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6. 수산업
  • 1) 자연조건
  • (1) 일반적 특성

(1) 일반적 특성

수산업과 관련시켜 한반도의 지리적 조건을 말할 때에는 예로부터 ‘三面環海’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여 왔다. 그것은 우리나라가 아시아 대륙의 동북부에서 남쪽으로 돌출한 반도를 이루고 있어 수산업 개발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지니고 있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말이다.

한반도 주위에는 대소의 도서들이 많이 산재하여 있고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여 면적에 비하여 해안선의 길이가 길다. 이는 어업이나 수산양식업의 개발에 적합한 천혜의 좋은 어장을 마련하여 주고 있다.

또한 본토와 도서의 주변은 수산동식물의 서식에 적합한 광대한 대륙붕에 둘러싸여 있다. 연해를 흐르는 조류도 난류와 한류가 있고 양해류가 접촉하는 해역이 있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으로 말미암아 본토와 도서의 연해에는 서식하거나 회유하는 수산동식물의 종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 양도 매우 풍부하다.

육지에는 연안어장에 그 유수가 주입되는 크고 작은 하천이 많아 수산동식물의 번식과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과 해양의 비료라고 하는 營養鹽類를 대량으로 연안어장에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요인에 의하여 수산자원이 풍부한 어장이 연해 도처에 형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해역을 동해안·서해안 및 남해안으로 나누어 볼 때, 이 해역들은 자연지리적으로 구분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해역마다 특색있는 자연적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각 해역에 특색있는 수산동식물이 분포하고 그 특색에 맞는 漁具漁法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해역별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