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듣기에 붕당
(朋黨)이라는 말은 옛날부터 있었으니 오직 임금이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을 분별하기를 바랄 뿐입니다. 군자는 군자와 도(道)를 함께 하여 ‘붕(朋)’이 되고, 소인은 소인과 이익을 함께 하여 ‘붕’이 되니 이는 자연스러운 이치입니다. 그러나 신이 생각하기에 소인은 ‘붕’이 없고 오직 군자만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습니까? 소인은 좋아하는 것이 이익과 녹봉
이고 탐내는 것이 재화(財貨)입니다. 그 이익을 함께 할 때 잠시 서로 당(黨)을 만들어 끌어들여서 ‘붕’을 이루는 것은 거짓입니다. 그 이익을 보는 데에 이르러서는 먼저 차지하려고 다투고, 혹 이익이 다 없어져 교분이 소원해지게 되어서는 심한 자는 도리어 서로를 해쳐서 비록 그 형제나 친척이라도 서로를 보전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신은 ”소인은 ‘붕’이 없으며 그들이 잠시 ‘붕’을 만든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붕당' 관련자료
'녹봉' 관련자료
군자는 그렇지 않아서 지키는 것이 도의(道義)이고 행하는 것이 충신(忠信)이며 아끼는 것이 명예와 절개입니다. 이것으로 자신을 닦으면 도를 함께하여 서로 이롭고, 이것으로 나라를 섬기면 같은 마음으로 함께 다스려 시작과 끝이 한결같으니 이는 군자의 ‘붕’입니다. 그러므로 임금은 다만 소인의 거짓 ‘붕’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정한 ‘붕’을 써야 하니 그렇게 하면 천하가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요임금 시절에 소인인 공공(共工)·환두(驩兜) 등 4명이 한 ‘붕’이 되고, 군자인 팔원(八元)·팔개(八愷) 등 16명이 하나의 ‘붕’이 되었는데, 순임금이 요임금을 도와서 4명의 흉악한 소인의 ‘붕’을 물리치고 팔원(八元)·팔개(八愷) 등 군자의 ‘붕’을 등용하시니 요임금의 천하가 크게 다스려졌습니다. 순임금이 스스로 천자가 되는 데에 이르러서는 고요(皐陶)·기(夔)·직(稷)·설(契) 등 22명이 조정에 함께 늘어서서 번갈아 서로 아름다움을 칭찬하고 번갈아 서로 자리를 미루고 사양하여 22명 모두가 하나의 ‘붕’이 되었는데 순임금은 이들을 모두 등용하셔서 천하가 또한 크게 다스려졌습니다.
『서경(書經)』 우서
(虞書) 「태서(泰誓)」에 이르기를 “상(商)나라 주왕(紂王)에게는 신하가 억만 명이 있었는데 마음이 억만으로 달랐지만 주(周)나라에는 신하가 3,000명이 있었는데 한마음이었다.”라고 하였습니다. 주왕 때에는 억만 명이 각각 마음을 달리하였으니 ‘붕’을 이루지 못하였다고 말할 만하지만 주왕은 이 때문에 나라를 망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주나라 무왕(武王)의 신하 3,000명은 하나의 큰 ‘붕’을 이루었는데 주나라가 이들을 등용하여 흥하였습니다.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천하의 명사들을 다 잡아들여 가두고 당인(黨人)이라고 지목하였는데, 황건적이 봉기를 일으켜 한나라 황실이 크게 혼란스러워지자 그러한 뒤에야 후회하고 깨달아 당인을 다 석방하였으나 이미 구원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당나라 말년에 붕당
(朋黨)에 대한 의론이 점차 일어났는데 소종(昭宗) 때에 이르러 조정의 명사를 다 죽여서 혹은 이들을 황하에 던지며 말하기를 “이들은 청류(淸流)이니 탁류(濁流)에 던질만하다.”라고 하니 당나라가 마침내 멸망하였습니다.
'우서' 관련자료
'붕당' 관련자료
앞 시대의 군주 중에 사람마다 마음을 다르게 하여 ‘붕’을 이루지 못하게 한 것은 주왕 같은 이가 없었고, 선인(善人)이 ‘붕’을 이룸을 금한 것은 후한의 헌제 같은 이가 없었고, 청류의 붕당
을 죄인으로 몰아 죽인 것은 당나라 소종의 시대 같은 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모두 그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멸망시켰습니다. 서로 아름다움을 칭찬하고 자리를 미루고 사양하여 스스로 의심하지 않았던 것은 순임금의 22명 같은 이가 없었고, 순임금 또한 이들을 의심하지 않고 모두 등용하였습니다. 그러나 후세에 순임금이 22명의 붕당
에게 속임을 당하였다고 꾸짖지 않고, 순임금을 총명한 성군(聖君)이라고 칭찬하는 것은 군자와 소인을 분별하였기 때문입니다. 주나라 무왕의 시대에 온 나라의 신하 3,000명이 모두 하나의 ‘붕’이 되었으니, 예로부터 ‘붕’을 많고 크게 이룬 것은 주나라 같은 나라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주나라가 이들을 등용하여 흥한 것은 선인이 비록 많더라도 싫어하지 않았기 때문이니 흥망(興亡)과 치란(治亂)의 자취를 임금된 사람은 거울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붕당' 관련자료
'붕당' 관련자료
『구양문충공집(歐陽文忠公集)』 권17, 논육수(論六首), 「붕당론(朋黨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