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의상

의상[義湘]

우리나라에 화엄의 법을 전한 해동화엄초조(海東華嚴初祖)

625년(진평왕 47) ~ 702년(성덕왕 1)

의상 대표 이미지

의상 표준영정

전통문화포털(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

1 개요

의상(義湘, 625~702)은 7세기에 활동한 신라 승려이다. 우리나라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우리나라에 화엄 사상을 본격적으로 전하고 크게 융성시키고, 나아가 우리나라 불교 최초의 종파로 화엄종(華嚴宗)을 자리 잡게 하였기 때문에, 해동화엄초조(海東華嚴初祖)로 추앙받는다. 그는 많은 제자를 키워 불교가 크게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또 관음신앙을 확산시켜 불교 대중화에도 기여하였다.

2 당으로 가 화엄의 법을 배우다

의상(義湘)은 625년(진평왕 47) 김한신(金韓信)의 아들로 신라 왕경(王京, 지금의 경북 경주시)에서 출생하였는데, 그의 집안은 당시 최고 신분층인 진골(眞骨)이었다. 19살에 왕경에 있던 황복사(皇福寺)에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의상은 출가한 후 받은 법명(法名)인데, 한자 표기가 義相이나 義想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그가 누구에게서 불교 교학을 배웠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한동안 8살 연상으로 그와 함께 신라 불교를 대표하는 원효(元曉)와 함께 공부했으며, 둘이 고구려에서 넘어와 완산주(完山州, 지금의 전북 전주시)에 머물던 보덕(普德)을 스승을 삼았다는 전승도 있다. 의상은 당시 저명한 승려들이 일반적으로 그랬던 것처럼, 불법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중국 당(唐)으로의 유학을 결정한다. 동료 원효와 함께 유학길에 오르는데, 26살이던 650년(진덕여왕 4)에 육로를 통한 1차 유학을 시도한다. 그러나 요동에서 첩자로 오해한 고구려군에 잡혀 되돌아 왔다. 둘은 661년(문무왕 1)에 재차 유학길에 올랐지만, 도중에 원효가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어 유학을 포기한다. 의상은 불법을 알고자하는 뜻을 굽히지 않고, 원효와 헤어져 바다를 통해 홀로 당으로 건너갔다.

당에서 의상은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서 화엄 교학의 기초를 다진 중국 화엄종(華嚴宗) 제2조 지엄(智儼, 602~668)에게 8년 동안 화엄 사상을 배웠는데, 668년에는 화엄 교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를 지어 지엄에게 인정받았다. 이는 화엄 사상의 요지를 간결한 시로 축약한 글 210자를 54각(角)이 있는 도인(圖印)에 합쳐서 만든 것이다. 지엄의 화엄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의상 자신의 독창적 관점에서 발전시켜 그 원리를 정리한 것으로, 개체의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중층적으로 개체간의 융합을 지향하는 특색을 가져, 의상 불교 철학의 핵심을 보여주는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상이 지엄의 화엄 교학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자신의 화엄 철학을 완성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화엄을 공부하면서 아울러 중국의 여러 고승들과 교류하며 불교를 공부하고 수행하였다. 계율종(戒律宗) 남산파(南山派)의 개조(開祖) 도선(道宣, 596~667)과 중국 화엄종 제3조로 화엄 교학을 확립한 법장(法藏, 643~712)과의 교유가 대표적인데, 특히 지엄 밑에서 동문수학한 법장과는 신라에 돌아온 뒤까지 연락을 주고받았다.

3 신라로 돌아와 화엄의 법을 전하다

그는 46살이 된 670년(문무왕 10)에 유학을 마치고 신라로 돌아왔다. 그가 화엄 교학에 상당한 성취를 보고 그것을 신라에 전수하기 위해 귀국한 것으로 보이지만, 『삼국유사』에 당의 신라 침공 계획을 고국에 전하기 위해 돌아왔다는 전승이 있는 것을 보아, 신라와 당의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이 그의 귀국을 재촉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의상은 귀국한 후 한동안 왕경에 머물며 활동하다가, 당과의 전쟁이 끝나가던 676년(문무왕 16) 2월 왕명을 받아 지금의 경북 영주시에 있는 부석사(浮石寺) 창건을 계기로, 부석사가 있던 영주와 그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다. 그가 부석사에서 40일간 법회를 열어 화엄 사상을 전파함으로써 부석사는 우리나라 화엄의 중심 사찰로 성장하였고, 의상은 고승으로서의 명성과 존경을 얻게 된다.

의상은 당시로서는 새롭고 보다 발전한 불교 교학인 화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발전시켜 우리나라에 전하였다. 그는 심오한 불교의 교학을 깊이 공부한 학승이며 청정한 수도자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는 불교를 학문으로서 연구하고 혼자 수행하는데 만족하지 않았다. 그는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자신의 불교 철학을 전하였다. 의상 문하에서 3,000명이 넘는 제자가 배출되었다고 전하는데, 제자 중에는 뛰어난 고승으로 이름을 남긴 이들도 많았다. 특히 10대 제자로 칭해지는 오진(悟眞), 지통(智通), 표훈(表訓), 진정(眞定), 진장(眞藏), 도융(道融), 양원(良圓), 상원(相源), 능인(能仁), 의적(義寂)이 유명하다. 또한 전국에 화엄 10찰을 필두로 많은 절을 창건하여 불교의 융성을 가져왔다. 그는 비록 많은 저술을 남기지 않았지만, 교육을 통해 자신의 불교 철학을 확산하고 후대에 전하였다.

그가 해동화엄초조의 호칭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이렇듯 자신이 체계화한 화엄 사상에 대한 교육을 통해 제자들을 배출하여, 그들과 함께 그리고 이후 그 후속 세대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우리나라 불교 최초의 종파라 할 수 있는 화엄종이 성립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4 모두를 위한 불교를 만들다

의상은 화엄 경전을 중심으로 불교를 공부한 학승의 면모가 강하다. 또한 그 자신이 신라 최고 지배층인 진골귀족 출신이라 지배층 중심의 고급 불교를 추구했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 한때 의상의 화엄학이 신라 중대 강력한 왕권을 뒷받침하는 사상으로 활용되었다는 주장이 일반화되기도 한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의상은 지배층만을 위한 불교를 원하지 않았다. 당시 문무왕은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후 그 위엄을 보이고자 대대적으로 왕궁을 확대·수리하여 왕경 전체의 정비를 꾀하였다. 681년(문무왕 21) 6월에는 왕경에 새로 성을 쌓으려고 하였는데, 이때 의상이 왕에게 공사를 중지할 것을 건의하여 중단시킨다. 그는 왕의 뜻을 받들어 그것을 합리화시키려 하지 않고, 왕이 부처의 가르침을 지켜나가면서 백성을 위한 어진 정치를 펼칠 것을 원하였던 것이다. 초기 신라 불교가 왕이 곧 부처라는 왕즉불 관념을 강조하며 국가 권력에 적극 협력했던 것과 달리, 왕에게 불교 교리를 설파하고 이를 국가 통치에 활용하도록 하여 백성들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한 것이다.

또한 그는 양양 낙산사(洛山寺)를 세워 관음(觀音) 신앙이 크게 확산하는데 기여하기도 하였다. 의상은 귀국 후 화엄 교학을 강연하면서도, 낙산의 굴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진신(眞身)이 산다는 말을 듣고 두 차례에 걸쳐 7일간 기도를 드려 관세음보살을 뵙기를 기원했다. 결국 관세음보살에게 말씀을 받을 수 있었기에 그곳에 낙산사를 세웠다고 한다.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에 이어 부처가 될 자비의 보살로, 일체중생을 교화하고 성숙하게 하며 항상 모든 부처님 처소에 머물면서 중생을 받아들여 구원하는 존재이다. 중생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외우고 항상 마음에 새겨 공경하고 예배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관음 신앙이다. 의상은 이 관음 신앙과 역시 구원을 강조하는 아미타 신앙을 통해 백성들이 불교에 대해 알고 그에 맞게 생활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의상은 누구나 믿고, 또 모두를 위한 불교를 신라에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실제 그의 문하에서는 세속의 신분을 따지지 않고 출가한 순서대로 위아래를 정하였는데, 이는 불교의 평등적 인간관을 직접 실천하려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의상의 화엄 사상은 교학으로서의 이론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직접 실천하여 평등과 조화의 세계를 구현하려 한 것이었고, 이러한 그의 사상은 삼국을 통일함으로써 커진 신라 사회를 통합시키고 안정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평생을 교학 연구와 수행, 그리고 실천에 바쳐온 의상은 702년(효소왕 11) 입적(入寂)한다. 하지만 그의 뜻은 제자들을 통해, 그리고 화엄종을 통해 이어져 내려온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