천리(天理)에 부합하고 온 세상의 마음을 복종시킬 수 있겠는가? 옛날에는 조정에서 함께 벼슬하였는데 지금은 어찌하여 전과 같지 않은가? 이를 그만두지 않으면 관복을 입고 조정에 있을 자가 몇 사람이나 되겠는가? 널리 은혜를 베풀어 많은 사람을 구제하는 것은 요(堯)임금과 순(舜)임금도 오히려 부족하게 여겼는데, 더구나 한 나라의 절반이 쓰이지 못하는 것이겠는가? 아! 당당한 천승(千乘)의 나라로서 사람을 등용하는 것이 어찌 이처럼 좁은가? 이쪽과 저쪽이 서로를 공격하여 공평한 말이 막히고 역당(逆黨)으로 지목하여 옥석(玉石)이 구분되지 않으니, 저쪽이 나를 공격할 때에 가려서 하겠는가, 가리지 않고 하겠는가? 충직(忠直)한 사람을 뒤섞어 거론하여 헤아릴 수 없는 죄과(罪科)로 몰아넣는 것은 저쪽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라 이쪽에서 한 말이다. 이것은 바로 속담에서 이른바 ‘입에서 나간 것이 귀로 돌아온다.’라는 것이니, 이렇게 되면 조정이 언제쯤 안정되고 공의
(公議)가 언제 들리겠는가? 당(唐)나라의 유안(劉晏)
'공의' 관련자료
당나라 숙종(肅宗)·대종(代宗)·덕종(德宗) 때까지의 명신
이 황제에게 말하기를 ‘천하의 글자는 모두 바르지만 유독 붕(朋)자만은 바르지 않습니다.’라고 하였으니 바로 오늘날을 두고 말한 것이다. 아! 임금과 신하는 부자(父子)와 같으니 아비에게 여러 아들이 있는데 아비가 아들을 서로 시기하고 의심해 한쪽은 억제하고 한쪽만 취한다면 그 마음이 편안하겠는가, 불안하겠는가? 공경(公卿)과 일반 관리들은 모두 대대로 녹(祿)을 먹은 신하들인데도 나라의 은혜에 보답할 도리를 생각하지 않고 화목하고 친하게 지내는 의리를 생각하지 않으면서, 한 조정 가운데서 공격을 일삼고 한 집안에서 싸움만을 서로 계속하고 있으니 이러면 나라가 장차 어떻게 되겠는가? 지금 해가 바뀌어 새해가 다시금 돌아왔는데, 하늘과 사람은 하나이니 어찌 옛것을 개혁하고 새것에 힘써 새해와 같이 봄을 함께 하는 뜻이 없을 수 있겠는가? 저 귀양을 간 사람들은 의금부(義禁府)에서 그 경중을 참작해 대신(大臣)과 함께 어전(御前)에 나와 관대하게 처결하여 풀어주도록 하고, 전조(銓曹)
(蕩平)하게 거두어 쓰라.
이조와 병조의 합칭
에서는 탕평
'탕평' 관련자료
아! 지금 나의 이 말은 위로는 종사
(宗社)를 위하고 아래로는 조정의 기상(氣象)을 진정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일 혹시라도 의심을 일으키거나 혹은 기회를 삼아 상소
해 다투고 배척하면 종신(終身)토록 금고(禁錮)
을 본받고 전형(銓衡)의 자리에 있는 사람은 이윤(伊尹)이 저자에서 매를 맞는 것처럼 여긴 뜻2)
을 배우도록 하라. 내 말을 공경히 받들어 우리나라를 보존하라.”라고 하였다.
'종사' 관련자료
'상소' 관련자료
과죄(過罪)로 관리에 임용될 자격을 정지시킴
시켜 나라를 함께하지 못할 뜻을 보이겠다.너희 여러 신하는 내가 자신을 잘 수양하지 못하였다고 여겨 소홀히 하지 말고 성인(聖人)께서 잘못한 자를 바로잡는 뜻을 따라 당습(黨習)을 버리고 공평(公平)하기에 힘쓰라. 어찌 단지 나라를 위하는 것일뿐이겠는가? 또한 너희들 조상의 풍격(風格)을 실추시키지 않을 것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는가? 정승의 자리에 있는 사람은 소하(蕭何)가 조참(曹參)을 천거한 뜻1)
1)
소하(蕭何)가 조참(曹參)을 천거한 뜻 : 한(漢)나라 고조(高祖) 때 승상(丞相) 소하(蕭何)에게 혜제(惠帝)가 후임자를 묻자 평소 사이가 좋지 않은 조참(曹參)을 적임자라고 추천한 고사(故事)를 말함.
2)
이윤(伊尹)이 저자에서 매를 맞는 것처럼 여긴 뜻 : 이윤(伊尹)은 은(殷)나라 탕왕(湯王)의 재상. 그는 자기가 모시는 임금이 요순(堯舜)에 미치지 못한 것을 마치 저자에서 매를 맞는 것처럼 부끄러워하였다는 고사(故事)임.
『영조실록』권3, 1년 1월 3일 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