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3권  국권회복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3.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 5) 민족문화운동
  • (3) 민족적 종교운동

(3) 민족적 종교운동

애국계몽가들은 한말에 있어서 현실적인 국권회복의 길은 경제력과 군사력 같은 有形의 자강력보다는 오히려 無形의 자강력으로서 자국의 역사를 보전하는 것과 동시에, 주체의식을 배양하고 이를 국민에게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종교에 있다고 하는 ‘信敎自强論’을 주장하였다.1046)≪大韓每日申報≫, 1905년 12월 1일, 논설<信敎自强>.

한말에는 외세의 유입으로 한국의 전통문화가 붕괴되면서 각종 매국적 종교가 생성하였다. 민족적 종교운동은 일제 통감부의 종교계에 대한 친일화 공작에 대응하여 일어났다. 일제 통감부는 일진회를 지원하여 東學을 친일종교로 만들려고 했고, 大東學會(후에 孔子敎로 개칭)를 만들어 유교계의 친일화를 기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東亞基督敎協會를 조직하여 기독교계를, 淨土敎會와 神宮敬義會를 조직하여 불교계를 친일화하려는 공작을 폈다.1047)愼鏞廈,<韓末의 愛國啓蒙運動>(≪韓國近代史와 社會變動≫, 문학과 지성사, 1980), 92∼93쪽. 이에 맞서 애국계몽가들은 민족적 종교를 창건하거나 전래의 유교 및 외래의 기독교를 이용하여 구국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한말에 민족적 종교를 표방하고 민족운동을 전개했던 대표적 종교는 1905년 12월 孫秉熙가 동학에서 개칭한 天道敎와 1909년 1월 나철이 창시한 大倧敎였다.

1894년 농민전쟁의 형태로 민족운동을 전개했던 동학은 1900년대에 이르러 李容九가 주도하는 侍天敎와 손병희가 주도하는 천도교로 분립되었다. 시천교는 일진회의 앞잡이가 되어 친일행각을 일삼았으며, 천도교는 애국계몽운동에 적극 동참하여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1900년 동학의 3대 교주가 된 손병희는 과격했던 동학농민전쟁의 배타적 성격을 벗어나 개화의 방향으로 노선을 바꾸어 갔다. 그는 1901년 이후 일본에 건너가 권동진·오세창·趙羲淵·李軫鎬·趙羲聞·朴泳孝 등 망명중인 개화파 인사들과 교유하면서 개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일본에 64명의 유학생을 파견하기도 하였다.1048)義菴孫秉熙先生紀念事業會,≪義菴孫秉熙先生傳記≫(1967), 161·170∼171쪽. 1904년 이용구가 동학교도들을 중심으로 조직한 進步會는 강연회를 개최하며 민중계몽운동을 전개했으나,1049)白世明,<甲辰革新運動과 東學>(≪韓國思想叢書≫Ⅲ, 泰光文化社, 1975), 408∼411쪽. 진보회와 통합한 일진회는 1905년 11월에 일본의 보호정치를 주장하는 매국적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일본에서 이 사실을 들은 손병희는 1905년 12월 동학을 天道敎로 개명하고,1050)≪帝國新聞≫, 1905년 12월 1일. 천도교 활동의 목표를 민족의 자주독립과 개화혁신으로 삼았다. 그는 귀국 후 친일단체인 일진회와 결별하고, 이용구 이하 62명을 출교시킴으로써 반일 민족종교로서 천도교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1051)≪皇城新聞≫, 1906년 9월 20일, 잡보<天道敎決議>·9월 21일, 잡보<天道敎人黜敎>.

당시 천도교는 ①자주독립의 실현을 위한 민족교육사업, ②民智계발과 문명개화를 위한 언론출판사업, ③민족의식의 고취를 위한 국민계몽운동을 추진하였다.1052)黃善嬉,≪東學의 思想變遷과 民族運動硏究≫(단국대 박사학위 논문, 1990), 177∼196쪽. 천도교는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기보다는 재정난으로 학교 운영이 어려운 私學을 인수하여 경영하는데 주력하였다. 당시 천도교가 인수하여 경영한 학교로는 普成學校와 同德女學校가 있다.1053)金應祚,<天道敎의 文化運動>(≪人文科學硏究≫2, 성신여대, 1983), 62∼67쪽. 한편 손병희는 귀국시 인쇄기와 활자를 들여와 인쇄소를 설치하고, 1906년 6월 천도교 기관지인≪만세보≫를 발행했는데, 그 목적은 국민계몽에 있었다.1054)崔起榮, 앞의 책, 72∼75쪽. 그러므로 만세보는 국한문 혼용으로 발행되었고, 한문에는 반드시 한글로 토를 달아 민중계도의 본래 취지에 충실하였다.1055)金應祚, 앞의 글, 68∼69쪽.

이처럼 천도교는 한말에 민족교육을 실시하고 민족언론지를 발간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데 노력했고, 다수의 천도교도들은 대한협회에 가입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주도했으며, ‘한일합방’ 이후에는 기독교세력과 연합하여 3·1운동을 주도하면서 종교적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大倧敎는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국조 檀君을 구심점으로 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민족의 단합을 추구한 민족적 종교였다. 羅喆·吳基鎬·金允植·金寅植 등 애국지사들은 한국의 독립은 민족의식과 주체적인 자주독립사상에 있다고 인식하고, 1909년 1월 檀君敎, 곧 대종교를 창시하였다.1056)朴永錫,<大倧敎의 民族意識과 民族獨立運動>(≪日帝下獨立運動史硏究≫, 一潮閣, 1993), 249∼250쪽.

원래 나철은 동양평화론에 입각하여, 그리고 국제공법과 한·일간의 조약에 근거하여 주권을 회복하고자 민간외교활동을 벌였으나, 을사조약의 체결로 외교를 통한 구국운동에 한계를 느끼게 되어 을사오적의 처단을 계획하게 되었다.1057)박영석, 위의 글, 247∼248쪽.
박 환,≪滿洲韓人民族運動史硏究≫(一潮閣, 1991), 261∼266쪽.
그는 비밀결사인 自新會를 조직하여 을사5적의 암살을 기도하는 한편, 일본의 침략에 경각심을 일으키는 국민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1058)崔永禧, 앞의 글, 615쪽.

대종교의 계몽활동은 대한협회·호남학회 등 당시의 애국계몽단체와 연계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나철은 오기호·尹柱瓚(대한협회 회원)·李沂·崔東植·金永采·金寅植·李光秀 등과 함께 호남학회에 가입하여 교육구국운동에 열중하였다. 이들은 국어·국사의 연구 및 민족교육에 전력을 기울였는데, 국사교육 특히 개국시조 단군을 구심점으로 하는 민족정신교육에 힘썼다.1059)박 환, 앞의 책, 269쪽.‘한일합방’ 이후 대종교는 1911년에 만주에 支司를 설치하고, 1914년에는 總本司를 북간도 和龍縣 靑波湖로 이전하여 민족교육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고, 무장투쟁을 위한 重光團을 창립하는 등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1060)朴永錫, 앞의 글, 255∼280쪽.

이와 같이 대종교는 한말에 민족의식의 고취를 목적으로 조직되어 국권회복을 위한 항일투쟁의 정신적 구심체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국권피탈 이후에는 만주로 본부를 옮겨 수많은 애국계몽가들과 의병 출신 애국지사들을 입교시켜 항일독립운동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1909년 이용직·김윤식 등 전·현직 고급관료와 박은식·장지연·원영의 등 개신유학적인 애국계몽인사들은 일제가 大東學會를 만들어 유림계를 친일화하려는 정치공작에 대응하여, 유교적 전통을 국권회복에 동원하고자 大同敎를 창건하여, 다수의 유림들을 애국계몽운동에 끌어들여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1061)愼鏞廈,<朴殷植의 儒敎求新論·陽明學論·大同思想>(≪歷史學報≫73, 1977), 70∼81쪽. 대동교는 儒敎求新의 입장에서 조직된 종교단체로, 전통사상인 유교를 개혁하여 이를 구심점으로 민족의 단합을 유도하고 일제의 침략에 대항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민족적 종교운동 이외에도 외래적 종교 특히 기독교계의 민족운동은 주목할만 하였다. 윤치호·이상재·안창호·이동휘·전덕기 등 다수의 기독교인 애국계몽인사들은 황성기독교청년회·상동청년회 등 기독교단체와 한영서원 등 근대학교를 설립 또는 운영하며 민중계몽과 교육구국운동에 앞장섰다. 전국 각지에 설립된 기독교 학교와 기독교 교회는 근대의식과 민족의식의 고양에 크게 기여하였다. 예컨대 기독교 선교사가 세운 평양의 崇實中學과 崇實大學은 그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을사조약 반대운동과 신민회의 국권회복운동에 참여했고, 조선국민회의 비밀결사운동과 평양의 3·1운동 및 평양학생 만세시위를 주도하는 등 항일민족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일제가 불온사상의 근거지로 간주할 정도로 북한지역 민족운동의 총본산이 되었다.1062)柳永烈,<韓國 최초 近代大學의 설립과 民族的 성격>(≪한국민족운동사연구≫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97), 111∼118쪽.

사실상 한말과 일제시대에 한국의 기독교는 신앙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문제의 해결에 힘을 기울여 다분히 민족적 종교의 성격을 띠고 있었던 것이다. 일제시대에 민족독립운동의 최고봉을 이루는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16인이 기독교 신도였다는 사실은 이를 단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