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Ⅱ. 문화5. 미술4) 공예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1. 중앙의 교육기관
          • 1) 국자감
            •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 가. 성립 배경
              • 나. 설치 연혁
              • 다. 초기 국자감의 운영
            • (2) 예종의 교육개혁과 국자감
              • 가. 국자감의 위상 정립
              • 나. 삼사제도의 운영
              • 다. 국학 7재의 운영
            • (3) 학식의 제정과 성격
              • 가. 학식의 제정
              • 나. 성격
            • (4) 국자감의 직관과 학제 운영
              • 가. 직관
              • 나. 학제 운영
          • 2) 동·서학당
            • (1) 설립
            • (2) 운영과 성격
          • 3) 10학
          • 4) 사학 12도
            • (1) 설립
            • (2) 운영
            • (3) 성격
        • 2. 지방의 교육기관
          • 1) 향교
            • (1) 향교 설치의 배경
            • (2) 향교의 설치와 변천
            • (3) 향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와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2) 서경학교
            • (1) 설치 배경
            • (2) 서경학교의 설치
            • (3) 서경학교의 변천
            • (4) 서경학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관과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3) 서재
      • Ⅱ. 문화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 역산
            • (1) 천문 역산의 제도
            • (2) 천문 관측
              • 가. 관측기구
              • 나. 관측기록
            • (3) 역법의 발전
          • 2) 지리
            • (1) 지도와 지리지
            • (2) 풍수지리학
          • 3) 의학
            • (1) 의료제도
            • (2) 의약 서적의 간행과 수입
            • (3) 의약의 교류
          • 4) 기술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언어
        • 3. 사서의 편찬
          • 1) 7대실록·고려실록
            • (1) 7대실록
            • (2) 고려실록
          • 2)≪삼국사기≫
            • (1)≪삼국사기≫의 편찬
            • (2)≪삼국사기≫의 내용
              • 가. 본기
              • 나. 지
              • 다. 열전
            • (3)≪삼국사기≫의 성격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1) 고려 전기 사서의 성격
            • (2)≪편년통록≫
              • 가. 성격과 그 이해
              • 나. 편찬 배경
              • 다. 내용과 분석
              • 라. 사학사적 의의
            • (3) 기타 사서의 편찬
              • 가.≪구삼국사≫
              • 나.≪고금록≫
              • 다.≪편년통재≫
              • 라.≪편년통재속편≫
        • 4. 문학
          • 1) 한문학
            • (1) 한문학의 본격화와 그 양상
              • 가. 본격화 과정
              • 나. 본격화의 양상
            • (2)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상상력·의식·풍격
              • 가. 제1기(태조∼정종)
              • 나. 제2기(문종∼의종)
          • 2) 향가 및 그 잔영
          • 3) 설화문학
          • 4) 불교문학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도성·궁궐
              • 가. 도성
              • 나. 궁궐
            • (3) 가람 배치
            • (4)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가. 석탑
              • 나. 석조부도
              • 다. 석등
              • 라. 석비
              • 마. 당간과 지주
            • (2) 조각
              • 가. 석불상
              • 나. 마애불상
              • 다. 동불상
              • 라. 철불상
              • 마. 소조불상
          • 3) 서화
            • (1) 회화
              • 가. 일반회화
              • 나. 불교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고려 초기 도자-성립기
              •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 (2) 금속공예
              • 가. 생활용품
              • 나. 불교공예품
              • 다. 장신구
            • (3) 목칠공예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목칠공예

 木漆工藝品으로 고려시대 유물이 남아있는 예는 매우 적어서 그 전모를 알 길이 없으나 통일신라시대의 목칠공예의 전통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경주 雁鴨池 출토품으로 알 수 있다.

 고려의 목칠은 貝殼(소라·진주조개·전복), 玳瑁(龜甲), 銅을 입사하는 螺鈿漆器로 대표된다. 나전칠기는 木心苧被의 칠기에 소라나 전복과 은·동선을 嵌入하여 문양을 만든 것이다. 인종 원년(1123) 고려를 다녀간 徐兢이 “그릇에 옻칠하는 일은 그리 잘하지 못하지만 螺鈿 일은 세밀하여 귀하다고 할만하다”600)고 평가할 정도로 인종 초 나전칠기가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工部에 소속된 관서로서 供造署에서는 어용품을 중심으로 세공기물을 제작했고 都校署에서는 궁중 및 중앙관서에 쓰이는 세공품을 제작했다. 11세기 후반 문종년간에 작성된 別賜명단에 보이는 小木匠·彫刻匠·螺鈿匠·珠簾匠·磨匠 등으로부터 분업화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서긍이≪고려도경≫에서 “고려의 토속은 여전히 그러하다. 만듬새를 보면 예스럽게 소박함이 자못 사랑스럽다”라고 하였듯이 고려사회의 일반적인 기술은 古風을 지니고 있었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의 나전칠기는 전·후기를 통틀어 10여 점 정도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黑漆草木水禽圖螺鈿描金香函과 黑漆立菊螺鈿玳瑁函黑漆母子盒, 黑漆菊唐草螺鈿子盒, 黑漆菊唐草螺鈿油壺를 비롯하여 日本의 東京博物館의 立菊螺鈿經箱 등이다.

 이들을 살펴보면 器形으로는 모자함, 유호 등의 화장품구와 소형의 有蓋箱子와 經函 등이며, 문양은 초목수금도나 당초문·국화문으로 전면을 施紋하고 있다. 시문에 있어서도 周緣의 테두리는 은이나 동을 꼬아 縒線으로 하고, 伏紅玳瑁片을 써서 花心을 만들었다.

 이들 작품 중 고려 전기를 대표하는 것은 草木水禽函인데, 그 이외의 것들은 철화청자에 많이 나오는 밀집된 당초문과 국화문으로 모든 공간을 덮고 있는 것으로 보아 후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초목수금함은 원래 29×19×11. 5cm(높이)의 뚜껑있는 함으로 紵心漆器이며 측면에 나전으로 된 버들과 갈대를 배치하고 수면과 하늘에는 물새를 날게 하고 있으며 그 구도로 보아 象嵌靑瓷와 통하는 12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601)

<尹龍二>

600)徐兢,≪高麗圖經≫권 23, 雜俗 2, 土産.
601)金元龍은 앞의 책, 296쪽에서 12세기 초로 보고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