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전(治典)은 총재(冢宰)가 관장하는 것이다. 사도(司徒) 이하가 모두 총재의 소속이니1)
, 교전(敎典) 이하 역시 총재의 직책이다. 총재에 훌륭한 사람을 얻으면 6전(六典)이 잘 거행되고 모든 직책이 잘 수행된다. 그러므로 “임금의 직책은 한 사람의 재상을 논의하는 데 있다. ”라고 하였으니, 바로 총재를 두고 한 말이다.
1)
사도 …… 소속이니 : 『주례』에 의하면, 주(周)나라 관직의 순위는 천관 총재(天官冢宰, 국정 전반을 총괄)·지관 사도(地官司徒, 교육 및 농상업)·춘관 종백(春官宗伯, 제사와 전례)·하관 사마(司馬, 군사)·추관 사구(秋官司寇, 법과 옥사)·동관 사공(冬官司空, 수리와 토목)인데, 동관 사공 부분은 일찍 소실되어 전한(前漢) 때 고공기(考工記)가 그 자리에 편입되었다.
총재는 위로는 군부(君父)를 받들고, 아래로는 백관(百官)을 통솔하며 만민(萬民)을 다스리는 것이니 그 직책이 크다. 또 임금의 자질에는 어리석거나 총명하거나 강하거나 약한[昏明强弱]의 차이가 있으니, 총재는 임금의 아름다운 점은 순종하고 나쁜 점은 바로잡으며, 옳은 일은 받들고 옳지 않은 것은 막아 임금으로 하여금 대중(大中)2)
의 경지에 들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相)”이라 함은, 곧 돕는다는 뜻이다.
2)
우주의 운행질서에 합당한 도덕적 규칙을 체득한 상황을 의미한다.
백관은 제각기 직책이 다르고 만민은 제각기 직업이 다르니, 재상은 공평하게 하여 그들로 하여금 각기 그 마땅함을 잃지 않게 하며, 고르게 해서 그들로 하여금 각기 그 거처할 곳을 얻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재(宰)”라 함은, 곧 관리한다는 뜻이다.
궁중의 비밀이나 빈첩(嬪妾)들의 시중, 내시(內侍)들의 집무, 가마와 말과 의복의 장식, 음식의 진상에 이르기까지 오직 총재만은 알아야 한다. 총재는 중신(重臣)이므로 임금이 예우를 하는데, 이처럼 몸소 자질구레한 일까지 관여하는 것은 너무 번거로운 일이 아니겠는가? 그렇지 않다. 빈첩·궁녀들[嬪媵]이나 내시[暬御]는 본래 임금의 심부름[使令]에 대비하는 직책이지만, 이들이 삼가지 않으면 간사하고 아첨하는 의혹이 있게 되고, 수레와 말, 의복과 음식은 본래 임금의 일신을 받드는 것이나, 이것을 절제하지 않으면 사치하고 낭비하는 폐단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선왕(先王)이 법을 만들 때에 이러한 일을 모두 총재에게 소속시켜 총재로 하여금 절제하고 제한하게 하였으니, 이에 대한 생각이 원대하였던 것이다.
대저 임금은 높은 지위에 있으니 신하로서 임금을 받들면서 올바르게 하는 일은 어려운 것이다. 지혜와 힘[智力]으로 부지할 수도 없으며, 구설(口舌)로써 간쟁
할 수도 없다. 오직 자신의 정성을 쌓아 임금을 감동시키고,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하여 임금을 바르게 할 뿐이다.
'간쟁' 관련자료
백관과 만민의 무리를 총재 혼자서 다스리는 것은 또한 어려운 일이다. 그들에게 일일이 귀에 대고 가르칠 수도 없으며,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깨우쳐 줄 수도 없다. 오직 사람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알고서 이들을 관직에 등용하거나 물러나게 하면 모든 공적이 이루어지고 백관이 잘 다스려질 것이며, 일의 타당한 것과 마땅치 못한 것을 살펴 처리하면 만물이 제자리를 얻게 되고 만민이 편안해 질 것이다.
송나라의 큰 선비[大儒]인 진서산(眞西山)
남송 영종(寧宗 1194~1224) 때의 학자 진덕수(眞德秀)
은 재상이 해야 할 일을 논하여, “자신을 바르게 하여 임금을 바르게 하고, 인재를 잘 알아 일을 잘 처리하는 것이다. ”라고 하였으니, 뜻있는 말이로다. 나의 어리석은 소견으로는, “자신을 바르게 하여 임금을 바르게 하는 것”은 곧 치전(治典)의 근본이고, “사람을 잘 알아 일을 잘 처리하는 것”은 치전으로 말미암아 행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아울러 논하는 바이다. 『삼봉집』권7, 『조선경국전』상, 치전, 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