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Ⅰ. 임진왜란
  • 3. 강화회담의 결렬과 일본의 재침
  • 1) 강화회담의 진행과 결렬
  • (1) 평양수복 전 조·명과 일본의 교섭
  • 나. 명과 일본의 교섭

나. 명과 일본의 교섭

 명은 왜군이 임진강을 넘어 북상하자, 조선이 일본과 공모하여 요동으로 침범할 것이라는 유언에 의구심을 품고 중국의 안보는 조선의 안위와 직결된다는 「脣亡齒寒論」에 근거하여 선조 25년(1592) 5월 중순부터 전황을 정탐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의주목사 黃璡의 경직된 응대로 그들의 의심은 더욱 증폭되었다.

 왜군이 평양으로 들어오자, 寧邊에 머물던 선조는 요동으로 피란할 것을 조신들에게 강요하게 되었고, 조신들의 다수는 국왕이 요동으로 내부하게 되면 국가의 최고권력은 공백이 되어 對倭應戰體制는 물론 국가가 붕괴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선조의 禪位까지 반공개적으로 거론하였다. 그리하여 선조와 조신들은 정치적으로 타협하여 세자 光海君의 조정인 分朝를 설치하게 되었다(1차 分朝). 이로써 선조는 오동으로 피란하겠다고 遼東都司에게 알렸고, 분조는 대왜응전의 구심점이 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한편 명나라 조정은 조선이 請援使 이덕형을 보내기도 전에 왜란이 명의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수천의 요동군을 조선에 긴급 출동시켰으나 조선과 일본이 공모하고 있다는 외교상 오해를 완전히 해소할 수 없자 곧 철수시켰다.

 반면 선조는 요동으로 피란하려 하였지만 안으로 조신들의 계속된 반대와 밖으로 명나라 조정의 견제를 받아 의주에 머물러야 했다. 그러므로 조선의 대왜응전체제는 선조의 조정인 行朝와 광해군의 分朝로 이원화되었다. 이후 행조는 의주에서 명나라 조정의 외교적 오해를 해소시킬 수 있었으므로 명나라 조정도 앞서 의결을 보았던 조선구원을 실행에 옮겨 선조 25년 7월 중순에 副總兵 祖承訓이 평양을 공격하게 되었다.

 명군의 평양공격은 실패하였지만 명나라가 왜란의 교전당사국으로 등장하게 되었으므로 조선과 일본의 전쟁수행의 전략이 크게 바뀌게 되었고, 명나라 또한 이 전투의 패전으로 대왜전의 수행에 신중하게 대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먼저 평양의 소서행장은 더 이상의 북침을 유보하였다. 승승장구하던 왜군 은 해전에서 全羅左水使 李舜臣의 연승과 육전에서 下三道에서 봉기한 의병 의 활약으로 이미 그들의 수륙병진작전에서 좌절을 경험하고 수세에 몰리고 있었다. 그러므로 깊이 북상한 평양의 왜군은 앞으로 닥쳐올 추위와 군량의 부족은 물론 명군의 재공격을 매우 두려워하게 되었던 것이다.

 반면 조정은 명의 재차 내원을 확신하게 되어 청병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조선군은 成川에 있던 분조의 소속군과 順安에 있던 도원수 김명원의 예하군이 서로 연계하여 江東 순안·永柔·江西를 잇는 대왜 방어선을 구축하고 평양의 왜군에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명나라 조정 또한 대규모의 명군을 재차 출병시킬 작전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명의 국내에서 寧夏의 난이 진행되고 있어 명군의 조기출병이 어려웠으므로 兵部尙書 石星은 和·戰 양면책을 기도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석성은 遊擊將軍 沈惟敬으로 하여금 평양의 소서행장에 대한 강화교섭을 전개하게 하였다.

 심유경은 9월초 평양에 와서 수세에 몰려 있던 소서행장과 협상하였는데 소서측이 명의 封貢을 원하였으므로 이 제안을 명나라 조정에 주선하겠다고 호언장담하였다. 그리하여 양자는 평양 서북방에 위치한 斧山院에 標木을 세 워 조선군과 왜군이 50일간 임시로 휴전할 것에 합의하였다. 따라서 양군의 전투는 이 지역에서만은 소강상태로 들어갔다.

 이 임시휴전 사이에 명나라 조정은 영하의 난을 평정하고 대규모의 명군을 요동으로 집결시킬 수 있게 되자, 經略 宋應昌과 提督 李如松의 對倭決戰論을 수용하게 되었다. 한편 심유경도 그 해 11월 하순 평양으로 돌아와 소서행장과 강화협상을 재개하게 되었을 때 명의 대왜결전의 분위기를 배경으로 왜군 점령지의 반환과 포로로 잡힌 조선의 왕자와 대신의 송환 및 왜군의 완전 철수를 제의하였다. 반면 소서행장은 봉공과 대동강 동쪽의 할양을 요구하였다. 이로써 양자의 교섭은 진전될 수 없게 되었고, 명나라 조정은 이 기회에 왜침의 후환을 완전히 제거하기로 확정하였다.

 한편 조선조정은 명군의 출병이 요동에서 지연되고 있고 여진의 奴兒哈赤 (누르하치)까지 참전의사를 밝혀 오고 왜군 또한 조선의 분할설을 유포시키자, 심유경이 강화교섭에서 조선의 영토를 매개로 흥정하는 것이 아닌가 극도로 의심하게 되었다 조정은 요동에 진주하고 있던 경략 송응창과 제독 이여송에게 직접 명군의 조속한 출동을 촉구하는 한편, 심유경의 강화교섭에 대한 조선의 의구심을 해명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다.

 송응창은 조선에 왜군이 점거한 모든 점령지를 반환하고 본국으로 철수하지 않는 한 일본과는 강화할 수 없다는 단호한 입장을 조선조정에 알려왔다. 그는

倭奴가 평양을 명에 주고 조선에 양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간입니다.… 어찌 타국의 위급함을 이용하여 타국의 땅을 탈취하겠습니까 … 만약 평양 등지를 빼앗으면 … 일이 평정된 후에 本部는 즉시 철수할 것입니다(≪宣祖實錄≫권 33, 선조 25년 12월 계묘).

 라고 하여 조선의 분할설에 대하여 명은 조선을 구원하여 승리하여도 조선영토에 대한 지배욕이 없음을 문서로 조선과 약속하였다 이후 명측은 조선의 영토할양을 조건으로 하는 대왜강화교섭만은 배제하였던 것 같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