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정당에서 차대(次對)하였다. 좌의정 조두순(趙斗淳, 1796~1870)이 아뢰기를, “군정(軍政)은 이미 품처(稟處)를 거쳐 행회(行會)
(量田)하는 길뿐인데, 이는 일시에 한꺼번에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환상(還上)
관아의 우두머리가 조정의 지시와 명령을 부하들에게 알리고 그 실행 방법을 의논하여 정하기 위해 모이던 일
하였는데, 구파(口疤)·동포(洞布)
사이에 각기 편의를 따라서 할 것이 요구됩니다. 전정(田政)은 오로지 다시 양전
'양전' 관련자료
흉년·춘궁기에 곡식을 빈민에게 대여하고 풍년·추수기에 이를 반납시키는 진휼 제도
에 관한 한 가지 일을 지금 바로잡아야 할 정사인데, 환상이라는 이름을 폐지시킨 후에야 비로소 나라를 보존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식(耗殖)을 중외(中外)의 경용(經用)으로 삼아 왔으므로 반드시 그 급대(給代)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결(田結)에 분배시키는 방법뿐입니다. 따라서 정당한 부세(賦稅) 이외에는 전결(田結)에 첨부하는 것
을 엄중히 끊어 버리고, 단지 급대(給代)할 수효만 간략히 마련하게 해야 합니다. 삼가 물러가서 책자(冊子)를 갖추어 우러러 을람(乙覽)에 대비하게 한 뒤 절목(節目)을 만들어 내어 중외(中外)에 반시(頒示)하겠습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이정청
(釐整廳)을 설치한 지 상당히 오래되었는데, 백성을 위한 일념(一念)이 더욱 간절하여 마음을 가눌 수가 없었다. 그런데 지금 경이 아뢰는 말을 듣건대, 아직 절목(節目)이 어떤지 모르겠다. 그러나 충분히 강구하여 기어이 실효가 있게 하라” 하였다.
'전결(田結)에 첨부하는 것' 관련자료
'이정청' 관련자료
『철종실록』권14, 13년 8월 27일 정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