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정묘호란

정묘호란

조선, 신흥세력 후금(後金)의 위세를 실감하다

1627년(인조 5) ~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대표 이미지

정묘호란 상황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1 개요

1627년(인조 5) 후금의 군대가 조선을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 이 해가 정묘년이어서 정묘호란이라 불린다.

2 전쟁의 국제적·국내적 배경

명대의 여진족은 만주 지역에 흩어져 살면서 명과 느슨한 복속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들은 상호간에 끊임없이 싸움을 벌이면서, 한편으로는 명과 조선을 약탈하기도 하였다. 16세기 후반에 접어들자 여진족 사회가 점차 발전하면서 유력한 세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그 중 하나가 건주위의 한 추장인 누르하치였다. 그는 탁월한 군사적, 조직적 재능을 가지고 여진족 사회를 통합해 나가기 시작했으며, 특히 조선과 명이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여진족에 대한 통제력이 약해진 틈을 타 세력을 크게 확장하였다. 이윽고 1616년(광해군 8)에는 후금을 세우고 명과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었다.

명은 누르하치를 토벌하기 위해 10만 대군을 편성하여 후금을 공격하면서, 조선에도 임진왜란 때 조선을 구원해 준 은혜를 내세워 함께 출병할 것을 요구하였다. 당시 왕이었던 광해군(光海君)은 후금과 충돌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출병을 최대한 거부하려 하였으나, 명의 압력에 밀려 마지못해 강홍립(姜弘立)을 사령관으로 하는 1만 3천 명의 병력을 파병하였다. 명이 심하전투(深河戰鬪)에서 대패하면서 조선군 역시 후금군에게 격파당하고 항복하였으나, 강홍립은 후금에 조선군의 출병이 명의 압력에 의한 불가피한 것이었음을 해명하였고, 그 결과 후금과의 관계는 더 이상 악화되지 않았다. 광해군은 이미 후금 정벌에 협력하는 군대를 출병시킬 때부터 명에 군사행동을 신중히 할 것을 요청하고 있었다.

이후 광해군은 겉으로는 명에 협력할 자세를 보이면서도 실제로는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펴면서 후금과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1623년(인조 1)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고 인조[조선](仁祖)가 즉위하자 사정은 달라졌다. 인조 정권은 광해군의 중립외교를 부정하는 것을 반정의 명분으로 삼고, 대내외적으로 친명배금, 즉 명과의 친교를 강화하고 후금을 배척하는 정책을 표방하였다. 단적인 예로 광해군을 폐위하고 인조의 즉위를 공포하는 인목왕후(仁穆王后)의 교서에서는 광해군이 임진왜란 때 명이 조선을 도와준 은혜를 배신하였음을 폐위의 중요한 이유로 거론했다.

당시 명의 장수 모문룡은 군대를 이끌고 평안도 철산의 가도(椵島)에 주둔하고 있었는데(가도사건(椵島事件)), 인조 정권은 직접적으로 후금과의 대결을 피하면서 모문룡을 적극 지원하는 자세를 취했다. 이는 후금을 자극하였다. 더욱이 인조반정에 대한 논공행상 문제로 인해 일어난 이괄의 난(李适-亂)이 진압되는 과정에서 도망친 한윤(韓潤)이 후금에 들어가 조선을 모함하고 정보를 알려주며 침공을 주장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당시 후금은 요동을 점령하고 요서 지방으로 진출하다가 산해관 근처의 영원성에서 명군에 패배하고, 건국자 누르하치가 사망하는 위기에 빠져 있었다. 더욱이 무력으로 점령한 요동 각지에서는 한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가도에 주둔한 모문룡은 이를 부추기며 후금의 후방을 교란하였다. 설상가상으로 식량이 부족해져 경제위기에 직면하였다. 누르하치의 뒤를 이은 홍타이지는 눈엣가시였던 모문룡을 제거하고, 아울러 경제적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조선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3 전쟁의 전개와 화의의 성립

1627년(인조 5) 1월, 홍타이지는 사촌형인 아민(阿敏)에게 3만의 병력을 주어 조선에 쳐들어가게 하였다. 당시 후금군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가도에 주둔한 모문룡이었지만, 기회가 된다면 조선을 복속시키는 것 역시 전쟁을 일으킨 주요 목적이었다.

후금군은 한윤을 길잡이로 삼고 심하전투에서 항복한 이후 포로가 된 강홍립(姜弘立)과 박난영(朴蘭英)을 대동하여 압록강을 건너 1월 13일에 의주를 공격하였고, 의주부윤이었던 이완(李莞)의 항전을 물리치고 의주성을 함락시켰다. 조선 침공의 교두보를 마련한 후금군은 주력을 용천, 선천을 거쳐 안주로 남하시키고, 일부 부대를 철산으로 보내어 가도의 모문룡 부대를 공격하게 하였다. 모문룡은 신미도로 도망쳐 목숨을 건졌으나, 평안도 방어의 중요 거점이었던 안주는 1월 21일에 함락되었고, 안주를 방어하던 남이흥(南以興) 역시 전사하였다. 안주가 함락되자 인심이 흉흉해지고 평안도, 황해도의 방어선도 무너져, 후금군은 큰 저항 없이 1월 24일에는 평양에 진주하고, 25일에는 선봉부대가 황주에 도착했다. 후금군은 국경을 넘은 지 8일 만에 압록강에서 황주에 이르렀던 것이다. 조선군은 후금군과의 전투에서 효과적인 저항을 하지 못하고, 후금군이 이르는 곳마다 당해내지 못하고 스스로 무너지는 상황이었다.

후금군의 침입 소식을 들은 조정에서는 장만(張晩)을 4도체찰사로 삼아 방어군을 지휘하게 하고, 이원익(李元翼), 김류(金瑬), 심기원(沈器遠)을 각각 하삼도 및 경기체찰사, 부체찰사, 도순검사에 임명하여 지방의 근왕병을 모집할 책임을 맡겼다. 또한 김장생(金長生), 장현광(張顯光) 및 정경세(鄭經世)에게 남쪽에서 의병을 모집하게 하였다. 그러나 안주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접하자 1월 24일 세자에게 조정의 일부를 통솔하게 하는 분조(分朝)를 실행하여 소현세자(昭顯世子)를 전주로 보냈으며, 김상용(金尙容)을 유도대장으로 임명하여 도성을 지키게 하고, 인조 자신은 강화도로 들어갔다. 이때 장만이 이끄는 조선군 역시 개성을 거쳐 황해도 평산까지 나아갔다가 후금군이 황주까지 진출해 오자 개성으로 후퇴해 있었다. 이후 후금군은 평산까지 남하하여 주둔하였으며, 조정에서는 군대를 정비하여 임진강과 한강을 방어선으로 삼았다. 이후 양군이 대치하여 전쟁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당시 양측 모두 전쟁을 오랫동안 지속할 만한 능력이 없었다. 조선은 후금군을 저지할 군사력이 없었고, 방어선을 유지하기에도 급급한 형편이었다. 당시 인조가 머무르고 있던 강화도에는 비축된 군량이 6, 7천 석밖에 없었는데, 이는 섬 안의 군사와 백성들이 한 달 남짓 버틸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또한 한강과 임진강을 지키는 군대 역시 군량이 고갈되어 붕괴할 것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었다.

한편 후금군은 당초의 목표였던 모문룡 제거에 실패하였으며, 한양까지 깊숙이 쳐들어와 조선을 완전히 굴복시킬 군사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배후에 있는 명군이 언제든 본국을 침입할 가능성이 있었으며, 본국과의 거리가 멀어져 군수품 보급도 걱정해야 했고, 정봉수(鄭鳳壽), 이립(李立) 등 의병들의 봉기로 후방을 위협받을 것에도 대비해야 했다. 조선측의 보고에 따르면 명의 침입 우려 때문에 의주에 있던 후금군의 일부가 도로 빠져나갔다고 한다.

의병 중에서도 특히 용골산성(龍骨山城)의 의병장 정봉수는 4천 명의 무리를 모아 후금군의 후방을 교란하고 후금군의 공격을 격퇴하여(용골산성전투(龍骨山城戰鬪)) 조정에서 상을 내리기도 했다.

따라서 두 나라 사이에 강화를 맺음으로써 전쟁을 끝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후금은 조선이 이전에 자신들과 원한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명을 도와 심하전투에 가담하여 자신들을 공격했으며, 자신들의 후방을 교란하는 모문룡을 지원하였고, 누르하치가 죽고 홍타이지가 즉위할 때 사신을 보내어 외교관계를 맺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들이 쳐들어왔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조선은 후금이 까닭 없이 침공해 왔다고 항변하였으며, 후금군이 전진을 멈추고 군사를 물리면 화의에 성심껏 응하겠다는 답신을 보냈다.

강화 교섭 과정을 통틀어 조선 내부에서는 강화에 대한 반대여론, 즉 척화론이 들끓었다. 당시 윤황(尹煌), 장유(張維), 오윤겸(吳允謙) 등 대부분의 신료들은 명에 적대하는 후금과 형제 맹약을 맺는다는 것 자체에 격렬하게 반대하였으며, 명과의 사대 의리를 강조하며 화의의 추진 자체에 강하게 저항하였다. 반면 전력의 열세로 더 이상의 저항이 불가능하니 부득이하게 화친을 맺어야 한다는 주화론을 주장하는 사람은 이귀(李貴), 최명길(崔鳴吉) 등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당시 이귀는 화친하지 않으면 나라가 망할 것이라고 하며 척화론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반면 척화론자들은 나라가 망하더라도 불의로써 보존될 수는 없다고 하면서, 나라의 존망보다도 명에 대한 의리를 더 중요시하는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당시의 상황은 도무지 후금군에 대한 항전을 지속할 수 없었음을 모두가 알고 있었으며, 결국 인조 및 주화론자의 의사에 따라 강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당시 척화론을 주장했던 장유 역시 후일 강화가 불가피했으며, 척화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겉으로는 큰소리를 쳤지만 속으로는 화의가 성립되기를 바라고 있었다고 회고하였다.

또한 척화론자들은 항전을 독려하는 의미에서 인조가 임진강에 직접 나가 싸울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현실성이 전혀 없는 것이었다.

반면 후금 진영 내에서도 총사령관 아민이 도성까지 진군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다른 지휘관들의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었다. 양쪽의 강경파들에게 상대방과의 화의 교섭은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강화 교섭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가 된 것은 세폐의 액수와 같은 물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조선과 명의 관계, 명의 연호 사용, 강화를 체결하는 맹약의식의 절차를 둘러싼 논란이었다. 후금이 명과의 사대관계를 끊고 자신들과의 형제 맹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한 반면, 조선으로서는 형제의 관계도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을 뿐더러 명과의 관계는 더더욱 포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후금에서는 명의 연호를 버리고 자신들의 연호를 사용하라고 강요하였으나, 이 역시 조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이었다. 맹약의식의 절차를 정할 때도 후금은 신의를 보이기 위해 국왕 인조가 직접 의식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였던 데 반해, 조선에서는 이를 최대한 피하고자 했다. 이러한 쟁점을 둘러싸고 치열한 대립이 벌어졌으나, 조선이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으면서도 명과의 사대관계를 유지하고, 강화문서에서 명과 후금의 연호 모두를 사용하지 않으며, 인조가 맹약의식에 참여는 하되 상중임을 이유로 분향하기만 하는 선에서 양국 간에 타협이 이루어졌다. 화의교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후금의 사신 유해는 인조가 취한 의전이 마음에 들지 않자 화를 내고 나가버리는 등의 고압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결국 3월 3일에 맹약의식이 거행됨으로써 정묘화약이 성립되고, 정묘호란은 공식적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후금군은 철수하는 과정에서도 사령관 아민의 명령에 따라 행패를 자행하였으며, 모문룡을 견제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의주에 일부 병력을 주둔시키고 완전 철병을 지연시켰다. 이들 잔류 부대는 조선이 국경 단속을 엄중히 하겠다는 약속을 함으로써 9월이 되어서야 철수하였다.

아울러 화의 성립의 조건으로 원창군 이구를 왕의 동생으로, 이홍망(李弘望)을 대신으로 칭하여 후금에 인질로 보냈으며, 많은 양의 재물을 예물로 바쳐야 했다. 당시 바친 예물의 양은 목면 1만 5천 필, 면주 2백 필, 백저포(白苧布) 2백 50필, 호피(虎皮) 60장, 녹비(鹿皮) 40장, 왜도(倭刀) 8병(柄), 안구마(鞍具馬) 1필이나 되었다.

4 정묘호란의 결과 및 영향 : 병자호란에의 길

정묘화약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조선과 후금은 형제의 맹약을 맺되, 조선은 명과의 관계를 단절하지 않는다는 것, 화약 성립 즉시 후금군은 군사를 철수시키고, 이후 서로 국경을 침범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또한 이후 교섭을 통해 양국은 서로 사신을 교환하며 국경에서 개시(開市)를 통해 무역하고, 조선은 매년 정해진 양의 세폐를 바쳐야 하며, 후금에서 조선으로 도망쳐 온 사람을 송환해야 한다는 등의 사항이 추가로 정해졌다.

조선은 정묘호란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보았다. 전쟁터가 된 평안도, 황해도 지역은 인적, 물적 손해가 막심했으며, 그 중에서도 청천강 이북은 더욱 심해 한때 조정에서는 청천강 이북의 방어를 포기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올 정도였다. 전쟁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잡혀갔고, 이들을 다시 쇄환하는 일은 조정에 큰 압박을 주었다. 아울러 개시를 통해 후금과의 교역이 이루어졌으나 불공정한 거래 조건과 후금 상인들의 행패로 조선에 부담을 전가하는 것이었고, 매년 후금에 바쳐야 하는 세폐도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었다. 또한 기존에 여진족을 깔보고 명에 대한 의리를 중요시했던 조선의 지배층들에게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었다는 것은 참기 어려운 치욕이었다.

외교적으로도 조선은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정묘호란을 통해 결과적으로 조선은 명과 적대하는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은 것이었고, 따라서 명에서는 조선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조선에서는 전쟁을 피하기 위해 후금과의 관계를 지속하면서도, 명과의 사대관계가 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많은 고심을 해야 했다. 조선에서는 정묘호란 이후 수시로 가도에 있는 명군 장수들에게 후금과의 화친이 불가피했으며, 자신들의 진심은 명을 따르는 데 있음을 전달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장을 변명하고 있었다.

조선은 명에게는 후금과 통호한다고 비난받고, 후금에게는 명을 도와주고 있다고 책망받는 곤란한 처지에 있었다.

반면 후금 입장에서도 정묘호란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비록 정묘화약을 통해 조선과 형제관계를 맺고 조선으로부터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는 했으나, 조선은 여전히 명과 사대관계를 지속하고 있었으며, 가도의 모문룡 부대도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는 후금과 조선 사이에 끊임없는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후금은 모문룡 부대가 상륙하여 자신들이 조선에 보내는 사신을 공격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저지하지 않는 것은 맹약 위반이니 자신들이 모문룡을 정벌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요청하기까지 하였다.

또한 후금은 형제관계를 이유로 조선에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협조를 요구하였으나, 명과의 사대관계를 우선시하는 조선은 이에 거의 응하지 않았다. 이 또한 후금에게 불만이었다.

정묘화약은 후금이 명의 위협을 우려하여 조선을 완전히 굴복시킬 수 없었던 상황의 산물이었다. 따라서 후금이 점차 강성해져 힘의 균형이 깨지면 정묘화약의 존속도 위태로워질 수밖에 없었다. 결국 후금이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황제국을 칭하며 조선에 형제의 맹약을 군신의 관계로 바꿀 것을 요구함으로써 정묘호란의 결과 맺어진 화의는 깨지고, 양국의 관계는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파탄이 나게 된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