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맞춤법, 두음법칙, 띄어쓰기의 경우는 현재의 기준이 아닌 원본을 기준으로 하되 명백한 오류의 경우에만 수정하여 구축하였다. 단, 띄어쓰기에서 아라비아 숫자+단위 의존 명사의 경우 원본의 기준이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않고 또한 옛 책의 편집상 띄어쓰기의 여부가 애매하므로 현재의 국립국어원의 띄어쓰기 기준에 맞추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도 무방하다고 하였으므로 1~6차 교과 과정의 전체적인 통일을 위해 붙여 쓰는 걸로 구축하였다.
예) 1 세기(원본) - 1 세기(현재의 띄어쓰기 기준) - 1세기(구축내용)
2. 한자의 독음 또는 외국어의 이름/지명 등의 경우 현재의 발음과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이는 원본대로 입력하여 구축하되 검색테이블을 제공하여 현재의 발음으로 입력하여도 같이 검색되도록 하였다. 이 때 검색테이블의 기준은 7차 교육과정에 나오는 표현을 기준으로 한다.
예) 베이징(7차) - 뻬이징(2차)
3. 삽화의 위치의 경우는 원본에 있는 위치가 아니라 본문 내에 그 삽화의 제목 또는 내용과 비슷한 표현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구축하였다.
4. 이 교과서의 경우 다른 교육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계사의 비중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