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관 부제학 조광조
(趙光祖) 등이 상소
하였다. …(중략)… 이제 소격서
(昭格署)를 설치한 것은 도교(道敎)를 펴서 백성에게 사도(邪道)
'조광조' 관련자료
'상소' 관련자료
'소격서' 관련자료
바르지 못한 도리
를 가르치는 것입니다. 기꺼이 따라 받들고 속임수에 휘말리니 밝고 밝은 의리는 아득하고 탄망(誕妄)
허탄하고 망령됨
한 형상은 밝습니다. 실로 임금 마음속 사(邪)와 정(正)을 구분하는 데서 정치 교화의 순수함과 잡스러움이 비롯되고, 상제(上帝)의 기뻐하고 성냄의 조짐이 나타나니, 왕정(王政)에서 끊고 막아야 할 것입니다. 도교를 받드는 것이 민간에서 성행한다 하더라도 임금으로서 진실로 예를 밝히고 의리를 보여 대도(大道)를 열고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 끝까지 정도를 보전해야 합니다. 그런데 도리어 사도를 존숭하여 관사(官司)를 설치하고 관원을 두어 받들고 초제(醮祭)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를 거행하여 섬기고 있습니다. 마치 당연히 제향(祭享)
각종의 제사 의식
해야 할 신처럼 공경하고, 축수(祝壽)와 기도가 더욱 빈번하여 음귀(陰鬼)가 간악을 빚어냅니다. 이는 곧 임금이 가는 길에 법이 없어서이니 하민(下民)들이 어디에서 본받겠습니까? 비록 정해진 법에 따라 받들어 나라에 모범을 보이더라도, 어리석어서 사리를 알지 못하고 편한 것만 쫓아 어그러지는 것이 백성들의 상정(常情)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보통의 인정
이라 감화시키기 어려운데, 하물며 허망한 종교로 인도하여 온 세상을 이상한 지경으로 몰고 가는 것이겠습니까? 아, 백성은 일정한 덕이 없고 임금의 교화를 덕으로 삼습니다. 군주가 하늘을 받들고 백성의 스승이 되어 몸소 백성을 교화시켜야 하는 의의가 어떻습니까? 조정에서 이를 염려하고 근심해서 사도를 제거하는 뜻이 간절하였고, 정도를 세우는 데 전념하여 정도를 세우는 데 전념하여 논의가 여기에 이른 지 열흘 남짓하였습니다. 처음 대신부터 시작하여 그 논의가 대간
(臺諫)에 이르러 극도에 달하였으며 또 시종(侍從)들까지도 간절히 진달하였습니다. 이는 일국의 신료(臣僚)가 오로지 새로이 스스로 힘써 대도(大道)를 함께 생각하여, 덕음(德音)이 내리기를 눈을 닦고 발돋움하여 바라고 있는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천청(天聽)
'대간' 관련자료
임금의 귀에 어떤 말이 들어감
은 오히려 아득합니다. 정도(正道)를 버리고 사도(邪都)에 미련을 두어 즉시 용단을 내리지 못하시니, 하늘을 믿고 백성들을 감응함이 막혀서 군신(君臣)이 일치하지 아니하고 상하(上下)가 덕으로 삼는 것이 각기 다릅니다. 이와 같은데도 화합을 북돋고 순후한 풍속에 젖어 들게 하여 신료들로 하여금 선(善)에 힘쓰게 한다면 도리어 어렵지 않겠습니까? 제왕(帝王)이 교화를 두텁게 하고 풍속을 아름답게 하여 백성을 이끌고 선을 행하는 일은 공론
을 따르고 하정(下情)
'공론' 관련자료
백성의 사정
을 빼앗지 않는 데에 지나지 않습니다. 공경하는 마음으로 백성을 작게 여기지 말아야 합니다. 민첩하고 용기있게 결단해서 물정(物情 )
이러저러한 실정이나 형편
을 힘써 따르소서.” …(하략)… 『중종실록』권34, 13년 8월 1일 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