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Ⅴ. 과학기술
  • 4. 신라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2) 천문기상 관측

(2) 천문기상 관측

 신라에서도 고구려와 백제에서와 같이 천상의 이변에 특히 주목하여 천문관측이 이루어졌다. 일식과 혜성의 관측이 제일 많이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도 다른 두 나라와 비슷하다. 일식은≪삼국사기≫에 기원전 54년 4월에서부터 256년 10월까지 19회의 기록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상하게도 그 후 787년 8월의 기사가 나타나기까지 무려 530년 동안 아무런 기록이 없다. 첨성대가 세워진 이후에도 일식기사가 없다는 것은≪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빠졌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혜성의 기사는 기원전 49년 3월에서부터 668년 4월까지 19회의 기록이 나타나 있다. 이 밖의 천변의 관측도 꾸준히 이루어졌다. 그 기사들은 신라의 천문관측도 고구려와 백제에서와 같이 독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말해주고 있다.

 ≪삼국사기≫와≪삼국유사≫의 천문기록들은 그것을 편찬할 때 천문관청의 기록이 완전하게 옮겨지지 않아서 불완전하지만, 신라의 천문관측자들이 남겨놓은 귀중한 자료이다.

 신라의 천문관측자들은 기상관측도 꾸준히 하고 있었다.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 보이는 기상의 이변 기사는 그 관측기록 중의 일부이다. 비와 눈, 바람, 그리고 흰무지개가 해와 달에 걸리는 白虹貫日月, 햇무리와 달무리, 지진, 기온 등이 특히 주의깊게 관측되었다. 두 사서에 기록된 관측기사만 해도 결코 적은 분량이 아닌 것을 보면, 신라의 관측자들은 기상 현상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관측제도를 세워놓고 규칙적으로 관측하고 기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