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 〈북한 인권 법안〉 통과
전북 부안 초중고등 학생 1천여 명 등교 거부, 여의도에서 핵폐기장 유치 철회 촉구 집회
남북 선수단, 부산 아시안 게임 개막식에서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동시 입장
새정치국민회의 추미애 의원, 제주 4·3 사건 관련 무재판 총살자 명단 첫 공개
고양 금정굴 유족회, 1950년 9·28 수복 직후 집단 학살된 금정굴에서 유골 발굴
잠실올림픽 주경기장, 착공 6년 10개월 만에 완공·개장
〈버림받은 여자〉 외 48곡, 가사 퇴폐·저속 등의 이유로 금지곡 선정
신민당 전당 대회 2차 투표, 대통령 후보에 김대중 지명, 김대중 458표, 김영삼 410표
문화공보부, 김지하 시 〈오적〉 관련 『사상계』 등록 말소
대구 시내 7개 중고교생 1만 4천 명, 교원 노조 지지 궐기 시위
미 8군 사령부, 한국군에 38선 정지 명령
〈조선경제신문〉 창간
농촌 계몽 목적의 조선농민사 조직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회의, 태평양 회의 대표로 이승만·서재필 파견 결정
국채 보상금 사건 피고인 양기탁, 경성 재판소에서 무죄 판결
타종 통행 금지 제도 폐지, 자정·정오에만 타종 결정
[음]함경도에서 도과(道科, 왕명에 의해 각 도에서 시행된 특별과거시험)를 실시함
[음]금주령을 지키게 함
[음]영남·호남·호서에 기근이 듦
[음]팔도에서 장마로 무너지고 깔린 집을 구제해 준 수효를 올림
[음]정조가 창경궁으로 옮겨 감
[음]관서·관북·해서에 기근이 듦
[음]무늬 있는 비단옷 입는 것을 다시 금단함
[음]원춘도의 삼방로(三防路)를 막지 말게 함
[음]사은사를 청나라에 보냄
[음]왕세자(효장 세자)가 별궁에 나가 친영례를 행함
[음]평양에서 화재로 민가 60여 호가 연소됨
[음]강석기의 둘째 딸이 세자빈이 됨(소현 세자빈, 강빈)
[음]정유년(1597) 이전의 각종 포흠(逋欠)을 견감(蠲減)하라고 명함
[음]선종 판사(禪宗判事) 보우(普雨)가 병이 났다고 하여 체임됨
[음]저화(楮貨)와 미포(米布)를 겸용하게 함
[음]역대 왕의 신위(神位)를 창덕궁 인정전에서 종묘로 환안(還安)함
[음]윤임의 고신을 빼앗고 윤원형을 파면하도록 함
[음]홍문관에서 문종이 점절(點切)한 《근사록》을 바침
[음]세화(歲畫, 새해 신하에게 나누어주는 그림)의 수를 줄이도록 함
[음]영안도(永安道)에 장성을 쌓음
[음]은닉된 공사 천인이 100만으로 추산됨
[음]신숙주 등이 《동국정운》·《사성통고》를 편찬함
[음]훈민정음이 이루어짐
[음]예조에 명하여 사알·사약·서방색·무대의 복색을 정하도록 함
[음]경복궁과 종묘를 완공함
[음]조일신의 난이 발생함
[음]몽고군이 선주와 곽주를 함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