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교하기를, “선조(先朝)
(內奴婢)와 시노비
(寺奴婢)를 일찍이 혁파하고자 하셨으니, 내가 마땅히 이 뜻을 이어받아 지금부터 일체 혁파하려 한다. 그리고 그 급대(給代)는 장용영
(壯勇營)으로 하여금 거행하도록 하겠다” 하였다. 이어서 문임(文任)
정조
(正祖)를 말함
께서 내노비
'정조' 관련자료
'내노비' 관련자료
'시노비' 관련자료
'장용영' 관련자료
홍문관, 예문관의 제학
으로 하여금 윤음(綸音)을 대신 지어 효유하게 하고, 승지에게 명하여 내수사와 각 궁방(宮房) 및 각 관사(官司)의 노비안(奴婢案)
노비의 호구를 기록한 장부
을 돈화문(敦化門) 밖에서 불태우고 아뢰게 하였다.
【내수사(內需司)의 각 도 노비
와 영흥(永興)·함흥(咸興)의 두 본궁(本宮)에 소속된 노비
및 육상궁(毓祥宮)·선희궁(宣禧宮)·명례궁(明禮宮)·수진궁(壽進宮)·어의궁(於義宮)·용동궁(龍洞宮)·영빈방(寧嬪房)에 소속된 각 도의 노비
는 도합 36,974구(口)였고, 노비
안의 책 수는 160권이었다. 종묘
서(宗廟署)·사직
서(社稷署)·경모궁(景慕宮)·기로소(耆老所)·종친부(宗親府)·의정부
(議政府)·의빈부(儀賓府)·돈녕부(敦寧府)·충훈부(忠勳府)·상의원(尙衣院)·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형조(刑曹)·의금부(義禁府)·도총부(都摠府)·좌순청(左巡廳)·우순청(右巡廳)·장용영
(壯勇營)·내시부(內侍府)·장예원(掌隷院)·사간원(司諫院)·성균관
(成均館)·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종부시(宗簿寺)·내섬시(內贍寺)·사옹원(司饔院)·시강원(侍講院)·익위사(翊衛司)·사포서(司圃署)·중학(中學)·동학(東學)·남학(南學)·서학(西學)
에 소속된 각 도의 노비
는 도합 29,093구였고, 노비
안의 책 수는 1,209권이었다.】
'노비' 관련자료
'노비' 관련자료
'노비' 관련자료
'노비' 관련자료
'종묘' 관련자료
'사직' 관련자료
'의정부' 관련자료
'장용영' 관련자료
'성균관' 관련자료
'중학(中學)·동학(東學)·남학(南學)·서학(西學)' 관련자료
'노비' 관련자료
'노비' 관련자료
『순조실록』권2, 1년 1월 28일 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