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서울 암사동 유적

서울 암사동 유적

을축년 대홍수로 드러난 신석기 시대 대규모 마을 유적

미상

서울 암사동 유적 대표 이미지

서울 암사동 유적 주거지 노출상태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청)

1 개요

암사동 유적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의 한강 변 자연 제방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해발 고도는 대체로 20m에 해당한다. 암사동 유적은 일제 강점기인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에 많은 양의 유물이 노출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1971년부터 1975년에 걸쳐 국립중앙박물관의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암사동 유적이 신석기 시대의 마을 유적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의 내륙 신석기인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인정받아, 1979년 사적 267호로 지정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마을 유적으로서는 대규모에 속하며, 40여 기의 집자리와 함께 야외 화덕자리, 많은 양의 빗살무늬토기와 각종 석기 등이 출토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

2 암사동 유적의 발굴, 대규모 정착 마을

1925년 을축년에 일어난 대홍수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 암사동 유적은 1960년대 중반에 와서야 처음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1971년부터 본격적인 발굴 조사를 시작하였다. 1975년까지의 발굴 조사 결과, 집자리, 빗살무늬토기, 그물추, 갈돌, 갈판 등 신석기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1998년에는 암사동 선사 유적의 교육관을 확장하기 위한 발굴이 이루어져, 집자리 등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체험 마을 설립과 유적의 적극적인 보존과 활용을 위해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집자리 안에서 암사동 유적 최초로 옥으로 만든 장신구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그간 이루어진 12차례의 고고학 발굴 조사로 확인된 암사동 유적의 신석기 시대 집자리는 약 40여 기이다. 집자리는 모두 땅을 일정 깊이만큼 파고, 그 위로 지붕 구조를 얹은 움집의 형태이다. 이러한 움집은 기본적으로 추운 날씨에 대처할 수 있는 주거 형태로, 우리나라처럼 4계절이 뚜렷하여 추운 겨울이 있는 기후에 적합한 집 형태라 할 수 있다. 집자리의 형태는 모를 죽인 사각형이나 원형이 대부분이다. 집자리의 면적은 약 15~50㎡이며, 사각형 집자리가 원형 집자리에 비해 큰 편이다. 집자리의 기둥은 집 안쪽의 네 모서리에 위치한 이른바 4주식으로, 그 위에 도리를 얹고 서까래를 놓은 형태로 판단된다. 출입구는 대부분 외부로 돌출된 구조의 계단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에서는 집자리 안쪽에 경사진 구조의 출입구 시설이 확인되기도 한다. 집 내부의 중앙에는 강돌을 원형, 타원형 혹은 방형으로 돌려 만든 화덕자리를 설치하였는데, 조리와 난방을 비롯하여 조명과 제습의 역할을 하였다.

암사동 유적의 집자리 중에서 75-2호로 명명되는 집자리에서는 화덕자리의 남쪽에 빗살무늬토기를 거꾸로 박아놓은 시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시설은 북한 지역의 온천 궁산, 봉산 지탑리, 평양 금탄리 유적 등에서 이미 발견되었으며,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 집자리에서 조사된 독특한 시설이다. 이 시설은 아마도 불씨나 곡물, 도구 등을 저장, 보관하기 위한 시설로 판단된다.

암사동 유적에서는 집자리 외에도 저장 구덩이, 야외 화덕자리, 강자갈을 쌓아 만든 돌무지 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돌무지 시설은 돌들에는 모두 열을 받은 흔적이 뚜렷하고, 돌무지 아래로 불탄 흙, 숯과 함께 빗살무늬토기 조각 수십 점이 조사되어, 빗살무늬토기를 굽던 야외 가마 혹은 공동의 화덕 시설로 추정된다.

대규모 마을 유적인 암사동 유적의 40여 기의 집자리는 2∼3기씩 모여 있는 양상을 보이면서도, 일부 길게 늘어선 형태를 보인다. 또한 암사동 유적의 경우 집자리가 주로 배치된 공간과, 토기 가마를 비롯한 생산을 위한 공간이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다시 말해 주거 공간은 충적 대지를 따라 길게 늘어선 형태를 이루며, 토기의 생산 공간은 그 남동편의 일정한 범위 안에서만 조사되고 있어, 유구의 성격별로 분리된 공간 배치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3 완벽한 무늬의 빗살무늬토기

암사동 유적에서는 매우 많은 양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은 토기와 석기들이다. 암사동 유적을 비롯한 중서부 지역의 빗살무늬토기는 크기와 관계없이 대부분 바닥이 뾰족하거나 둥근 형태를 지닌 포탄 모양 혹은 계란을 반으로 자른 형태이다. 일부 소형의 토기에서는 바닥이 납작하거나 다양한 형태를 가진 빗살무늬토기도 있다.

암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는 매우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빗살무늬토기의 특징은 토기의 입술, 몸통, 바닥까지 전면에 걸쳐서 문양이 가득 새겨져 있는데, 부위별로 서로 다른 무늬를 새겨 넣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의 빗살무늬토기는 구분문계 빗살무늬토기 혹은 3부위 시문 빗살무늬토기라고 부른다.

입술 부분에는 주로 짧은 사선 혹은 직선으로 여러 단을 새긴 무늬(단사선문)가 확인된다. 몸통 부분에는 대부분 물고기 뼈 무늬를 가로 방향(횡주어골문)이나 세로 방향(종주어골문)으로 새겨 넣었다. 물고기 뼈 무늬의 경우에는 무늬 새기개의 이빨이 1개인 경우(단치구)와 여러 개(다치구)의 것을 사용하여 무늬를 새긴 것으로 구분된다. 여러 개의 이빨이 있는 무늬 새기개를 사용한 물고기 뼈 무늬는 단위가 크고 표면을 문지르듯 하여 무늬가 얕게 새겨져 있다. 이 빗살무늬토기의 경우에는 대부분 바닥에 무늬가 새겨져 있지 않은 특징을 보이는데, 한강 유역을 포함한 중서부 지역에서만 확인되는 특징적인 문양 패턴이다. 이외에도 몸통 부분에는 마름모 무늬, 격자 무늬, 지(之)자 무늬, 실타래 무늬 등 여러 형태의 문양이 새겨졌다. 일부 빗살무늬토기에서는 입술과 몸통 부분 사이에 격자 무늬나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반원 무늬(중호문) 등 다양한 문양을 채워 넣기도 한다. 바닥 부분에는 긴 사선 무늬, 가로 방향의 물고기 뼈 무늬, 바닥을 중심으로 몸통 부분으로 뻗어 나가는 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하지만 암사동 유적에서는 한 가지 무늬를 토기 전면에 새긴 빗살무늬토기(일명 동일문계 빗살무늬토기)도 있으며, 입술 부분에만 무늬를 새기거나, 바닥 부분만 무늬를 생략한 토기, 심지어 아예 문양을 새겨 넣지 않은 빗살무늬토기도 일부 확인된다. 암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들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중서부 지역은 가장 정교하고 발달된 문양의 토기가 이른 시기부터 출토된 곳이다. 빗살무늬토기는 이른 시기(기원전 5천년에서 4천년)에 가장 완벽한 형태, 즉 토기의 전면을 3개의 부위로 나누어 각기 다른 기하문을 정교하게 새긴 토기에서 늦은 시기로 갈수록 점차 빗살무늬토기의 아랫부분 문양이 생략되고, 무늬를 새기는 데 정성을 들이지 않는 방식으로 변해 가는 양상을 볼 수 있다.

4 암사동 유적 출토 석기와 생계 방식

신석기 시대의 유적에서 토기 이외에 출토량이 가장 많은 유물은 식량을 얻거나 생활 재료들을 가공하는 데 사용되었던 석기들이다. 석기는 크게 용도에 따라 식량 획득용 도구, 벌채·목공용 도구, 굴지구(堀地具), 식량 처리용 도구, 공구 등으로 나누어진다.

식량 획득용 도구는 석촉, 석창, 그물추, 채집에 사용되었을 굴지구 등이 있다. 암사동 유적에서 나온 석촉은 모두 간석기이며, 석창 역시 갈아서 만들었다. 그물추는 작은 강돌을 골라 양쪽 끝을 깨트려 홈을 내 만든 석기이다. 그물추는 매우 많은 양이 출토되었는데, 당시에 물고기 잡이가 매우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암사동 유적에서는 채집 대상 중 도토리가 다량 출토되었다. 도토리는 참나무과 열매의 총칭으로,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당시에는 매우 유용한 먹을거리였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의 여러 유적에서 도토리가 많이 확인되었고, 남부 지역에서는 도토리의 저장 구덩이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열매나 뿌리를 먹는 식물의 채집에는 특별한 도구가 필요 없지만, 뿌리를 먹는 식물의 경우는 땅을 파야 하므로, 굴지구가 채집용 도구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외에도 농경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따비형 석기 및 괭이형 석기가 다량 조사되었고 수확 도구로 생각되는 낫도 출토되었다. 이들 출토 유물로 보아, 암사동 신석기인들은 수렵·채집·어로 이외에 초기 농경을 함께하였을 것이다.

식량을 가공 처리하는 데 사용되었던 도구로는 갈돌과 갈판, 공이가 있는데, 거의 모든 집자리마다 확인되고 있는 기본 도구 중 하나이다. 식량의 획득과 가공, 조리에 사용된 도구 이외에는 벌채 목공용의 각종 돌도끼와 대팻날, 돌끌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5 암사동 유적의 중요성

뾰족밑의 빗살무늬토기 문화가 가장 먼저 출현한 지역이 암사동을 포함한 중서부 지역이라는 점에서 뾰족밑 빗살무늬토기 문화의 등장과 확산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유적은 암사동 유적이다. 신석기 시대의 집자리와 마을을 이해하는 데도 역시 암사동 유적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암사동 유적은 중서부 지역의 빗살무늬토기 문화가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우리나라의 동쪽과 남쪽 지역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빗살무늬토기 문회는 동해안 지역과 남부 지역에 영향을 주어 기존의 신석기 문화를 대체하여 나타나게 되는데, 그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기술과 생업 방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