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Ⅲ. 수공업과 상업
  • 1. 수공업
  • 1) 관청 수공업
  • (2) 관청 수공업의 내부 분업

(2) 관청 수공업의 내부 분업

관청수공업장에 포괄되어 있던 각종 업종들은 관청수공업에서의 분업형태를 반영한 것이다. 이 시기 관청수공업의 업종들은 당시 생산된 제품들과 관청수공업장들에 배치되었던 장인들의 업종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또 관청수공업에서 진행되고 있던 분업 관계는≪高麗史≫食貨志 祿俸條에 있는 공장별사에 관한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다음의<표 2>는 각 관청에 속해 있던 공장들을 정리한 것이다.

소속명 수공업자
선공시
(장작감)
석공·목공·토공(?)
군기시
(군기감)
피갑장(2)-지유, 행수지유부승지
모장(2)-지유, 행수선절교위
화장(2)-지유, 행수교위
백갑장(2)-행수부위, 행수부장
장도장(2)-행수배융부위, 행수부장
각궁장(2)-배융교위(2)
칠장(2)-좌행수교위, 부행수교위
연장(2)-좌행수, 우행수
노통장(1)-부장
기화업(1)-행수교위
전장(2)-좌행수교위, 우행수교위
전두장(1)-행수부위
피장(2)-지유교위, 행수대장
장복서
(상의국)
수장(1)-지유
복두장(4)-전직동정, 지유승지, 행수교위, 행수부위
화장(靴匠)(1)-행수교위
화장(花匠)(1)-교위
대장(2)-지유승지, 행수교위
비혜장(1)-교위
홀대장(1)
공조서
(중상서)
화업(1)-지유
소목장(2)-지유승지, 행수교위
위장(1)-지유승지
홍정장(1)-행수교위
주홍장(1)-지유부위
나전장(1)
조각장(2)-지유전전, 행수교위
칠장(2)-좌·우행수교위
화장(1)-교위
지장(1)-행수부위
태복시
(사복시)
대첨장(1)-행수교위
안욕장(1)-행수교위
피장(1)-행수
내궁전고 각궁장(1)-행수교위
주렴장(1)-행수
죽저장(1)-행수교위
어개장(1)-교위
황단장(1)-교위
소장(1)-행수교위
마장(1)-행수교위
장야서 은장(3)-지유전전, 행수교위(2)
화장(3)-지유내전전, 행수교위(2)
백동장(1)-행수부위
적동장(1)-부위
경장(1)-행수교위
피대장(2)-행수교위(2)
금박장(2)-행수교위, 행수대장
생철장(2)-좌·우행수대장
도교서 목업(2)-지유, 행수교위
석업(1)-지유
석장(1)-행수
조각장(1)-지유전전
장복장(1)-행수교위
나장(1)-행수
도염서 염료장, 염색장(?)
잡직서 계장(3)-지유승지동, 행수교위(2)
수장(1)-행수교위
액정국 금장(2)-지유승지, 행수대장
라장(1)-행수교위
능장(1)-행수부정
봉거서
(상승국)
대첨장(1)-행수교위
안비장(1)-지유부위
안욕장(1)-행수교위
안교장(1)-행수부위
마장(1)-행수교위
지마장(2)-교위, 부위
전장(1)-행수교위
전두장(1)-행수교위
궁대장(1)-행수교위
태악관현 방  

<표 2>

*비고:≪高麗史≫권 80, 食貨 3, 工匠別賜.

이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3개 수공업관청에서 조직·운영하던 수공업장은 68개의 작업장에 62개의 업종이 포괄되어 있었다. 그리고 68개 작업장에는 97명의 상층 수공업자들이 소속되어 각기 해당 생산을 기술적으로 지도·통제하고 있었으며, 그들 밑에는 일정한 인원의 일반 수공업자들이 있었다. 군기감은 본래 군수품 생산을 목적으로 하여 조직된 것으로 여기에는 13개 업종에 23명의 상층 수공업자들이 배속되어 있었다. 13개의 업종 가운데서 노통장·전두장·기화업을 제외한 나머지 10개 업종에는 2명씩의 상층 수공업자들이 지유·행수·대장·부장이라는 명목으로 속해 있었고, 아마도 그들의 밑에는 몇 명씩의 일반 수공업자들이 속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부문에는 다른 부문과는 달리 거의 모든 업종에 2명의 상층 수공업자들이 배속된 것으로 보아 가장 많은 공장들이 소속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무기들을 질적으로 보다 좋게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공장들을 한가지 제품 생산에 전력하게 하려는 의도에서였다.

이런 조건 아래서 각 업종별로 작업장 내부 분업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갑옷 생산에서 피장과 피갑장 및 백갑장은 서로 분업을 행하고 있었다. 피장은 가죽을 이기고 피갑장이나 백갑장들은 그것으로 갑옷을 완성하였다. 또한 장도장과 연장 및 화장들 사이에서도 내부 분업이 이루어졌다. 즉 장도장이 장도를 단조하면 그것을 연장들이 담금질을 하고, 마지막으로 화장들이 잔새김질을 하여 장도자루에 장식함으로써 작업을 완성하였다.

중상서에서도 역시 분업이 존재하였다. 즉 여기에서는 왕정에서 쓰일 여러 가지 일용품과 사치품을 생산하는 업종을 포괄하고 있었다.≪高麗史≫식화지 공장별사조에 의하면, 중상서에는 16개 업종에 지유·지유승지·교위·행수교위·지유부위·지유전전 등 18명이 배속되어 기술적 지도를 담당하였다.

여기에서 특징적인 것은, 군기감에서는 생산기술의 지도와 통제를 맡은 상층 수공업자들이 거의 모든 업종에 2명씩 배치되어 있었던 데 반해 중상서에는 소목장들의 목공예부문과 조각장들의 조각부문 및 칠장들의 칠공예부문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업종에 1명씩의 상층 수공업자들이 배속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상서에서는 각각의 업종의 생산규모가 군기감보다 훨씬 영세하였음을 말해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포괄하고 있는 업종들은 16개나 되었는데, 이것은 중상서가 관청수공업장들 가운데서 여러 가지 다양한 수요품들을 생산 공급할 임무를 띤 수공업장이었음을 의미한다. 장야서·도교서·잡직서·상승국 등도 수공업장의 생산규모는 영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부 작업은 세밀하게 분화되어 있었다. 각각의 업종들의 생산규모가 영세함에도 불구하고 업종들이 세분화되었다는 것은, 관청수공업장들에서 작업장 내부 분업은 비교적 발전하였으나 생산공정별 분업은 발전하지 못하였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1313)흥희유,≪조선중세수공업사연구≫(과학백과사전출판부, 1978;지양사, 1989), 115쪽.

관청수공업에서 업종별 작업장 내부 분업이 상대적으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생산공정 간의 분업은 극히 미약하였다. 민간수공업에서는 물론 관청수공업에서도 한 사람의 수공업자가 혼자서 제품의 첫 공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제품이 완성되기까지의 전체 공정을 담당하는 과정으로 생산이 진행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