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술(甲戌) 일(日). 사신 송패라(宋孛羅)가 먼저 남경으로 돌아갔다. 임금이 백관을 인솔하여 반송정(盤松亭)에 나가 전별하였다. 사신 우우(牛牛)는 유후사(留後司)까지 가서 전별하고 돌아왔다. 판사역원사(判司譯院事) 이을수(李乙修)로 관압사(管押使)를 삼아 표문(表文)과 전문(箋文)을 지은 예문춘추관 학사 권근(權近)과 우승지 정탁(鄭擢)과 그것을 계품(啓稟) 교정(校正)한 사람 경흥부 사인(敬興府舍人) 노인도(盧仁度)를 남경으로 보냈다. (그리고) 한성 윤(漢城尹) 하윤(河崙)으로 계품사(啓稟使)를 삼아서 황제에게 글을 올려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홍무(洪武) 29년(1396년, 조선 태조
5) 6월 11일에 황제께서 보내신 상보사 승(尙寶司丞) 우우(牛牛) 등이 이르매, 예부(禮部)의 자문(咨文)에, ‘황제 폐하의 분부를 받자왔는데, 그에 이르기를, 지난 정단(正旦)에 올린 표문(表文)과 전문(箋文) 속에 경박하게 희롱하고 모멸한 내용이 있으므로, 글을 지은 사람을 보내라 하였더니, 전문을 지은 자만 보냈고 표문을 지은 정도전
·정탁은 지금까지 보내지 않았다. 지금 다시 우우 등을 본국으로 보내어 표문을 지은 사람을 보내기를 재촉하고, 와 있는 사신 유구 등의 가솔(家率)을 보내어 와서 완취(完聚)하기를 재촉한다’라고 하였습니다. 근일에 받자온 이전의 예부 자문에, ‘황제 폐하의 분부를 받자온 내용에, 이번에 올린 정단(正旦)의 표문(表文)과 전문(箋文)안에 경박하게 희롱하고 모멸한 것이 있었으나, 만일 언사가 모멸하고 거만스럽다고 군사를 일으켜 문죄(問罪)하는 것은 아직 불가하고, 글을 지은 사람이 와야 사신이 바야흐로 돌아가리라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태조' 관련자료
'정도전' 관련자료
이에 알아본즉 홍무 29년 정단을 하례한 표문은 성균 대사성(成均大司成) 정탁(鄭擢)이 지었고, 전문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김약항(金若恒)이 지은 것이었습니다. 그때 정탁은 병이 있었으므로 전문을 지은 김약항만을 홍무 29년 2월 15일에 보내어 경사(京師)에 갔습니다. 이제 온 사유를 받들어 표문을 지은 인원을 분부대로 보냅니다.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장계(狀啓)에 따르면, ‘정도전
의 장고(狀告)에 근거하여 말하면, (정도전
의) 나이는 55세이고 판삼사사(判三司事)의 직(職)에 있사온데, 현재 복창(腹脹) 과 각기병증(脚氣病證)이 있습니다. 도전은 대사성 정탁이 지은 홍무 29년 하정표(賀正表)의 초고를 고치거나 교정한 일이 없습니다. 이제 거기에 관련되었다 하니 자세하게 살펴 보고합니다. (이를 위하여) 그 당시 담당 직관(直館)에게 허실(虛實)을 물어서 확인하려 합니다. (이대로 조사가 진행한 뒤 받은) 노인도(盧仁度)의 공초(供招)에 따라 말하면, (노인도는) 나이 30세에 무병(無病)하고, 예문관 직관(藝文館直館)의 직(職)을 맡았습니다. 홍무 28년 윤9월 14일에 대사성 정탁이 지은 홍무 29년 정단에 하례하는 표문의 초고를 제조관(提調官) 판삼사사(判三司事) 정도전
에게 보내 교정을 청하였는데, 정도전
은 종묘(宗廟)의 이안(移安)하는 제향(祭享) 등의 일로 인하여 고치거나 교정하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대신) 표문의 초고를 차제조관(次提調官)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정총(鄭摠)과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권근(權近)에게 맡겨 교정했다 하였습니다. 이 공초 내용이 사실이므로 이것을 삼가 기록하여 아룁니다.’
'정도전' 관련자료
'정도전' 관련자료
'정도전' 관련자료
'정도전' 관련자료
이에 따라 그윽이 생각하옵건대, 신이 경사(經史)에 밝지 못하옵고, 글을 지은 자가 모두 해외(海外)의 사람이므로 어음(語音)이 다르고, 학문이 정미하고 해박하지 못해서 표문과 전문의 체제를 알지 못하여, 문자가 어긋나고 틀리게 된 것이요, 어찌 감히 고의로 희롱하고 모멸했겠습니까? 삼가 분부하신 대로 표문을 지은 정탁과 교정한 권근, 교정을 계품한 노인도는 판사역원사 이을수를 시켜서 경사(京師)로 압송해 폐하의 결재를 청합니다. 그 외에 정도전
은 정탁이 지은 표문에 일찍이 지우거나 고치지 않았으므로 이 일과 관계없습니다. 또 본인은 복창(腹脹)과 각기병(脚氣病)을 앓고 있어 보낼 수 없습니다. 유구 등 각항 사신의 가족들을 보내라는 일절(一節)은 그윽이 생각하기를, 소방(小邦)이 성조(聖朝)를 섬긴 이래로 감히 조금도 게을리하지 않았사온데, 이제 하정사 유구 등이 방환(放還)되지 못하였고, 또 가족들을 들여보내라 하는 것을 보고는 온 나라 신민들이 놀라고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없사오며, 그 각 고을의 가족들도 역시 고국을 떠나게 되어 슬프게 부르짖음이 간절하고 지극하오니, 진실로 불쌍하옵니다. 지금 글을 지은 사람 정탁·김약항 등은 이미 분부하신 대로 경사(京師)에 보내어 다시 밝으신 처분을 기다리오니, 엎드려 바라옵건대, 폐하께서 너그러이 용서하시어 나라 사람들의 소망을 위안해 주소서.”
'정도전' 관련자료
『태조실록』권10, 5년 7월 19일 갑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