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Ⅴ. 문학과 예술
  • 3. 음악
  • 4) 향악조
  • (2) 계면조의 음계변화

(2) 계면조의 음계변화

 고래로 평조와 계면조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 악조이다. 본래 평조는 화평하고 계면조는 비감하다. 그러한 이유에서인지, 조선시대에는 두 악조 가운데 항상 평조가 계면조보다 더 애호되었다.≪시용향악보≫에는 평조 악곡이 계면조 악곡보다 월등히 많으며, 대엽곡과 만대엽도 평조로만 연주되었다. 또한 옛 악보에도 대부분 평조 악곡이 계면조 악곡에 선행하여 기록되었다. 그리고≪양금신보≫에서는 평조계면조의 악곡은 실제 연주에서도 어려운 것으로 취급되었다.

 평조 악곡은 악상이 평담하기 때문에 계면조보다 더 애호되었고, 또한 계면조 악곡들은 악상이 비감하여 상대적으로 평조보다 덜 애호된 것이라고 한다면, 계면조의 음계 변질은 필연적인 결과라고도 하겠다. 그 변질된 새 계면조는 본래 계면조의 上一이 上二만큼 높아져서 궁과의 간격이 넓어진 것이며, 그에 따라서 그 악상이 더 이상 비감하지 않게 된 것이고, 그 곡들은 결과적으로 평조처럼 담담한 악곡이 되었기 때문이다.0940)황준연,<평조와 계면조의 특성>(≪한국음악연구≫20, 1992), 178∼188쪽.

 변질된 계면조는 본래의 계면조와 다르고, 다음<표 3>처럼 오히려 평조음계와 가깝게 되었다.

 계면조의 음계변화가 어느 때에 일어난 현상인지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대개 18세기의≪어은보≫에서 변화가 시작된다 하겠다. 즉≪어은보≫의 羽調樂時調는 같은 악보의 여타의 계면조 악곡과 그 지법이 달라서 변질된 계면조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신종의 계면조 악곡은 그 곡상이 종래의 계면조와 다른 것이어서인지, 계면조임에도 제목이 우조낙시조라고 기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계면조의 변화는≪遊藝志≫의 가곡과 영산회상에서는 완전히 뿌리를 내리게 된다.

下二 下一 上一 上二 비 고
황종궁
황종궁
황종궁
임종
임종
임종
무역

남려
황종
황종
황종
협종

태주
중려
중려
중려
본래의 계면조
변질된 계면조
평조

<표 3>계면조음계와 평조음계 비교

 가곡에서 비롯한 음계변화는 풍류로 이어졌고, 다시 종묘제향악의 정대업음계의 변질로 이어진 것 같다. 정대업의 계면조 구성음 宮과 下五 황종이 장2도 낮아져서 무역으로 바뀜으로써 그 음계가 평조화되었는데, 그것은 대개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계면조의 上一이 없어지는 음계변화로 가곡과 풍류의 평조는 물론 계면조 악곡까지도 거의 평담한 악상을 지니게 되고, 그러한 계면조 음악의 혁신은 곧 正樂의 성립이라고 할 수 있다. 정악은 어디까지나 비감하지 않고 아정한 음악이기 때문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