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명 | 기획 | 자료해설 자문 | 연출 | 시나리오 구성 | 기획 제작 | 구축연도 |
---|---|---|---|---|---|---|
석탑 | 김소남 박남수 |
박경식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
안현진 | (주)아리랑TV미디어 | 2016 |
무덤 | 김재홍 | |||||
토우와 토용 | 김현희 | |||||
토기 | 권오영 | |||||
기와 | 이병호 | |||||
조선시대 회화 | 조규희 | |||||
한국의 성 | 서정석 | |||||
불사 | 이기선 | |||||
음악 | 송지원 | |||||
도성과 왕궁 | 박순발 | |||||
고려청자 | 전미희 김소남 |
조은정 | 윤종원 | 김미현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7 |
분청사기 | 박경자 | |||||
백자 | 박정민 | |||||
복식 | 이은주 | |||||
사찰건축 | 이종수 | 최광석 | 배수영 | |||
고려불화 | 김정희 | |||||
서예 | 손환일 | |||||
지도 | 양보경 | |||||
동종 | 김소남 임천환 |
원보현 | 윤종원 | 배수영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8 |
서원 | 조재모 | |||||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 정성희 | |||||
제지술과 인쇄술 | 이재정 | |||||
통신사행렬도 | 정은주 | 최광석 | 김미현 | |||
한글소설 | 유춘동 | |||||
화폐 | 정수환 | |||||
석빙고 | 임천환 서일수 |
김지영 | 김기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19 |
활 | 최형국 | |||||
화약무기 | 김해인 | 문현성 | 한정옥 | |||
배 | 김병륜 | |||||
김치 | 김혜숙 | 윤종원 | 나누리 | |||
인삼 | 김성수 | |||||
담배 | 임성수 | 신정화 | 윤옥희 | |||
구황작물 | 구열회 | |||||
온돌 | 임천환 이홍구 |
경석현 | 윤종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20 |
농기구 | 염정섭 | |||||
바둑 | 남치형 | 김기원 | 김자경 | |||
문방사우 | 김지나 | |||||
화장 | 이민주 | 신정화 | 한정옥 | |||
관례 | 김지영 | |||||
목간 | 이경섭 | 문현성 | 이나경 | |||
봉수 | 김경태 | |||||
판소리 | 신재호 이홍구 |
최혜진 | 문현성 | 곽기연 | 스토리라인 | 2021 |
궁중음식 | 박은혜 | |||||
의궤 | 신병주 | 김기원 | 나누리 | |||
갓과 모자 | 장경희 | 김기원, 윤종원 | ||||
종묘 | 조재모 | 윤종원 | 정은주 | |||
종묘제례악 | 송지원 | |||||
감염병과 방역 | 김호 | 신정화 | 한정옥 | |||
풍속화 | 유재빈 | |||||
궁궐 | 신재호 이홍구 |
조재모 | 김기원 | 한정옥 | 스토리라인 | 2022 |
전통정원 | 소현수 | |||||
조선왕조실록 | 강문식 | |||||
칠공예 | 최영숙 | 신정화 | 김자경 | |||
염직 | 백영미 | |||||
탈놀이 | 허용호 | 윤종원, 유환수 | 임승연 | |||
궁중무용 | 손선숙 | 문현성 | ||||
민화 | 유미나 | 문현성 | 나누리 | |||
어보 | 성인근 | |||||
읍성 | 신재호 이주호 |
이일갑 | 지해 김성진 |
하원기 | 스튜디오바카 | 2023 |
혼례 | 김연수 | |||||
질그릇 | 한혜선 | 지해 손희창 |
홍종화 | |||
탱화 | 유경희 | |||||
농악 | 양옥경 | |||||
해녀 | 오상학 | 지해 김정동 |
||||
한옥 | 신재호 이주호 |
송인호 | 김기원 | 임승연 | 스토리라인 | 2024 |
한글타자기 | 김태호 | |||||
도시한옥 | 송인호 | |||||
달항아리 | 박정민 | |||||
상감청자 | ||||||
수원화성 | 조재모 | 신정화 | 곽기연 | |||
도산서원과병산서원 | ||||||
소쇄원 | 소현수 | |||||
기산 풍속화 | 유재빈 | 윤종원 | 이나경 | |||
책거리(책가도) |
개인이 이루기 시작한 정원이지만, 한 사람만의 정원이 아니었고, 아름답지만, 그저 ‘아름답다’라고만 설명될 수 없는 곳
선비의 이상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한국 전통 정원의 백미, 소쇄원을 만나봅니다.
소쇄원 – 자연과 소통하는 선비 문화의 정원
정치의 꿈을 접고 귀향한 선비 양산보가 가꾸기 시작하여 100여 년에 걸쳐 후손들에 의해 완성된 별서 소쇄원-
있는 그대로의 자연 속에 건축물을 조성한 전통 원림으로, 선비의 이상을 담아낸 사대부 정원입니다.
대숲을 지나 계곡에 걸쳐진 좁은 다리를 건너면 세속을 떠나 신선의 세계로 넘어온 듯한 소쇄원의 풍경 속으로 들어서게 됩니다. 소쇄원 초입, 정원의 전체 풍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대봉대’에서는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선비의 바람과 함께, 귀한 손님이 오기를 기대하는 주인의 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소리를 따라 계곡으로 가면 문인들과 함께 글을 읽고, 풍류를 즐기던 공간 ‘광풍각’이 있는데요. 바람과 물소리까지 끌어들이는 개방적인 구조로, 자연에서 풍경을 빌려오는 차경 기법을 적용한 자연친화적인 설계가 돋보입니다.
소쇄원은 자연을 벗삼아 풍류를 즐기고, 지인들과 교류하며 다양한 창작 활동을 하던 선비들의 문학과 소통의 공간으로서도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는 곳인데요. 송순, 김인후, 정철 등 소쇄원을 찾은 저명한 학자들이 수많은 시가를 남겨놓아, 당시의 풍경과 감흥이 현재까지 생생히 전해집니다.
양산보는 선비의 인물됨을 상징하는 ‘광풍제월’을 지향하며 정원의 꽃과 나무 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여 소쇄원을 자연과 선비의 이상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였는데요.
양지 바른 담장에는 부모님에 대한 효심을 새기고 물 흐름 하나 거스르지 않고 그대로 포용한 자연 친화적 태도에서 우리는, 한국 전통 정원의 가치와 미의식을 만날 수 있습니다.
小亭憑欄 작은 정자 난간에 기대어
瀟灑園中景 소쇄원의 빼어난 경치
渾成瀟灑亭 한데 어울려 소쇄정 이루었네
擡眸輸颯爽 눈을 쳐들면 시원한 바람 불어오고
側耳聽瓏玲 귀 기울이면 구슬 굴리는 물소리 들려라
- 하서 김인후 「소쇄원 48영」 中 제1영
[에필로그]
자연을 벗 삼아 풍류를 즐기고 소통하던 선비들의 교류의 장이자, 문학과 이상을 펼치던 공간이기도 한, 소쇄원
한국 전통 정원의 이상을 담아낸 맑고 깨끗한 정원 소쇄원의 이야기에 함께 귀 기울여 봅니다.
-------------------------------------
자문 : 소현수
시나리오·구성 : 곽기연
검수 : 임의제, 명재림, 서명원
성우 : 윤성혜
촬영 : 윤수원
종합편집 : 박인준, 이승신
삽화 : 김종석, 심희영
녹음·음악 : 조동효
로고 : 민승욱
촬영, 자료 협조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채널, 소쇄원
PM : 윤종원, 김기원
행정 : 김상희
연출 : 신정화
소쇄원
담양 소쇄원(瀟灑園)은 16세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겪으며 정치의 꿈을 접고 귀향한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조성하기 시작하여 100여 년에 걸쳐 후손들이 완성한 조선 중기 별서(別墅)로서 한국 전통정원을 대표하며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별서는 저택에서 인접한 경승지나 전원지에 은둔과 은일(隱逸), 또는 순수하게 자연을 즐기기 위해 만든 별장형과 별업형을 포함하는 제2의 주택이다. 보통 정주생활이 이루어지는 본제(本第; 고향에 있는 본집)와 완전히 격리되지 않은 도보권에 위치한다. 소쇄원은 남쪽 창암촌(蒼巖村)의 본가에서 200m 떨어진 산기슭 계곡에 터를 잡았다. 여기에 기운이 맑고 깨끗하고 시원하다라는 의미의 ‘소쇄(瀟灑)’로 별서의 이름을 정하여 자연 속에 은거(隱居)한 선비의 철학을 담았다.
서원이 일반화되기 이전 16세기에 성리학으로 무장한 호남의 사림들이 주자의 무이정사를 이상으로 여기고 학문 연구, 교육, 창작, 회합이 이루어지는 별서를 경영하였다. 소쇄원의 뒷산인 고산과 연결된 서하당, 식영정이 있는 장원봉(狀元峰), 소쇄원 앞을 흐르는 증암천(甑岩川), 그리고 무등산 일원에는 아름다운 산림과 맑은 물이 있어서 예로부터 고찰과 누정이 많이 들어섰다.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일대에 독수정, 환벽당, 식영정, 면앙정, 송강정, 명옥헌, 풍암정이 있다.
소쇄원가 사람들이 교유했던 송순, 임억령, 김인후, 김성원, 고경명, 정철 등 당대의 역사적 인물들이 방문함으로써 소쇄원은 높은 위상을 차지하였다. 이를 증명하는 『소쇄원사실집(瀟灑園事實集, 1731)』에는 여러 명현(名賢)들의 글이 수록되어있다. 특히 양산보와 친밀했던 김인후(金麟厚, 1510∼1560)가 경관요소들을 자세하게 묘사한 「소쇄원48영」과 1775년 제작한 목판 「소쇄원도(瀟灑園圖)」에서 소쇄원의 공간구조와 방문자의 풍류 행태를 파악할 수 있다.
소쇄원은 지형의 높이에 따라서 계류와 광풍각(光風閣)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에 전개된 애양단(愛陽檀)과 대봉대(待鳳臺) 영역, 그리고 뒤편 높은 곳에 입지한 제월당(霽月堂) 영역으로 구성된다. 대나무숲 사이 좁은 길을 지나오면 무릉도원을 연상시키는 별서의 넓은 터가 열리고, 계곡에 위태롭게 걸쳐진 ‘투죽위교(透竹危橋)’를 건넌다. 봉황처럼 귀한 손님을 기다린다는 뜻을 지닌 초가지붕 정자 대봉대에서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선비의 마음을 전하며, 양지바른 담장에 부모에게 효도를 다한다는 의미로 이름 붙인 애양단과 계곡물의 흐름을 막지 않은 오곡문(五谷門)을 볼 수 있다. 손님을 접대하던 광풍각과 주인이 거처하며 독서하던 제월당은 송나라 시인 황정견(黃庭堅)이 주돈이(周敦頤)의 인품을 ‘비가 갠 뒤 해가 뜨며 부는 청량한 바람과 상쾌한 달빛’으로 평한 ‘광풍제월(光風霽月)’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이렇게 선비의 철학을 담은 공간들에는 사군자로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소나무, 매화, 국화, 그리고 군자(君子)를 상징하는 연꽃, 봉황이 대나무 열매를 먹고 해가 지면 깃든다는 오동나무, 이상향 무릉도원을 상징하는 복숭아나무, 선비가 공부하던 행단(杏壇)을 의미하는 은행나무를 식재하여 선비의 이상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식생 경관을 연출하였다. 이곳에서 조용히 혼자 바람을 쐬거나 사색하고 낮잠을 자며, 평평한 암반 위에 반듯하게 누워 달을 쳐다보았으며, 두 사람이 마주 앉아 바둑을 두고, 물가 바위에서 거문고를 타며 술을 마시는 등 다양한 유희와 휴식을 즐겼다. 소쇄원은 자연 지형과 계류의 흐름을 따른 원림으로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경외와 순응, 선비들의 자연 속 은거와 사유, 교류와 창작의 장으로서 조선시대 원림문화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장소이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보고서·단행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