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6. 수산업
  • 2) 어획물의 종류와 수산자원
  • (2) 수산자원의 분포상태

(2) 수산자원의 분포상태

조선시대 수산자원의 분포상태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첫째 당시의 모든 有用 수산동식물을 산지별로 밝혀 놓은 자료가 없으며, 둘째는 내수면이나 육지에서 아주 가까운 연안수역에 분포하는 것 이외에는 당시 어획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문헌에 밝혀진 종류만으로는 보다 넣은 범위에 걸친 수산자원의 분포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데 있다. 분포상태가 파악된다 하더라도 종류별로 자원량이 얼마나 풍부하였는지는 밝힐 수 없다. 어획통계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점이 있기는 하나 현재 이용가능한 당시의 지방별 어획물 종류를 통하여 수산자원 분포상태의 윤곽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의 水界에 있어서의 동물상과 식물상은 오늘날의 그것들과 큰 차이가 없었을 것임에 틀림없으므로 오늘날 이용할 수 있는 자료를 통하여 당시의 종류별 자원량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세종실록지리지≫와≪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어획물을 도별로 정리하여 수산자원의 분포상태를 알아보기로 한다.

道別 地理書 魚 類 貝類 甲殼類 海藻類 기타
水産動物
加工品 및
기타






民魚 眞魚 秀魚 石首魚
蘇魚 鱸魚 沙魚 加火魚
洪魚 白魚 銀口魚 刀
魚 廣魚 舌大魚 亡魚
到美魚 葦魚 緜魚
土花 石花
黃蛤 生蛤
牡蠣 小螺

 
白蝦 大蝦
中蝦 紫蝦
靑蟹
 
黃角



 
落地
烏賊魚


 
魚醢 乾鯉魚
鯉魚膽 乾
水魚 龜甲
鼈甲 蠣灰
輿


秀魚 石首魚 錦鱗魚 葦
魚 銀口魚 訥魚 鯽魚
鱸魚 黃石首魚 洪魚 眞
魚 蘇魚 白魚 民魚 兵
魚 錢魚 綿(緜)魚 黃魚
鯊魚 䰶魚 廣魚
石花 土花
竹蛤 小螺
黃蛤


 
蟹 靑蟹
白蝦 中蝦
紫蝦 大蝦


 
  落締
烏賊魚
好獨魚
海䑋

 
魚鰾




 






水魚 沙魚 民魚 洪魚
錢魚 靑魚 加火魚 刀魚
石首魚 白魚 鯉魚 眞魚
廣魚 銀口魚 准魚 紅魚
蘇魚 芒魚 黃水魚 細尾
魚 雄魚
石花 生蛤
生鮑



 
大蝦 紅大
蝦 白蝦
中蝦


 
細毛 黃角
海衣



 
落地
烏賊魚
烏魚


 
魚膠 烏魚骨
乾鯉魚 乾水
魚 鯉膽 龜
甲 鼈甲
輿


石首魚 秀魚 鱸魚 鯽魚
白魚 葦魚 鯊魚 靑魚
錢麻魚 洪魚 銀口魚 民
魚 眞魚 訥魚 刀魚 蘇
魚 廣魚 黃小魚 錦鱗魚
細尾魚 黃石首魚
石花 鰒江
瑤柱 土花
紅蛤 竹蛤


 
蟹蝦 大蝦 紫蝦 中蝦



 
海衣 黃角
細毛 靑角



 
烏賊魚
落締
海蔘


 
魚鰾




 






銀口魚 沙魚 大口魚 廣
魚 黃魚 洪魚 靑魚 都
音魚 舫魚 鯉魚

 
生鮑 紅蛤
牡蠣 石花


 




 
藿 牛毛
細毛 海衣
靑角 早藿
甘苔 海毛
粉藿 海藻
文魚
海蔘


 
乾蛤 全鮑
魚膠 魚皮
烏魚骨 乾水
魚 鯉膽 龜
甲 鼈甲
輿


銀口魚 大口魚 靑魚 洪
魚 鯽魚 黃魚 鯊魚, 石
首魚, 鱸魚, 秀魚, 廣魚
錢魚 魴魚 松魚 鯉魚
古刀魚 鰱魚 葦魚 眞魚
占察魚 白條魚 何首魚
鱖魚 蘇魚 白魚
鰒 紅蛤
石花 蛤
淡菜 黃
蛤 江瑤
柱 土花

 
蟹 紫蟹
紫蝦




 
藿 海衣
細毛 加士里 牛毛
絲藿 靑角
烏海藻
 
海蕩
文魚
絡締
烏賊魚
海獺

 
 






銀口魚 沙魚 石首魚 玉
頭魚 水魚 靑魚 節魚




 
紅蛤 石花
甘蛤 生蛤
生鮑 昆鮑



 
紅大蝦





 
粉藿 常藿
昆布 藿 甘
苔 牛毛 加
士里 海毛
海角 海衣
莓山伊 早
藿 黃角
烏賊魚
落地




 
烏魚骨 全鮑
鯉膽 條鮑 魚
膠 玳瑁 引鮑
乾水魚 乾紅
蛤 槌鮑 石決
明 龜甲 乾鯉
鼈甲
輿


秀魚 銀口魚 鯽魚 石首
魚 眞魚 葦魚 刀魚 兵魚
鱸魚 鯊魚 古刀魚 行魚
玉頭魚 靑魚 白魚 洪魚
廣魚 緜魚 蘇魚 釘魚 民
魚 黃魚 錢魚 寶開魚
石花 鰒紅
蛤 蛤 黃蛤
甘蛤 鸚鵡
螺 螺 土花
竹蛤 江瑤
柱 小蛤 貝
蟹 大蝦
蝦 紫蝦
白蝦 大蟹


 
海衣 藿
甘苔 黃角
牛毛 細毛
加士里 莓

 
烏賊魚
絡締
海蔘


 
魚鰾 玳瑁
石決明



 






靑魚 水魚 沙魚 民魚 古
道魚 首魚 石道魚 銀口


 
竹蛤 牡蠣



 
螺 紫螺
白蝦


 
靑角 黃角
海藻 絲藿


 
絡締



 
魚油 魚膠
乾水魚 紫蝦
醢 魚醢 龜
甲 鯉魚膽
鼈甲
輿


秀魚 鯽魚 訥魚 靑魚 銀
口魚 白魚 錦鱗魚 石首
魚 洪魚 葦魚 鯊魚 蘇魚
麻魚 鱸魚
 
竹蛤 小螺
鰒 石花
紅蛤 蛤
輪花 土花
蟹 紫蝦
白蝦 大蝦
海蔘

 
  絡締



 
魚鰾



 






大口魚 水魚 沙魚 年魚


 
紅蛤


 
  藿 常藿
昆布 海藻

 
文魚


 
全鮑鮑甲石
決明烏魚骨
海獺皮魚油
魚皮 膃訥臍
輿


訥魚 餘項魚 錦鱗魚 古
刀魚 黃魚 廣魚 松魚 大
口魚 魴魚 鰱魚 銀口魚
銀魚 秀魚 赤魚 麻魚 何
首魚 雙足魚 白魚 鱸魚
鰒 紅蛤
回細蛤


 
紫蟹



 
藿 海衣
細毛 牛毛


 
海蔘
文魚
海獺

 
 




民魚 沙魚 水魚 石首魚
准魚 廣魚 加火魚 蘇魚
洪魚 細鱗魚
石花 牡蠣

 
大蝦

 
  烏賊魚

 
魚膠 沙魚皮
鼈甲
 
輿


秀魚 洪魚 餘項魚 石首
魚 銀口魚 鱸魚 鯊魚 民
魚 眞魚 廣魚 蘇魚 錦鱗
魚 訥魚 鯽魚 葦魚 麻魚
細魚 靑魚 綿魚
石花 蛤
土花 竹蛤
小蛤

 
蝦 紫蝦
蟹 細蝦
大蝦 中蝦
 
  落締
烏賊魚


 
魚鰾



 






年魚 大口魚 古道魚 松
魚 魴魚 黃魚 瓜魚 行魚
沙魚 愁伊只魚 靑魚 僧
魚 餘項魚 銀魚
石花 紅蛤
海蛤 牡蠣
生鮑
 
  多絲亇 藿
昆布 海帶
牛毛 細毛
 
八梢魚
(俗號
文魚)
文魚
全鮑


 
輿


松魚 鰱魚 魴魚 麻魚 黃
魚 銀魚 大口魚 洪魚 秀
魚 銀口魚 廣魚 瓜魚 餘
項魚 無泰魚 鯽魚 錢魚
雙魚 白魚 臨淵水魚 筆魚
紅蛤 鰒蛤
石花 江瑤

白蛤 輪花
 
蟹 紫蟹
紫蝦


 
  文魚
海獺


 
 

<표 1>조선 초기 어획물의 도별 분포

*1. 나열 순서는 대체로 빈도수에 의함.
*2. 地理志는≪世宗實錄地理志≫,≪輿地勝覽≫은≪新增東國輿地勝覽≫을 나타냄.

하천이나 湖沼 등의 내수면에 사는 담수어, 하구나 汽水域에 사는 어류, 바다에서 하천으로 올라오는 溯河性 어류 등이 많이 보이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은어·붕어·잉어·열목이·쏘가리·누치·백조어·황어·중고기·빙어·숭어·웅어·뱅어·농어·연어·송어 등이 그러한 어류이다. 연어와 송어는 대표적 소하성 어류이다. 당시의 어업기술 수준이 아직 낮았기 때문에 내수면이나 하구 등에서 어로활동이 성행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은어(銀口魚)는 하천이 있는 곳에서는 어느 곳에서나 잡았던 것 같은데 모든 도에서 어획되었다.

조선 후기의 주요 어획물은 명태·조기·청어·대구·멸치·새우 등이었는데, 명태와 멸치를 제외하고는 조선 초기에도 많이 잡혔던 것 같다. 조기(石首魚)는 서해안을 대표하는 어류이다. 이는 강원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모든 도에서 어획되었다. 청어는 경기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모든 도에서 어획되었는데, 동·남·서의 3해안에 걸쳐 분포하였던 것이다. 청어는 자원 변동이 심한 어류였는데 서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서해계와 동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동해계의 2계통군이 있었다. 대구는 경상도·강원도 및 함경도에서 어획되었다. 예로부터 경상도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었으므로 남해안을 대표하는 어류라고 할 수 있다. 새우의 경우 젓새우나 곤쟁이는 서해안에서 많이 잡히는데 과거에도 그러하였다.

이 밖에 상어를 많이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어떤 종류의 상어인지는 모르나 모든 도에서 잡았다. 넙치도 황해도를 제외한 모든 도에서 잡혔다. 고등어는 세 연안 즉 경상도·전라도·황해도·강원도 및 함경도에서 잡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