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그러나 청나라가 이미 천하를 차지한 지 100년이 지났지만그 자녀가 태어나고 보옥과 비단이 생산되는 바와 궁실·배와 수레·농경의 법과 최(崔)·노(盧)·왕(王)·사(謝)씨 등의 사대부
씨족들이 그대로 있다. 그 사람들을 모조리 오랑캐라 하고 아울러 그 법마저 폐기해 버린다면 크게 옳지 못하다. 진실로 백성에게 이롭다면, 비록 그 법이 오랑캐에게서 나왔다 하더라도 성인은 장차 취할 것인데 하물며 본래부터 중국의 법이라면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지금 청나라는 진실로 오랑캐다. 오랑캐로 중국 땅을 차지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중국 땅을 빼앗아 차지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그 빼앗은 것이 오랑캐임을 알고 있지만, 그 빼앗김을 당한 것이 중국이란 사실을 모른다. 이 때문에 스스로 지키기에도 힘이 부족했으니 이는 이미 명백하게 경험했다. 세상에서 전하길 정축년의 맹약
은 끝내 오랑캐 복식으로 갈아입고 동쪽 오랑캐를 크게 격파하였으니 옛날의 영웅은 반드시 복수하고자 하는 뜻을 품었으면 오랑캐의 복장도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중국의 법을 가지고 ‘배울 만 하다.’라고 이야기하면 떼지어 일어나 비웃는다. 하지만 평범한 사람도 그 원수를 갚고자 할 때 그 원수가 차고 있는 예리한 칼을 보게 되면 그것을 빼앗을 생각을 한다. 그런데 이제 당당한 천승(千乘)의 국가로 천하에 대의를 펼치려고 하면서 중국 법을 한 가지도 배우지 않고 중국 선비를 한 사람도 사귀지 않는다. 이리하여 (북벌은) 우리 백성을 수고롭게 했음에도 효과가 없었으며 곤궁과 기아에 빠져 스스로 폐지하게 하였다. 백배나 되는 이익을 버리고 행동하지 않으니, 나는 중국에 있는 오랑캐들을 몰아낼 겨를도 없이 우리나라의 오랑캐 같은 풍속마저 완전히 일변하지 못할까 염려한다.
'사대부' 관련자료
병자호란 마지막 해인 정축년(1637)에 맺은 삼전도의 맹약
때 청나라의 칸[汗]
청 태조 누르하치(努爾哈赤, 재위1616~1626)
이 우리 조선에게 오랑캐의 복식을 강제하고자 하였으나 구왕(九王)
청 태조 누르하치의 열네 번째 아들 예친왕(睿親王) 도르곤(多爾袞, 1612~1650)
이 간언하여 말하길 ‘조선은 요양(遼陽)과 심양(瀋陽) 지역에 있어 폐부와 같은 곳입니다. 지금 만약 그 의복을 섞어서 그 출입을 통하게 한다면 천하가 미처 평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이 어찌될 지 알 수 없습니다. 예전과 같이 함만 못하니 이는 구속하지 않고도 가두어 두는 것입니다.’라고 하니 칸이 말하길 ‘좋다.’라고 하고는 마침내 그만두었다. 우리 입장으로 논하자면 다행이라면 다행이겠지만 저들의 계책으로 본다면 우리가 중국과 통하지 못함을 이롭게 여긴 데에 불과하다. 옛날 조(趙)나라 무령왕(武靈王)1)
1)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왕이다. BC 307년 그는 연(燕), 동호(東胡), 진(秦), 한(韓) 등과 마주한 변경을 지키기 위해 군사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호복(胡服)을 도입하였다. 당시 전통적인 전술은 세 명의 병사가 마부, 활쏘기, 창을 분담하던 전차전의 방식이었다. 반면 북방 유목 민족은 훈련된 전사 한 명이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직접 쏘는 전법을 사용하였는데, 당시 대부들이 입던 소매와 밑단이 긴 옷은 말을 타기에 불편하였으므로 유목 민족 방식의 기병을 양성하려면 길이가 짧은 호복의 도입이 필요하였다. 조정 신료들은 오랑캐의 옷이라 하여 반대하였으나, 무령왕은 계속 설득하여 호복(胡服)을 도입하기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사람들이 오랑캐를 물리치려고 한다면 먼저 누가 오랑캐인가를 아는 것만한 것이 없으며, 중국을 높이려고 한다면 그들의 법을 모두 실행하여 더욱 중국을 높이는 것만한 것이 없다. 명나라를 위해 원수를 갚아 주고 우리의 부끄러움을 씻으려면 20년 동안 힘껏 중국을 배운 다음, 함께 의논하여도 늦지 않을 것이다.
『북학의』외편, 존주론
-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왕이다. BC 307년 그는 연(燕), 동호(東胡), 진(秦), 한(韓) 등과 마주한 변경을 지키기 위해 군사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호복(胡服)을 도입하였다. 당시 전통적인 전술은 세 명의 병사가 마부, 활쏘기, 창을 분담하던 전차전의 방식이었다. 반면 북방 유목 민족은 훈련된 전사 한 명이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직접 쏘는 전법을 사용하였는데, 당시 대부들이 입던 소매와 밑단이 긴 옷은 말을 타기에 불편하였으므로 유목 민족 방식의 기병을 양성하려면 길이가 짧은 호복의 도입이 필요하였다. 조정 신료들은 오랑캐의 옷이라 하여 반대하였으나, 무령왕은 계속 설득하여 호복(胡服)을 도입하기는 데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