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붕당
이란 이름이 생긴 지는 벌써 오래다. …(중략)… 구양수(歐陽脩)가 붕당을 논한 글을 보면 당·우와 은·주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중략)… 그런데 온 나라 사람이 전부 붕당
에 참여해서 둘·셋·넷으로 나뉘어 200여 년의 오랜 세월을 지나도록 합하지 못하고, 사정과 역순의 분별에 대해서 또한 끝내 말을 밝히고 논의를 세우지 못한 것이 바로 우리나라다. 또 이것은 고금의 붕당
을 통틀어서 더없이 크고 더없이 오래고, 더없이 말하기 어려운 것이라 하겠다. 그 까닭을 생각해 보면 여덟 가지 원인이 있으니, 도학
을 너무 존중하는 풍토가 하나요, 명분을 너무 엄하게 여긴 것이 둘이요, 문사(文詞)가 지나치게 번거로운 것이 셋이요, 형옥(刑獄)이 너무 조밀한 것이 넷이다. 대간
(臺諫)이 너무 준엄한 것이 다섯이요, 관직이 너무 맑은 것이 여섯이요, 벌열(閥閱)이 너무 성행한 것이 일곱이요, 평화로움이 너무 오래 지속된 것이 여덟이다. …(중략)… 이 여덟 가지는 실로 당론의 유래로 그 득실이 서로 같으니 나는 여기에서 어느 당에 치우쳐서 말한 것이 아니다. …(하략)…
'붕당' 관련자료
'붕당' 관련자료
'붕당' 관련자료
'도학' 관련자료
'대간' 관련자료
『당의통략』 원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