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나라는 중국 밖에 있어서 우 임금이 성(姓)을 내릴 때 참여하지 않았으니, 곧 하나의 동이(東夷)일 뿐이다. 단 기자의 자손이 선우씨(鮮于氏)가 되고, 고구려는 고씨(高氏)가 되었으며, 신라 여러 왕인 박(朴)·석(昔)·김(金) 세 성과 가락국(駕洛國) 군주인 김씨는 모두 임금으로서 자기 성을 가졌으니 이들은 귀한 종족이다. 신라 말부터는 중국과 교류하면서 성씨 제도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벼슬한 사람들만 성이 있었을 뿐 일반 서민은 성이 없었다.
고려가 삼한을 통일한 뒤 비로소 중국의 성씨 제도를 본떠 팔도에 성을 하사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성을 하사받기 전에도 계파가 서로 달랐기 때문에 본관(本貫)이 같은 이들을 택해 같은 성씨로 삼았다. 만일 본관이 다르면 성이 같더라도 다른 씨족이기 때문에 혼인을 막지 않았으니, 이것은 조상이 다르기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고려에서 내려준 성에 무슨 존귀함이 있겠는가? 그런데 지금 사대부
(士大夫)들은 이를 가지고 쓸데없이 너니 나니 하고 따지려 하니 한심한 일이다.
'사대부' 관련자료
우리나라(조선)는 국운이 트여 명분을 가지고 나라를 세웠다. 지금에 와서는 사대부
라는 명분이 매우 성대하고 많아졌으니 사람을 등용하는 데 문벌만 따지기 때문이다. 신분과 계층이 매우 많아 종실(宗室)과 사대부
는 중앙에서 벼슬하는 집안이고, 그 아래 사대부
는 시골의 품관(品官)1)
으로 중정(中正)이나 공조(功曹)
(譯官) 산원(算員), 의관이 되거나 지방의 한산인(閑散人)
(良民)이 있다. 그 아래 공사천(公私賤)이 있으니 노비이다. 노비부터 서울·지방의 이서가 하인(下人)으로 한 계층이고, 서얼
(庶孼)과 잡색(雜色)2)
은 또 중인
(中人)으로서 한 계층이며, 품관과 사대부
는 다 같이 양반
(兩班)이라 부르지만, 품관이 한 계층이고, 사대부
가 따로 한 계층이다.
'사대부'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1)
품계가 있는 벼슬. 품계는 1품에서 9품까지 있으며, 정(正)과 종(從)의 구분이 있다.
군(郡)에 두었던 하급 관직
와 같은 부류이다. 그 아래 사서(士庶)나 장교(將校), 역관
'역관' 관련자료
관계(官階)만 있고 직사(職事)가 없는 자
, 또 그 아래 이서(吏胥)
서리(胥吏)라고도 함
·군호(軍戶)·양민
'양민' 관련자료
'서얼' 관련자료
'중인'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양반'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사대부
중에서도 대가(大家)와 명가(名家)의 한계가 있어서 그 명목이 매우 많고, 서로 사귀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신분에) 구애되는 것이 많으니 성쇠와 존망의 변화가 없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대부
도 평민
으로 낮아지기도 하고, 평민
도 오래 지나면 높아져 사대부
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선우씨는 평양의 품관이 되었으니 지금은 사대부
가 없다. 석씨와 고씨는 씨가 말랐다. 오직 신라의 박씨와 김씨, 가락국의 김씨는 임금의 후손으로서 지금도 귀한 신분으로 높은 벼슬을 하고 번성하니, 이 두 성은 나라 안의 첫째가는 씨족이다.
'사대부'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평민' 관련자료
'평민'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사대부' 관련자료
또 우리나라에 자손을 남긴 중국인도 많다. 기자와 위만을 따라온 사람도 있고, 고려의 왕비와 공주를 따라온 사람도 있다. 고려와 원나라가 한 나라로 통해 있을 때는 두 나라 백성의 왕래를 막지 않았으므로 이사하여 그대로 머무른 사람도 있다. 이들은 고려에서 성은 하사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계파를 자세히 알 수 없고 높은 벼슬을 한 사람도 적다. 중국에서 들어와 높은 벼슬을 한 가문으로 온양 맹씨(溫陽孟氏), 연안 이씨(延安李氏), 여주 이씨(驪州李氏), 남양 홍씨(南陽洪氏), 원주 원씨(原州元氏), 해주 오씨(海州吳氏), 의령 남씨(宜寧南氏), 거창 신씨(居昌愼氏), 창원 황씨(昌原黃氏) 등은 이 중에 들어가지 않는다. 나머지는 모두 고려 때 성을 하사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사대부
의 족보
를 살살펴보면 (집안을) 일으킨 시조가 이 가운데 많이 나왔다.
'사대부' 관련자료
'족보' 관련자료
그러나 사물이란 세월이 오래 흐르면 바꾸기 어려운 법이다. 고려부터 지금까지는 800여 년이나 되는데, 그동안 비천한 신분에서 유래하여 존귀하게 되고 존귀함을 누대에 세습하며 덕행과 공업이 족히 역사에 빛나고 문헌에 전해질만 하다면, 이 어찌 중국의 최(崔)·노(盧)·왕(王)·사(謝)3)
의 후손만 못하다 하겠는가.
3)
최씨와 노씨는 중국 육조 시대에서 당나라 시대까지 명문 씨족으로, 이들과 혼인하는 것을 큰 영광으로 알았다. 왕씨와 사씨는 중국 진나라 때의 명망 있는 집안으로, 여러 대에 걸쳐 높은 벼슬을 했다.
『택리지』, 총론
- 품계가 있는 벼슬. 품계는 1품에서 9품까지 있으며, 정(正)과 종(從)의 구분이 있다.
- 조선 시대 군제의 하나로, 향교
'향교' 관련자료'역' 관련자료'천인' 관련자료'잡색군' 관련자료'세조' 관련자료'진관 체제' 관련자료
- 최씨와 노씨는 중국 육조 시대에서 당나라 시대까지 명문 씨족으로, 이들과 혼인하는 것을 큰 영광으로 알았다. 왕씨와 사씨는 중국 진나라 때의 명망 있는 집안으로, 여러 대에 걸쳐 높은 벼슬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