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기(成均館記), 성간(成侃)
우리 태조
께서 즉위하신 어떤 해에 국학
(國學)을 동북의 구석에 설립하셨는데, 그 경영·지침과, 규모·제도가 모두 적절하여 모든 것이 완전했다. 대략을 말하면 남쪽으로 문묘(文廟)를 만들고, 좌우에 무(廡)를 만들었다. 문묘에서는 앞선 성인
의 만들어진 건물[屋]이 크고 작은 것을 합하여 96칸인데, 유독 명륜당이 문묘와 함께 가장 존귀해서, 나무도 잘 다듬었고 구조도 견고하며, 우뚝하게 높으며 찬란하고 새롭다.
'태조' 관련자료
'국학' 관련자료
공자
들을 제사지내고, 무에서는 앞선 스승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
들을 제사지내는 것이 우리나라의 옛 전통이다. 동쪽에는 정록소(正錄所)를 만들고, 그 남쪽으로는 주방을 만들고, 그보다 더 남쪽으로는 식당을 만들었다. 문묘의 북쪽 양 옆으로 긴 복도[長廊]를 만들었는데, 복도의 북쪽에는 그 기단을 높여 좌우로 곁방을, 중간에는 강당을 세워 선생과 제자가 공부하는 장소로 만들었으니, 이를 명륜당(明倫堂)이라 한다. 성균관
'성균관' 관련자료
학관(學官)은 대사성(大司成) 이하 여러 명이 있었다. 그들은 이른 아침에 북을 쳐서 학생들을 불러 뜰 아래 줄을 세웠다. 한 번 인사를 나눈 다음에 강당에 올라 경전을 가지고 토론하였다. 그들은 임금과 신하의 도리, 부모와 자식의 도리, 어른과 아이의 도리, 그리고 부부와 친구의 도리를 가르쳤다. 그래서 학생들이 이것들을 잘 익혀서 익숙하게 하고, 경계하고 격려하게 했다. 때에 따라 공부하기도 쉬기도 하고, 엄격하게 하기도 하고 너그럽게 하기도 하면서 학생들을 나날이 발전하고 다달이 숙달되게 하였으니, 이를 통해 훗날 나라의 충신이 되고 집안의 효자가 되는 이들이 반드시 많이 나올 것이다. 아, 그 성대함이 우리나라에 전에 없던 일인 것이다.
혹자는 말했다. “성인의 가르침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왜 유독 명륜(明倫)으로 이 강당의 이름을 지었는가?” 그에 답하였다. “부모와 자식, 임금과 신하, 부부, 어른과 아이, 친구 사이의 관계는 본래 하늘의 이치상 당연한 것이다. 이는 하늘과 땅이 시작하고 끝나는 순간까지 같이 하는 것이다.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 중 이보다 더 큰 것이 어디에 있겠는가. 학당을 하(夏)나라에서는 교(校), 상(商)나라에서는 서(序), 주(周)나라에서는 상(庠)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모두가 윤리를 밝히자는 뜻이다. 인륜이 윗사람에게서 밝아지면 서민이 아래에서 서로 친하게 되는 것이다.
공자는 큰 성인이어서 몇 길이나 되는 성인의 담장 안으로 들어간 사람도 적었다. 하지만 그가 성인이 된 이유를 찾아보면 단지 인륜을 다한 것일 뿐이었다. 그래서 이렇게 말했다. “성인이란 인륜을 지극히 다한 사람이다.” 이는 마치 자와 컴퍼스가 사각형과 원을 완전히 그려내서, 털끝만큼도 더 깎아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진(秦)나라와·한(漢)나라 이래로 올바른 학문이 전해지지 않아 올바른 학문이 신불해·한비자의 학문으로 인해1)
허물어졌고, 노장(老莊)으로써 음탕해져 인륜이 어두워지기 시작하였고, 글자의 해석에만 얽매이는 훈고(訓詁)의 학문과 문자의 수식에만 신경 쓰는 사장(詞章)의 학문으로는 인륜이 전혀 밝혀지지 못하였기에, 동물과 다른 것이 거의 드물어졌다.
1)
신은 신불해(申不害)라는 사람으로 중국 전국시대 정(鄭)나라 사람이고, 한(韓)은 한비자(韓非子)라는 사람으로 역시 전국시대 한(韓)나라 사람이다. 이 두 사람 모두 형법학(刑法學)의 창시자들이다.
아,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지금 이 강당에 와서 오르내리는 자는 그 이름을 보고 그 뜻을 알아야 한다. 단순히 그 뜻만 아는 것이 아니라 그 뜻을 실제로 행해야 한다. 성스런 조정의 백성을 기르고 교육하는 뜻을 저버리지 않으면, 이것으로 가능해질 것이다. 그 공부의 절차로 말하자면 비록 한마디 말로 다할 수 없다. 하지만 같은 유형을 미루어 이어나간다면 결국 이 강당 안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위쪽 처마와 아래쪽 기둥은 높음으로써 낮은 데에 임한 것이고, 어둠을 등지고 밝음을 향한 것은 안과 밖을 구별한 것이다. 문으로부터 강당으로, 강당으로부터 아랫목으로 가게 한 것은 차례를 무시해선 안 되고, 동서의 구분을 흐릿하게 안 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와 같이 뜻을 구하면 이를 거의 얻게 될 것이다.”
『동문선』권82 「기」 성균관기
성균관
은 오로지 교훈(敎訓)을 관장하는 곳으로 국가에서 양현고(養賢庫)를 설치하여 관관(館官)으로서 이를 겸하게 하고, 항상 유생(儒生) 200명을 양성하였다. 상당부원군 한명회(韓明澮)
는 임금께 아뢰어 존경각(尊經閣)을 지어 경전을 많이 간행하여 여기에 두었고, 광천군 이극증(李克增)은 임금께 아뢰어 전사청(典祀廳)을 세웠으며, 나도 또한 임금께 아뢰어 향관청(享官廳)을 세웠다.
'성균관' 관련자료
'한명회(韓明澮)' 관련자료
그 뒤에 성전(聖殿)의 동서무(東西廡)와 식당을 개축하고, 베 500여 필과 쌀 300여 석을 내리셨으며, 또 학전(學田)을 내리셔서 이것을 성균관
의 수용에 충당하게 하였는데, 이극증이 아뢰기를, “이제 성은을 입사와 쌀과 옷감을 많이 받았사오나, 비옵건대, 술과 음식을 갖추어 조정의 문사와 여러 유생을 모아 사문(斯文)의 성사(盛事)가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하니, 성묘
(成廟, 성종)께서 윤허하여서 이때 문사들이 명륜당에 크게 모였다. 찬거리가 극히 정갈하였고, 승지가 궁중의 좋은 술과 어주(御廚)에 있는 맛있는 음식을 주어, 사람과 말의 왕래가 잇닿아 끊이지 않았다.
'성균관' 관련자료
'성묘' 관련자료
계축년(1433, 세종
15) 가을에는 성균관
에 거둥하시어 선성(先聖)과 선사(先師)에게 제사 드리고 하연대(下輦臺)
'세종' 관련자료
'성균관' 관련자료
임금이 연(輦)을 멈추고 내리던 대(臺)를 말함
에다 장전(帳殿)
임시로 꾸민, 임금이 앉는 자리
을 마련하였다. 문신과 재신(宰臣)·추신(樞臣)은 장전 내에 입시하고, 당하관인 문신들은 뜰에 줄을 지어 앉았으며, 8도의 유생이 서울에 운집하니, 무려 수만 명이나 되었다. 상하가 모두 꽃을 꽂고 연회석에 참석하였으며, 새로 지은 악장(樂章)으로 연주하여서 이를 권하였고, 각 관청이 나누어 음식을 장만하였다. 성상께서 자주 내신(內臣)을 보내어 이를 살피시어 사람들이 모두 취하도록 마시게 하고 배불리 먹도록 하였으니, 옛날의 사례에 없던 일이었다. 『대동야승』권1, 「용재총화」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