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나뉘어지면서 문장이 생겨났으니, 해와 달과 별이 위에 총총하게 늘어서 있어 하늘의 문장이 되었고, 산과 바다와 개천이 아래에 흐르고 솟아 땅의 문장이 되었습니다. 성인이 괘를 그리고 글자를 만들어 사람들의 문장이 점점 펼쳐지게 되었습니다. 정일중극(精一中極)은 문장의 본바탕이고, 시서(詩書)와 예악(禮樂)은 문장의 쓰임이 됩니다.
그러므로 시대에 따라 각기 문장이 있고, 문장에는 각기 다른 문체가 있습니다. 전모(典謨)를 읽으면 당우(唐虞) 시대의 문장을 알 수 있고, 훈고(訓誥)와 서명(誓命)을 읽으면 삼대의 문장을 알게 됩니다. 그리하여 진에서 한으로, 한에서 위·진으로, 위에서 수·당으로, 수·당에서 송·원으로 내려오면서 그 시대를 논하고 그 문장을 상고해보면 『문선(文選)』·『문수(文粹)』·『문감(文鑑)』·『문류(文類)』등 여러 가지 책으로써, 후세 문운(文運)의 높고 낮음을 논할 수 있습니다. 근래에 문장을 논하는 자가, 송나라의 문장은 당나라의 그것이 아니고, 당나라의 문장은 한나라의 그것이 아니고, 한나라의 문장은 춘추전국 시대의 그것이 아니고, 춘추전국의 문장은 하·은·주와 요, 순 시대의 그것이 아니라고 말했으니, 이는 참으로 식견이 있는 이론입니다.
우리나라는 단군이 나라를 세우셨다고 하지만 알 수 없는 아득한 먼 일입니다. 기자(箕子)는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밝히고 팔조법(八條法)을 펼쳤는데 그 당시에는 반드시 문화적인 치적이 가히 숭상할 만한 것이 있었겠지만 당시의 문헌들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삼국 시대에는 날마다 전쟁이 일어났으니 어찌 시서(詩書)를 일삼을 수 있었겠습니까? 그러나 고구려에서는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사명(辭命)
에 급제한 사람이 50여 명이나 되었는데 최치원(崔致遠, 857~?)이 지은 「토황소격문」
이라고 이름을 내리셨습니다.
외교문서를 짓는 일
을 잘하여 수나라의 백만 대군을 막았으며, 신라에서는 젊은이들을 당나라에 들여보내 과거
'과거' 관련자료
토황소격문
(討黃巢檄文). 중국 당나라 말기 농민 반란의 수장인 황소(黃巢, ?~884)를 토벌하기 위해 지은 글
으로 그 위명이 천하에 진동하였습니다. …(중략)… 우리나라 열성들께서 대를 이어 인재를 길러온 지가 100년이나 되었습니다. 그 사이에 난 인물들이 좋은 정수를 반죽하여 문장을 지어서 생동적이고 뛰어난 글이 또한 옛날보다 못하지 않을 정도입니다. 이것은 곧 우리 동방의 문장입니다. 송나라와 원나라의 글이 아니며, 또한 한나라·당나라의 글이 아니고 우리 동방의 문장입니다. …(중략)… 우리는 성상의 분부를 우러러 받아서 삼국시대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사부(辭賦)·시문(詩文) 등 약간의 글을 수집하여서, 글의 이치가 순정하여 백성을 다스리고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취하여 문체에 따라 분류하고 130권으로 정리하여 올린 바, 성상께서 동문선
'격문' 관련자료
'동문선' 관련자료
신 서거정
(徐居正)은 삼가 생각하건대 『주역』에 이르기를, “인문(人文)을 관찰하여 천하를 교화한다” 하였습니다. 대개 천지에는 자연의 문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인은 천지의 문장을 법으로 삼는 것입니다. 시대의 운수에는 성쇠(盛衰)의 다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문장에 높고 낮음의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육경 이후에는 오직 한·당·송·원과 명나라의 문장이 가장 옛것에 가까우니, 그것은 그 당시에 천지의 기운이 왕성하였으므로 큰 음향(音響)이 절로 완전하여 다른 시대처럼 남북 분열의 폐단이 없었던 까닭입니다.
'서거정' 관련자료
우리 동방의 문은 삼국 시대에서 비롯하여 고려 때에 융성하였고, 우리 조선에 와서 극(極)에 이르렀습니다. 문장이 천지 기운의 성쇠에 관계된 것은 여기에서도 상고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문장이란 것은 도(道)를 통하는 도구이므로, 육경(六經)의 문장은 문장을 잘 지으려고 뜻을 둔 것이 아닌데도 자연히 도에 합한 것입니다. 그러나 후세의 문장은 먼저 문장을 지으려고 뜻을 두기 때문에 때로는 도에 순수하지 못하기도 한 것입니다.
지금 공부하는 자들이 진실로 도에 마음을 두고 문장을 짓는 데만 힘쓰지 아니하며, 경에 근본하고 제자(諸子)에 애써 따르려 하지 않으며, 단아하고 바른 것을 숭상하고 허황된 것을 멀리하여 고명하고 정대(正大)하게 되면, 성인이 지은 글을 우익(羽翼)함에 있어 반드시 길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문장에만 뜻을 두고 도에 근본하지 아니하며, 육경의 법칙에 어긋나고 제자(諸子)의 범위에 빠져 버린다면, 문이 도를 통하는 문이 아니니, 오늘날 전하께서 계발하여 주신 거룩한 뜻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성스럽고 밝으신 이가 위에 계시며 천지의 기운이 성하니, 인물이 시기에 응하여 태어나서 문으로써 세상에 울릴 자가 반드시 잇달아 일어날 것이니, 어찌 사람이 없으리라 걱정되겠습니까. 신이 비록 재주가 없사오나 마땅히 붓을 잡고 기다리겠습니다.
성화 14년(1478, 성종
9) 무술 2월 하완에 순성명량좌리공신 숭정대부 달성군 겸 예문관 대제학지성균관사 동지경연사오위도양부도양관 신 서거정
은 머리를 조아리고 절하며 삼가 서(序)합니다.
'성종' 관련자료
'서거정' 관련자료
『동문선』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