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나라가 병란을 피하느라 마치 끓는 솥 안에 있는 물고기같이 위급하여, 선문(禪門)의 승려들도 모두 분주히 달아났다. 이때 청허선사(淸虛禪師) 휴정(休靜)
은 묘향산에서 의병
을 일으켰다. (그는) 승려들이 서산대사
(西山大師)라고 높여 부르는 사람이었다. 속성(俗姓)은 최씨이고 그 본관은 전주였다. 행실이 고매하고 율법이 엄하며 석가의 경전에 통달하였다. 또 문장에 능하여 조정의 사대부
들과 두루 사귀었다. 그의 뛰어난 제자들이 나라에 널려 있었는데, 이때 이르러 문도 1,500명을 규합하여 칼을 잡고 주상을 행재소(行在所)
을 전하니, 건장하고 용감한 승려들이 오지 않는 자가 없었다. 휴정
의 뛰어난 제자(高第)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일어나 권율
(權慄)의 막하에 들어갔다. 유정
(惟政)은 금강산에서 일어났다. 유정
(惟政)은 호는 송운
松雲) 또는 사명산인
(四溟山人)이었다. 용모가 호걸스럽고 수염을 깎지 아니하였으며, 성품과 도량이 넓고 불전(佛典)에도 통달하였다. 이때 그는 표훈사(表訓寺)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적병이 산중에 들어오자 승려들이 다 도망하였으나, 유정
만 홀로 가부좌하고 움직이지 않았다. 적이 (이를) 보고 감히 달려들지 못하고, 어떤 자는 합장하여 존경을 표하고 가기도 했다. 근왕(勤王)
의 격문
이 산중에 이르자, 유정
이 불탁(佛卓)
'청허선사(淸虛禪師) 휴정(休靜)' 관련자료
'의병' 관련자료
'서산대사'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왕의 임시 거처
에 가서 뵈었다. 상이 이르기를, “국난이 이러하니 네가 구제할 수 없겠는가?” 하니, 대사가 눈물을 흘리고 절하면서, “나라 안 승도 가운데 늙고 병들어 소임을 맡을 수 없는 자는 신(臣)이 이미 그 있는 곳에서 분향수도(焚香修道)를 해서 신(神)의 도움을 기도하도록 하였습니다. 그 나머지는 신(臣)이 모두 모집해 와서 전장에 나가고자 합니다. 신(臣) 등이 비록 속세를 떠났지만 나라 안에서 태어나 성상(聖上)의 은혜를 입었사오니, 어찌 한 번 죽음을 아끼겠습니까. 바라건대 충성을 바치고자 합니다.” 하였다. 상이 크게 기뻐하여 ‘일국도대선사 팔도선교도총섭 부종수교 보제등계존자(一國都大禪師八道禪敎都摠攝扶宗樹敎普濟登階尊者)’의 칭호를 내리도록 명하였다. 이에 (휴정은) 그의 무리를 이끌고 순안(順安)의 복흥사(伏興寺)에 주둔하며 팔로(八路) 사찰에 격문
'격문' 관련자료
'휴정' 관련자료
'권율' 관련자료
'유정' 관련자료
'유정' 관련자료
'송운' 관련자료
'사명산인' 관련자료
'유정' 관련자료
왕을 위하여 나라일에 힘씀
교서와 휴정
'휴정' 관련자료
'격문' 관련자료
'유정' 관련자료
부처를 모신 탁자
위에 펴놓고 여러 승려를 불러놓고 읽으면서 눈물을 줄줄 흘리며 효유하였다. (이에) 산중의 승려 700여 명이 다 일어나 서쪽으로 근왕하러 떠났는데, 평양에 이르러서는 그 무리가 1,000여 명이 되었다. (이들은) 성의 동쪽에 주둔하면서 순안(順安)의 군사들과 서로 긴밀히 구원하는 병력이 되었다. 『대동야승』권37, 「재조번방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