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을 가는 방법 가운데 대전(代田)보다 좋은 것은 없다. 대전이 평평한 땅에 흩어 뿌리는 만전(縵田)보다 나은 점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만전에서는 곡식을 두둑에 심기 때문에 이슬이 햇볕에 말라 큰 가뭄을 한 번 만나면 씨앗이 번번이 살지 못한다. 대전에서는 고장에 심기 때문에 그늘지고 움푹 들어간 곳에 물기가 있어서 씨앗이 흙에서 쉽게 나온다. 이것이 대전의 첫 번째 좋은 점이다.
만전에서는 줄을 만들지 않고 씨앗을 흩뿌리기 때문에 김맬 때에 허리를 굽히고 쪼그려 앉아 작물의 뿌리를 살펴가며 북주기해야 하고 풀을 찾아다니며 뽑아 주어야 하므로, 장정의 하루 노동력으로도 겨우 3~4묘를 작업하는 데 그친다. 대전의 김매는 법에서는 자루가 긴 호미를 들고 선 채로 두둑의 흙을 갈라 좌우로 나누어 밀쳐놓으면 잡초는 쓰러지거나 뿌리가 뽑혀 저절로 곡물의 뿌리에 북주기 때문에 장정의 하루 노동력으로 십수 묘를 작업할 수 있다. 이것이 대전의 두 번째 나은 점이다.
만전에서는 촘촘하게 씨앗을 뿌리면 종자를 낭비하게 되고 성기게 씨앗을 뿌리면 땅을 낭비하게 되며, 되는 대로 뿌리기 때문에 통일됨이 없어 작물이 자라면 바람이 통하지 않는다. 대전에서는 치수에 규칙이 있고 줄과 열이 바르고 곧아 통풍이 고르게 되어 곡물이 고르게 익는다. 이것이 대전의 세 번째 나은 점이다.
만전에서는 씨앗을 뿌리는 곳이 본래부터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씨앗을 뿌리기에 앞서 똥거름을 준다. 너무 많이 주면 똥거름을 낭비하고 너무 적게 주면 효과가 없다. 대전에서는 고랑에 똥거름을 줄 때 거름을 뿌리에 집중적으로 줄 수 있다. 이것이 대전의 네 번째 나은 점이다.
만전에서는 뿌리가 깊이 내리지 않아 바람과 가뭄에 견디지 못한다. 대전에서는 뿌리를 도탑게 북주기하여 뿌리가 깊기 때문에 바람과 가뭄에 잘 견딘다. 이것이 대전의 다섯 번째 나은 점이다.
『임원경제지』, 본리지 권1, 전제, 제전, 대전
조의 재배는 후직(后稷)의 견전법(畎田法)
견종법
(畎種法)과 같은 것으로 종자를 고랑에 뿌리는 방식
을 쓰는 것이 최고다. 9~10월에 땅을 손질하는데, 세 번 갈고 여섯 번 써레질을 하여 흙을 매우 부드럽게 만든다. 쇠날 가래로 밭 경계에 큰 도랑[溝]을 파되, 깊이와 너비를 각각 2척이 되도록 만든다. 다시 밭 내부로 향하여 6척마다 가로로 작은 도랑을 파되, 길이와 너비를 각각 1.5척이 되게 만들며, 길이는 이랑[畝] 끝과 같게 한다.1)
'견종법' 관련자료
1)
두둑은 밭에서 골을 타서 만든 두두룩한 부분이고, 고랑은 밭두둑과 밭두둑 사이에 있는 골이다. 도랑은 배수로고, 이랑[畝]은 고랑과 두둑을 합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은 밭두둑과 같은 말로 사용되지만, 서유구
(徐有榘)는 1묘(畝)에 고랑 3개와 두둑 3개를 만든다고 하여 밭의 구획을 설명할 때 별도의 단위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흙을 쌓아 둔덕을 만든 부분은 두둑으로 통일하였다.
'서유구' 관련자료
다음 해 청명(淸明)
다섯 번째 절기로 음력 3월에 들어서며 양력으로는 4월 5~6일 경
과 곡우(穀雨)
여섯 번째 절기로서 음력 3월 중순경이며 양력 4월 20일 무렵
사이에 작은 보습[鑱]으로 이 이랑에다 고랑을 내는데, 너비 1척, 깊이 1척이다. 이렇게 한 이랑, 즉 1묘(畝)마다 고랑[畎] 3개와 두둑[伐] 3개를 만들면, 두둑의 높이와 너비는 고랑의 깊이와 너비와 같아진다. 그 뒤 고랑에 거름재를 두껍게 펴고, 구멍 뚫린 박에 조를 담고서 파종한다. 파종 간격은 일정해야 하며 덮어주는 흙의 두께는 손가락 하나의 두께만큼으로 한다. 그 땅의 습도나 강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서 노[勞]를 쓰든 끙게[撻]를 쓰든 둔차[砘]를 쓰든 한다.2)
2)
끙게는 씨앗을 뿌리고 흙을 덮거나 흙덩이를 부수거나 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연장이다. 끙게에 봇줄을 매고 사람이나 소가 끌고 다니면서 흙덩이를 부수고 땅바닥을 고른다.
모에 잎이 2, 3개 나면 손으로 김매면서 그루를 정한다. 작은 놈은 뽑아내고 큰 놈을 남겨 두어 0.4~0.5척마다 조 한 줄기를 남겨 둔다. 모가 두둑의 높이를 넘어서면 비로소 자루가 길고 살구 잎 모양의 호미로 선 채로 두둑의 흙을 갈라 뿌리에 대준다. 6~7일 지나 풀이 나면 다시 작은 보습으로 그 두둑을 갈아 풀을 제거하면서 뿌리에 북을 준다.
이와 같이 2~3차례 하면 고랑은 도리어 두둑이 되고, 두둑은 도리어 고랑이 된다. 뿌리는 흙 속 깊이 묻히게 되므로 가물어도 습기가 보존되며, 줄기는 두터운 북 가운데에 서게 되므로 센 바람에도 다치거나 꺾이지 않는다. 『한서(漢書)』「식화지(食貨志)」의 “바람과 가뭄을 견딘다”라는 말은 이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밭농사의 그림쇠[規]와 곱자[矩]이며 수준기[準]와 먹줄[繩]이다.
이 방법을 버리고 조를 재배하는 것은 그림쇠와 곱자를 쓰지 않고서 동그라미와 네모를 그리는 꼴이다.
『임원경제지』, 본리지 권5, 종예 상, 속류
- 두둑은 밭에서 골을 타서 만든 두두룩한 부분이고, 고랑은 밭두둑과 밭두둑 사이에 있는 골이다. 도랑은 배수로고, 이랑[畝]은 고랑과 두둑을 합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은 밭두둑과 같은 말로 사용되지만, 서유구
'서유구' 관련자료
- 끙게는 씨앗을 뿌리고 흙을 덮거나 흙덩이를 부수거나 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연장이다. 끙게에 봇줄을 매고 사람이나 소가 끌고 다니면서 흙덩이를 부수고 땅바닥을 고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