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고(故) 증찬성(贈贊成) 이원수(李元秀)의 부인 신씨(申氏)가 그린 것이다. 그 손가락 끝에서 나온 그림이 이처럼 원만하고 자연스러우니 마치 사람의 힘이 들어가지 않은 것 같다. 하물며 오행(五行)의 뛰어남을 얻고 원기(元氣)의 융화(融和)가 모여서 진정한 조화(造化)를 이루었으랴. 율곡 이이
(李珥) 선생을 낳았음이 마땅하다. 선생의 종증손(從曾孫)
(平安道觀察使)의 막좌(幕佐)
'이이' 관련자료
형제의 증손자
동명(東溟) 이백종(李百宗)이 조정에서 평안도 관찰사
'평안도 관찰사' 관련자료
종5품 도사(都事)
로 나가기에 앞서 이 첩(帖)을 나에게 보이며 그 위에 글을 써 달라고 하였다. 이 첩이 인가(人家)에 돌아다녀서 이씨의 소유가 되지 않은 지 여러 해인데, 이백종이 힘써 찾아다니다가, 올해 모월 모일에 한양의 이씨 성을 가진 사람에게서 얻어 전과 같도록 수선하고 꾸며 다시 영원토록 집안 대대로의 보물로 삼았으니, 그 뜻이 간절하고도 지극하다 하겠다.
일찍이 들으니 율곡 이이
선생이 겨우 말을 하게 되었을 때 스스로 아들이 부모를 섬기는 모습과 당(唐)나라 때 장공예(張公藝)1)
의 9대(代)가 한집에 살았던 그림을 그려 놓고 단정히 앉아서 묵묵히 보았다고 한다. (신사임당
이 그린) 이 그림은 다행히 없어지지 않고 남았으니, 이 첩 밑에 붙여서 사람들로 하여금 부인의 어머니 됨과 선생의 아들 됨이 실로 뿌리와 줄기가 서로 이어진 것임을 알게 하여, 상곡군(上谷君)2)
의 집안만이 전대(前代)에 홀로 빛나게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백종은 소홀이 하지 말지어다. 숭정(崇禎)
즉위년, 1659) 섣달에 송시열
(宋時烈)이 삼가 쓴다.
'이이' 관련자료
1)
당(唐)나라 사람으로 9세(世)가 한 집에 살았다. 당나라 고종(高宗)이 근처를 지나다 그 집에 들러 화목하게 사는 이유를 물으니 장공예는 ‘인(忍)’ 100여 자를 써서 바쳤다. 이에 당 고종이 아름답게 여겨 비단을 내렸다고 한다.
'신사임당' 관련자료
2)
상곡군군(上谷郡君)에 추봉(追封)된 송(宋)나라 정호(程顥)의 어머니 후씨(侯氏)를 가리킨다. 후 부인(侯夫人)은 부덕(婦德)이 출중하여 가도(家道)를 일으키고, 아들 정호와 정이(程頤) 등의 도학자
(道學者)를 길러 냈다.
'도학자' 관련자료
중국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의종(毅宗)의 연호
기해년(현종
'현종' 관련자료
'송시열' 관련자료
『송자대전』권146, 발, 「사임당화난발」
- 당(唐)나라 사람으로 9세(世)가 한 집에 살았다. 당나라 고종(高宗)이 근처를 지나다 그 집에 들러 화목하게 사는 이유를 물으니 장공예는 ‘인(忍)’ 100여 자를 써서 바쳤다. 이에 당 고종이 아름답게 여겨 비단을 내렸다고 한다.
- 상곡군군(上谷郡君)에 추봉(追封)된 송(宋)나라 정호(程顥)의 어머니 후씨(侯氏)를 가리킨다. 후 부인(侯夫人)은 부덕(婦德)이 출중하여 가도(家道)를 일으키고, 아들 정호와 정이(程頤) 등의 도학자
'도학자'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