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Ⅰ. 중앙의 정치조직1. 중앙의 통치기구4) 중추원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1. 중앙의 통치기구
          • 1) 고려 초기의 정치제도
            • (1) 건국 초기의 정치기구
            • (2) 건국 초기 정치기구의 기능과 권력관계
            • (3) 고려 초기 정치기구의 변화
            • (4) 새 정치기구의 성립
          • 2) 중서문하성
            • (1) 3성의 성립
            • (2) 중서문하성의 단일기구화
            • (3) 중서문하성의 구성
            • (4) 중서문하성의 기능
            • (5) 중서문하성의 변화
          • 3) 상서성
            • (1) 상서성의 조직
            • (2) 상서성의 관원 구성
            • (3) 상서성의 기능
          • 4) 중추원
            • (1) 중추원의 설치
            • (2) 중추원의 구성
            • (3) 승선의 기능
            • (4) 추신의 기능
          • 5) 삼사
            • (1) 삼사의 설치
            • (2) 삼사의 기구 조직
            • (3) 삼사의 기능
            • (4) 삼사의 변질
          • 6) 도병마사
            • (1) 도병마사의 설치
            • (2) 도병마사의 구성
            • (3) 도병마사의 기능
            • (4) 도평의사사로의 개편
            • (5) 도평의사사 기구의 확대
            • (6) 도평의사사의 기능 확충
          • 7) 식목도감
            • (1) 식목도감의 설치와 구성
            • (2) 식목도감의 기능
            • (3) 식목도감의 변질
          • 8) 어사대와 낭사
            • (1) 대간의 설치
            • (2) 대간의 조직
            • (3) 대간의 직능
            • (4) 대간의 정치적 지위
          • 9) 한림원과 문한관
            • (1) 한림원의 설치와 조직
            • (2) 한림원의 기능
            • (3) 한림원의 지위
          • 10) 사와 도감
            • (1) 제사의 조직
            • (2) 도감의 구성과 기능
        • 2. 관직과 관계
          • 1) 관직의 구조
            • (1) 관직의 설치와 구분
            • (2) 재추직과 참상직·참외직
            • (3) 서리직과 권무직
            • (4) 실직과 산직
          • 2) 국초의 관계와 문산계
            • (1) 국초의 관계
            • (2) 문산계
          • 3) 무산계와 향직
            • (1) 무산계
            • (2) 향직
        • 3. 중앙 정치체제의 권력구조와 그 성격
          • 1) 중앙 정치체제의 권력구조
            • (1) 국왕과 재추와 상서 6부
            • (2) 국왕과 재추와 대간
            • (3) 문무양반과 대간
          • 2) 중앙 정치체제의 성격
            • (1) 귀족적 성격
            • (2) 고려 제도의 독자성
            • (3) 조직의 미분화성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1.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와 그 구조
          • 1)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
            • (1) 국초(태조-경종대)
            • (2) 성종대의 지방제도 정비
            • (3) 현종대의 지방제도 정비
            • (4) 예종대의 지방제도 정비
            • (5) 명종대 이후의 지방제도 운영실태
            • (6) 공민왕대 이후의 지방제도 정비
          • 2) 지방 통치조직의 구조
            • (1) 영속관계
            • (2) 계수관과 영현
            • (3) 주목 중심의 도와 안찰사
            • (4) 일원적 지방 통치조직의 진전
        • 2. 군현제도
          • 1) 경·도호부·목과 군현
          • 2) 특수행정조직-향·부곡·소·장·처·역-
          • 3) 촌락의 구조
          • 4) 향리와 기인 및 사심관
        • 3. 지방의 중간 통치기구
          • 1) 고려 지방 중간기구의 구조
          • 2) 경기
            • (1) 경기의 성립
            • (2) 경기의 통치제도
            • (3) 경기 통치기구의 개편
          • 3) 5 도
            • (1) 5도안찰사제의 성립
            • (2) 5도안찰사의 통치제도
            • (3) 5도안찰사제의 변화
          • 4) 양계
            • (1) 양계병마사제의 성립
            • (2) 양계병마사의 통치제도
            • (3) 양계병마사의 변동
      • Ⅲ. 군사조직
        • 1. 경군
          • 1) 태조대의 경군
            • (1) 태조대 경군의 규모
            • (2) 태조대 경군의 편제
          • 2) 2군 6위제의 성립
            • (1) 6위와 2군의 설치
            • (2) 2군 6위의 임무와 병력편제
          • 3)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관한 제설
            • (1) 부병제설
            • (2) 군반씨족제설
            • (3) 경·외군 혼성제설
        • 2. 주현군과 주진군
          • 1) 주현군과 농민
            • (1) 주현군의 성립
              • 가. 광군
              • 나. 진수군
            • (2) 주현군의 성격
              • 가. 병종과 배치
              • 나. 보승군과 정용군
              • 다. 1 품군과 2·3품군
          • 2) 주진군과 국방체제
            • (1) 양계의 주진과 주진군
            • (2) 주진군의 조직과 지휘계통
            • (3) 주진군의 임무
            • (4) 주진군 소속의 군인
        • 3. 고려 전기 군제의 붕괴-경군을 중심으로-
          • 1) 경군 붕괴의 원인
          • 2) 별무반의 설치와 그 의의
      • Ⅳ. 관리 등용제도
        • 1. 관리 등용의 여러 방식
        • 2. 과거제
          • 1) 과거제의 도입
          • 2) 과거제의 정비와 변천
            • (1) 예비고시와 본고시의 분화
              • 가. 예비고시=국자감시의 설치
              • 나. 본고시=예부시(동당시)의 설행
            • (2) 복시·친시의 설행
            • (3) 과거 3층제의 성립
            • (4) 무과와 승과 및 제과
          • 3) 고시과목과 고시방법
            • (1) 제술과
            • (2) 명경과
            • (3) 잡과
              • 가. 명법업
              • 나. 명산업
              • 다. 명서업
              • 라. 의업
              • 마. 주금업과 복업
              • 바. 지리업
              • 사. 하론업
              • 아. 3례업·3전업·정요업
          • 4) 응시자격
          • 5) 급제등급과 급제자수
          • 6) 급제자의 초직과 승진
            • (1) 제술과
            • (2) 명경과
            • (3) 잡과
          • 7) 고시관
          • 8) 과거제의 역사적 의의
        • 3. 음서제
          • 1) 음서제도의 성립
          • 2) 음서의 종류와 유형별 분석
          • 3) 음서의 시행시기
          • 4) 음서제도의 운영
            • (1) 음서의 연령
            • (2) 초음관직
            • (3) 탁음자의 관품
            • (4) 음서의 시행 원리와 수혜 인원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중추원의 구성

 고려 중추원의 특징은 2원적 구조라는 데에 있다. 상층부에 추신이 있고 하층부에 승선이 있어 각각 그 기능을 달리하고 있었다. 이것은 마치 중서문하성이 상층부에 재신이 있고 하층부에 낭사가 있어 그 기능을 달리했던 것과 흡사하다. 처음 중추원이 설치된 성종 때에는 使와 副使를 각각 2명씩 두고 여기에 좌우승선을 설치한 단순한 구성이었으나 그 후 점차 여러 관직을 증치하여 문종관제에서는 전형적인 관원 구성으로 정비되었다.

 이제 고려 중추원의 기본적 구성인 문종관제에 나타난 관원 구성을 표로 정리하면<표 9>와 같다. 이 표를 보면 종2품 5인, 정3품 9인으로 참상관이 14인이고, 이 밖에 堂後官 2인, 吏屬 36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중추추원의 직능을 담당한 것은 참상관으로 그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從 2 品 判院事(1)·院使(2)·知院事(1)·同知院事(1)
正 3 品 副使(2)·簽書院事(1)·直學士(1)
正 3 品 知奏事(1)·左右承宣(各 1)·左右副承宣(各 1)
正 7 品 堂後官(2)
吏 屬 別駕(10)·主事(10)·試別駕(2)·令史(2)·記官(8)·通引(4)

<표 9>中樞院의 官員構成(문종관제)

 중추원의 참상관은 품계상 두 층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니, 종2품직과 정3 품직이다. 2품직은 判院事·院使·知院事·同知院事이고 3품직은 副使·簽書 院事·直學士와 知奏事·左右承宣·左右副承宣이다. 고려에서는 일반적으로 2품 이상을 「宰相」이라 하고 3품 이하를 「文武兩班」이라 불렀으므로 동지원사 이상의 2품직과 부사 이하 承宣團의 3품직 사이에는 획이 그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를 의아케 하는 것은 같은 정3품직이면서도 부사 등과 지주사 등을 굳이 구분하였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곧 부사 등은 비록 3품직이지만 추신에 들어가고 지주사 이하는 승선단이기 때문이었다.

 고려의 추신은 품계상 2중성이 있었음이 특징이다. 부사·첨서원사·직학사가 엄연히 정3품직임은 백관지에 명기되고 또 문종조 文武班祿에서 중추원부사·첨서원사·직학사가 같은 정3품인 6부 상서와 함께 300석에 편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부사 등은 추신으로 간주되어 3품 이하 관과는 구별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니, 즉 ‘宰樞·及文武三品以下’라 한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부사 등은 정3품직이면서도 추신에 포함되어 다른 3품직과는 구별되는 지위에 있었던 것이다.0079)

 고려시대에 재추에 포함되는 추신은 동지원사 이상의 종2품직만을 가리킨 것이 아니라 정3품직인 부사 이하 직학사까지도 포함시켰다. 고려에서는 중서문하성의 재신을 「5宰」라 하고 중추원의 추신을 「7樞」라 하여 이들 5宰·7樞가 재추 또는 재상을 구성하였는데 7추는 바로 백관지에 나오는 7개 직인 중추원 판사·지원사·동지원사·부사·첨서원사·직학사로서 그 가운데 부사 이하는 관품상으로는 3품직이지만 동지원사 이상의 2품직과 함께 같은 추신으로서 「宰樞兩府」에 들어가 議政에 참여하였다. 2품 이상관을 재상이라 翰 고려의 제도상 이런 중추원 추신의 지위는 좀 묘한 데가 있었음이 확실하다.

 정3품인 부사·첨서원사·직학사는 추신에 들어 갔지만 같은 정3품인 지주사 이하 승선단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승선단은 지주사를 비롯하여 좌우승선·좌우부승선 각 1인씩이 있어 모두 5인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들은 같은 정3품이지만 지주사가 우두머리였고, 그 외의 승선도 순서대로 서열이 매겨져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樞密·承宣」이란 말이 자주 나오는데 이것은 추밀과 승선은 같은 중추원의 관원이지만 서로 구별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추밀이 중추원의 상층부로서 의정에 참여한 데 대하여 승선은 하층부로 왕명 출납을 담당하여 양자는 확연히 구분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고려의 중추원은 상층의 추신, 하층의 승선으로 구분되고 그 기능도 의정과 출납으로 나뉘어져 2원적 구조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이상에서 우리는 중추원이 구성상으로나 기능상으로 완전히 2원적 구조임을 알게 되었다. 즉 중추원은 직학사 이상 7추를 樞臣(樞密)이라 하여 국가 의정에 참여케 하고, 따로 지주사 이하를 승선이라 하여 왕명 출납을 담당케 하였던 것이다. 이 때 중추원부사·첨서원사·직학사는 형식상 승선단과 같은 정3품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2품관의 대우를 받고 재추에 포함되었음이 특이한 점이다. 따라서 고려의 중추원은 상층부의 추신과 하층부의 승선을 각각 구분하여 검토해야 할 것이다.

0079)朴龍雲은 앞의 글에서 樞密은 3품관과는 엄연히 구분되는 宰相으로서 일단 直學士 이상의 7樞가 모두 2품관이었다고 결론을 내린다고 하면서도, 이들 직학사 이상은 고려 전기에는 3품관이었으나 후기에 가서 2품으로 되었다는 좀 애매한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부사 이하관의 3품직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며 고려 후기의 승질은 그들 樞臣으로서의 애매한 지위를 해결하는 방법이었다고 보여진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