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효제는 우리 가문에 대대로 전해 오는 덕업이다. 가족을 보존하고 집안을 화목하게 하는 데는 효제가 근본이 되는 것이므로, 이것을 지키도록 힘써야 한다.
『초려전집』(중간본), 권1, 정훈, 「원서」
○돌아가신 부모님 두 분께 한 번 제사지내는 경비는 벼 1섬으로 계산하면 된다. …(중략)… 좋은 논 24마지기를 경작하면 공부(公賦, 세금)를 빼고 벼 14섬을 얻을 수 있다. 이 정도의 논을 장만하여 종가에서 주관하며, 가을에 수확한 것을 별고에 저장하였다가 사용하고, 친진(親盡)
사대봉사가 끝나는 것
이 되면 묘전으로 삼는다.…(중략)… 요즈음 가난한 집에서 제수를 많이 준비하고자 하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 혹 참례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데, 비록 아주 간략하더라도 정결하게 준비하는 것이 그만두는 것보다는 낫지 않겠는가.『초려전집』(중간본), 권1, 정훈, 「사당지의」
○…(중략)…
【대개 표석의 앞면에 ‘모공모씨지묘’라고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세월이 오래 지난 뒤에도 자손들이 자기 부모와 조상의 묘소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중략)…… 벼슬하는 집안은 재산의 여유가 있어서 돌에 새기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난한 경우 무익한 일을 하여 그 조상의 영혼으로 하여금 자손들이 몸으로 수고하고 재산을 낭비하는 것을 보고 걱정하게 해서는 안 된다.】
『초려전집』(중간본), 권1, 정훈, 「묘제지의」
○장사 지내는 예법은 정성을 다하고, 애통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다해야 할 따름이다. 길흉화복에 대해서는 천명을 기다리는 것이 옳다.
『초려전집』(중간본), 권1, 정훈, 「상장지의」
○비록 여유가 있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빌려 주어 이자를 받는 일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대개 부자는 곡식이 있고 가난한 사람은 먹을 것이 없기 때문에 서로 꾸어 주고 관례에 따라 돌려받는 것이 의에 크게 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위급한 사정을 불쌍히 여기지는 않고 잘 갚을 사람만을 골라 빌려 주면, 이것은 궁핍한 사람을 구휼하여 도와주는 도리가 아니다.
『초려전집』(중간본), 권1, 정훈, 「불우지비」
○혼례에 구차하게 부귀를 흠모해서는 안 된다. …(중략)… 처음 혼사에 관한 논의가 있을 때, 반드시 따져보고 판단해야 한다. 언약이 된 다음에는 비록 다른 사정이 생겨도 신의를 저버리고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중략)…
【이것 또한 운명이다. 비록 폐질자라고 하지만 어쩔 수가 없다. 의리를 모르고 신의를 지키지 않는 것은 짐승이나 오랑캐가 하는 짓이므로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초려전집』(중간본), 권1, 정훈, 「관혼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