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고국원왕

고국원왕[故國原王]

강대한 고구려를 꿈꾸다 전장에서 쓰러진 비운의 왕

미상 ~ 371년(소수림왕 41)

고국원왕 대표 이미지

삼국사기 고국원왕 기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1 개요

고국원왕(故國原王, ?~371)은 고구려 제16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331년~371년이다. 그는 낙랑군(樂浪郡)과 대방군(帶方郡)을 한반도에서 축출한 아버지 미천왕(美川王)의 뒤를 이어 고구려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다. 그 과정에서 요동(遼東)과 부여(夫餘) 지역을 둘러싸고 전연(前燕)과 대립하였고, 대방군(帶方郡) 지역을 둘러싸고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과 경쟁했다. 그러나 백제와 평양에서 전투를 벌이다가 전사하여, 그 꿈을 완수할 수 없었다.

2 생애와 가계

고국원왕은 국원왕(國原王) 혹은 국강상왕(國岡上王)이라 불린다. (고)국원이나 국강상은 고구려 전기 수도인 국내성(國內城, 지금의 중국 지린성 지안시) 지역의 구릉을 의미하며, 바로 왕릉이 위치한 곳이다. 고구려는 이렇게 왕릉의 위치를 왕의 시호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왕실 계보상으로 시조 주몽(朱蒙)의 11세손이다. 본명은 사유(斯由)인데, 쇠(釗)라는 기록도 있다. 아버지는 선왕인 미천왕(美川王)이고, 어머니는 가계를 알 수 없고 주씨(周氏)라고만 전한다. 314년(미천왕 15) 1월 태자(太子)로 책봉되었다가, 331년 2월 미천왕이 돌아가시자 왕위에 올라 41년간 나라를 다스렸다. 자식으로는 그의 뒤를 이어 차례로 즉위한 소수림왕(小獸林王)과 고국양왕(故國壤王)이 있다.

3 전연(前燕)과의 대립과 좌절

고국원왕의 아버지 미천왕대는 중국 진(晉)이 붕괴하고 5호 16국의 혼란기로 접어들던 시점이다. 고구려는 혼란한 국제 정세를 틈타 한반도 안의 중국 군현을 축출하는 한편, 외부로 영토 확장을 꾀하였다. 특히 요동 지역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선비족(鮮卑族) 모용부(慕容部)의 전연(前燕)과 크게 대립하게 된다.

고국원왕이 즉위한 이후에도 이 대립은 지속된다. 336년(고국원왕 6) 동진(東晉)에 외교사절을 파견하여 전연을 견제하려 했고, 338년(고국원왕 8)에는 전연과 전쟁에서 열세에 처한 후조(後趙)와 협력하는 등 외교적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336년 모용황(慕容皝)의 즉위에 반대해 일어난 반란에 가담했던 곽충(郭充)과 동수(冬壽), 그리고 338년 후조와 전연의 싸움에서 후조에 동조했던 봉추(封抽)와 송황(宋晃)의 망명을 받아들이기도 하였다.

외교적 방안과 함께 군사적 준비를 아울러 진행하였다. 335년(고국원왕 5)에 지금의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푸순시(撫順市)에 신성(新城)을 축조하고, 342년(고국원왕 12) 2월에는 수도의 두 성 환도성(丸都城)과 국내성(國內城)을 수리 및 증축하여 적과의 결전에 대비하였다. 같은 해 8월에는 적의 대대적 침공이 임박했음을 알고 수비에 유리한 환도성(丸都城)으로 거처를 옮기기도 하였다.

전연 역시 요동 지역을 노리는 고구려에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다. 339년(고국원왕 9)에는 모용황이 신성까지 진격해 오기도 했고, 341년(고국원왕 11)에는 건안성(建安城, 지금의 중국 랴오닝성 잉커우 가이저우시 지역) 일대에서 고구려와 교전을 벌였다. 당시 전연은 요하 유역을 장악하고 북중국 지역으로 진출을 꾀하고 있었는데, 배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고구려 공략에 나섰던 것이다.

342년(고국원왕 12) 11월 전연은 고구려에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였다. 고구려 역시 적의 침략에 대비하여 수비 태세를 갖추고 있었지만 허를 찔리고 말았다. 전연이 고구려로 쳐들어오는 루트는 평탄한 북도와 험난한 남도가 있었는데, 고구려에서는 적의 주력이 기병인 점을 고려하여 북도로 침공해 올 것으로 예상하였다. 하지만 전연은 고구려의 예측과 달리 정예 주력 4만을 남도로 보내 침략해 왔고, 북도로는 15,000명을 보냈을 뿐이었다. 이에 정예 주력 5만을 북도로 보낸 고구려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고, 수도 환도성이 함락되기에 이르렀다.

고국원왕은 단웅곡(斷熊谷)으로 간신히 피신하였으나, 왕비와 왕의 어머니 주씨가 적군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전연이 비록 대승을 거두기는 하였으나, 왕이 무사하였고 북도를 수비한 고구려 주력이 건재했기 때문에, 전연도 고구려를 완전히 제압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고구려 주력의 반격을 받아 위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연은 퇴각하였는데, 왕의 아버지 미천왕의 시신을 파내고 왕의 어머니와 왕비를 포함한 5만여 명을 인질로 하여 고구려의 추격을 방지하였다.

이들 인질은 이후 고구려가 전연을 공격할 수 없게 하는 방안이기도 했다. 고구려는 343년(고국원왕 13) 왕이 거처를 평양동황성(平壤東黃城)으로 옮겨 수비 태세를 갖추는 한편, 전연에 사신을 파견해 신하를 자칭하며 인질을 돌려받고자 하였다. 이때 미천왕의 시신은 돌려받았지만 왕의 어머니는 전연에 억류된 상태였다. 따라서 고구려가 다시 전연과 전쟁을 할 수는 없었다. 왕의 어머니가 고구려로 돌아온 것은 355년(고국원왕 25) 12월이었는데, 이때 고구려는 전연의 책봉을 받았다.

하지만 고구려 주력군이 온전한 상태였기에 전연에 완전히 굴복한 것은 아니다. 전연은 고구려 침공 직후인 344년 선비족 우문부(宇文部)를 격파하고 요하 일대를 평정했으며, 뒤이어 346년 다시 부여(夫餘)를 공략하여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고구려가 이 전연의 부여 침공을 저지한다. 이는 여전히 고구려가 부여를 포함한 고구려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 전연의 침략은 고구려에게 큰 충격과 좌절이었고, 고구려는 요동으로의 진출을 잠시 보류할 수밖에 없었다.

4 백제와의 경쟁과 고국원왕의 전사

고구려는 북방에서 전연과 대립하는 와중에 남쪽 한반도 중부 방면으로 세력을 확대해 나가면서 백제와 경쟁하고 있었다. 미천왕대 지금의 황해도 지역에 해당하는 대방군을 축출한 이후 이 지역을 고구려의 영토로 삼으려는 시도를 계속하였는데, 요동 지역으로의 진출이 좌절된 이후 남방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남방 진출이 남쪽에서 대방군 지역으로 북진해 오던 백제와의 충돌로 이어진 것이다. 당시 백제는 근초고왕(近肖古王)의 치세하에 중앙집권국가의 면모를 갖추고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여 활발한 영토 확장을 추진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구려와 백제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369년(고국원왕 39, 근초고왕 24) 고국원왕은 2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백제를 공격하였다. 지금의 황해도 배천군(白川郡) 일대인 치양(雉壤)을 점령했으나, 후에 근구수왕 (近仇首王)이 되는 백제 태자가 지휘하는 백제군의 반격을 받아 고구려군 5,000명이 목숨을 잃는 대패를 하고 만다. 백제군이 승세를 몰아 지금의 황해도 신계군 지역인 수곡성(水谷城)까지 진격했다가 돌아갔다. 371년(고국원왕 41, 근초고왕 26)에 다시 백제를 공격했으나, 이를 미리 알고 지금의 예성강인 패하(浿河)에 매복하여 기습 공격한 백제군에 역시 패배하였다. 그리고 이제 고구려는 백제의 북진을 막아내야만 하는 수세의 입장에 처하게 된다.

같은 해 10월에 백제 근초고왕이 태자 근구수와 함께 정예병 30,000명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이때 평양성(平壤城, 황해도 신원군의 남평양 혹은 평안도 평양시 부근)까지 진격해 온 백제군을 맞아, 고국원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항전하였다.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때 고국원왕은 적군의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 472년 백제 개로왕(蓋鹵王)이 북위(北魏)에 보낸 국서에는 백제가 고국원왕을 잡아 목 베었다고 주장하였지만 이는 사망한 것을 과도하게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고국원왕이 꿈꾸었던 강대한 고구려는 일시 좌절되었다. 그리고 고구려는 연이은 대규모 국제전에서 큰 타격을 입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국가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인데, 고구려의 재도약은 고국원왕의 아들 소수림왕(小獸林王)의 손에 달리게 된 것이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