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자장

자장[慈藏]

불국토(佛國土) 신라(新羅)를 꿈꾼 율사(律師)

590년(진평왕 12) ~ 658년(무열왕 5)

자장 대표 이미지

자장율사진영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청)

1 개요

자장(慈藏, 590년경~658년경)은 7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신라 승려로, 불교가 신라 국교로 자리 잡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특히 계율(戒律)을 중시하고 강조하였는데,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승려들의 규범을 정하고 지키도록 하면서 불교 교단을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 황룡사(皇龍寺) 9층 목탑 건립을 주도하면서 신라가 불국토(佛國土)라는 관념을 널리 퍼뜨려, 불교를 호국 이념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2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영험함에 의해 태어나 불법에 귀의하다

자장(慈藏)은 590년(진평왕 12)경 김무림(金茂林)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김무림은 신라 17등 관등 중 3등에 해당하는 소판(蘇判)의 지위에 올라 국정 운영에 참여하던 진골귀족이었다. 하지만 뒤를 이을 자식이 없어 고민하다가, 불교를 믿으면서 천부관음(天部觀音)에게 자식 낳기를 빌었다. 그러자 그의 어머니가 별이 떨어져 품안에 들어오는 태몽을 꾼 후, 임신하여 그를 낳았다. 마침 그가 태어난 날이 석가모니의 탄신일과 같아 이름을 선종랑(善宗郞)으로 지었는데, 어려서부터 비범함을 보였다고 한다.

자장의 부모는 관세음보살에게 자식 낳기를 빌면서 만약 아들을 낳는다면 부처의 가르침을 이어갈 재목으로 키우겠다고 맹세하였는데, 그 때문인지 그는 일찍부터 불교에 귀의할 뜻을 가지고 있었다.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곧 처자식과 헤어지고, 자신이 소유한 땅에 원녕사(元寧寺)라는 절을 세우고 깊은 산 속에 들어가 수행 생활을 하였다. 시체가 썩어서 백골이 되는 모습을 보면서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는 수행법인 고골관(枯骨觀)이나, 둘레에 가시 울타리를 둘러 조금만 움직여도 가시에 찔리게 하여 나태한 마음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등의 극한에 가까운 수행을 행하였다.

이때 신라 조정에 재상의 자리가 비었는데, 왕이 그를 기용하려 하였다. 하지만 그는 수행을 선택하여 이를 거절하였다. 왕이 노하여 응하지 않으면 목을 베겠다고 위협을 하였지만, “차라리 하루 동안 계(戒)를 지키고 죽을지언정, 100년 동안 계를 어기고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속세를 떠나 계율을 지켜 불교에 귀의할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 이에 왕은 그가 출가하여 승려가 되는 것을 허락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자 그는 먹을 것도 구하기 힘든 깊은 산 속 바위 사이에 머물면서 수행을 이어갔는데, 이상한 새가 과일을 물어와 주었다. 얼마 후 천인(天人)이 와서 5계(五戒, 불교도가 지켜야 할 5가지 기본 규범)를 주는 꿈을 꾸었다. 그는 수행이 어느 정도 완성되었다고 보고 세상에 나왔다. 이에 세상 사람들이 그에게 다투듯 와서 수계를 받았다.

하지만 자장은 불법을 더 알고자 하였다. 이에 636년(선덕여왕 5) 제자인 승려 실(實) 등 10여 명과 함께 당으로 건너갔다. 그는 지혜의 보살로 석가모니의 교화를 돕는 존재인 문수보살(文殊菩薩)의 성지인 오대산(五臺山, 중국 산시성 신저우시 우타이현 소재)에 올라가, 문수보살상에 지성으로 기도를 드렸다. 그러자 꿈에 문수보살이 나와 그에게 범어(梵語,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스트어)로 된 게(偈, 부처의 공덕을 칭송하고 교리를 설명하는 4구로 된 시)를 들려주었다. 자장은 그 뜻을 다 알 수 없었는데, 신비한 승려가 나타나 그 뜻을 풀어주고 가사(袈裟, 승려의 의복)와 부처님의 사리(舍利)를 주었다. 이 신비한 승려가 바로 문수보살의 화신이었다. 이에 그는 우타이산에서 내려와 당의 수도 장안으로 갔다.

이러한 신비한 이적을 경험했기에 그는 당에서 이름이 알려졌고, 당 태종(太宗)이 그를 맞아 승광별원(勝光別院)에 머무르게 하고 물품을 하사하였다. 하지만 화려하고 편안한 삶을 싫어한 자장은 태종에게 양해를 구하고 종남산(終南山, 중국 산시성 시안시 남쪽 소재) 운제사(雲際寺)의 동쪽 낭떠러지로 가 바위에 기대어 집을 만들고, 그곳에서 3년을 살면서 수도에 정진하였다. 이때 그는 중국 화엄종의 개조 법순(法順, 557~640)이나 중국 계율종(戒律宗) 남산파(南山派) 개조(開祖) 도선(道宣, 596~667)에게 가르침을 받았다는 전승도 있는데, 분명하지는 않다. 3년의 수행을 끝마치고 장안으로 돌아온 자장은 더욱 명성을 떨치고 존경을 받았다.

3 신라에 계율을 정하다

643년(선덕여왕 12) 선덕여왕(善德女王)은 당에서 명성을 떨치던 자장을 불러들였다. 이에 7년의 유학을 마치고, 당 조정으로부터 받은 많은 선물과 함께 아직 신라에 없는 불경[藏經]과 여러 불교 물품들을 가지고 귀국하였다. 이때 자장이 가지고 온 불경들은 당시 중국에 들어온 것 대부분을 포함한 것이어서, 신라 불교가 더욱 풍성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선덕여왕은 그를 분황사(芬皇寺)에 머물게 하면서 쓸 물건과 시중드는 사람을 내려주고 극진히 대우하였다. 자장은 왕궁에 가 불법을 강론하기도 하고, 또 황룡사(皇龍寺)에서 7일 동안 승려들이 지켜야 할 계율을 묶어놓은 책인 『보살계본(菩薩戒本)』을 강연하였다.

당시 신라는 불교를 국교로 삼고 있었지만, 아직 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지 못했고, 출가한 승려들과 관련한 제도나 계율 등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또 신자들이 지켜야할 규범도 정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신라에 불교가 널리 자리 잡는데 한계가 있었다. 자장은 불교 교리는 물론 승려들이 지켜야 할 규범 등을 가르쳐 나가면서 불교 교단이 자리 잡을 기반을 마련하였는데, 이는 불교가 확산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다.

이에 신라 조정은 자장을 대국통(大國統)으로 임명하여, 불교 교단을 총괄하면서 승려들에 대한 일을 모두 주관하게 하였다. 자장은 계율과 승려들이 해야 할 일을 교육하고 시험을 봐서 확인하며, 또 전국의 사찰에서 모든 승려들이 그것들을 잘 지키고 있는지 조사하고 관리하는 제도와 조직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신라에서 불교 교단 조직이 만들어지고 체계화되었다. 이제 신라 사람들은 대부분 불교를 믿고 따르게 되었으며, 출가하여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도 크게 늘어났다. 그래서 자장은 통도사(通度寺)를 세우고 그곳에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아 이들을 받아 들였다. 자장의 이러한 업적을 기려 보통 그를 신라에 계율을 정한 율사(律師)로 칭한다.

4 부처의 나라 신라를 꿈꾸다

한편 자장은 불교가 신라에 자리 잡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한 것뿐만이 아니라, 불교를 호국 이념으로 만드는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진평왕(眞平王) 때부터 신라 왕실은 자신들이 석가모니, 곧 부처와 같은 찰제리종(刹帝利種; 크샤트리아)으로 혈통을 잇고 있다는 관명을 표방하였다. 이는 신라왕이 곧 부처이므로, 불교를 믿는 승려들과 백성들은 모두 왕을 섬기고 그 뜻을 받들어야 한다는 왕즉불(王卽佛) 관념의 성립으로 이어졌다.

자장은 당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의 가르침을 받았는데, 그 내용이 신라는 부처의 나라로 신라에 돌아가 황룡사(皇龍寺)에 9층 목탑을 세우면 이웃 나라가 항복하고 9한(韓)이 와서 조공을 바치는 나라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귀국한 후 황룡사 9층 목탑(皇龍寺九層木塔) 건립을 건의하여 645년(선덕여왕 14) 3월 완성시킨 후, 황룡사의 2대 주지로 취임하였다. 이러한 황룡사 9층 목탑의 건립은 불법의 힘으로 신라와 치열하게 경쟁하던 고구려와 백제를 비롯한 주변 나라들의 위협에서 벗어나고, 나아가 이들을 모두 통합하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이루고자 하는 자장의 염원이 담겨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바탕에 왕즉불 관념과 함께, 신라가 부처의 나라라는 불국토(佛國土) 사상이 있었다.

이러한 자장의 신라 불국토 관념은 오대산 신앙과 연결된다. 지금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오대산(五臺山)은 중국의 오대산과 같은 이름이다. 원래 오대산은 불교의 성지 중 하나로 문수보살이 거처한다고 했다. 자장은 당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의 화신인 신비한 승려에게 신라 동북쪽 명주(溟洲, 지금의 강원도 강릉시) 경계에도 오대산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귀국한 후 문수보살을 친히 뵙고자 강원도의 산들을 돌아다녔다. 그리고 643년(선덕여왕 12)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불교의 성지 오대산가 신라에 있고, 이곳에 문수보살을 비롯한 5만의 부처와 보살이 머무르고 있다는 오대산 신앙이 자장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자장은 부처의 나라 신라, 곧 불국토 신라를 구현하려 하였다.

5 문수보살이 다시 찾아왔으나 알아보지 못하고 최후를 맞이하다

자장은 오대산 신앙, 곧 문수보살과 깊은 관련이 있었는데, 그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에도 문수보살이 등장한다. 그는 만년에 강릉군(江陵郡), 곧 명주(溟洲)에 수다사(水多寺)라는 절을 세우고 머물렀는데, 문수보살의 화신인 노승이 꿈에 다시 찾아와 다음날 대송정(大松汀)에서 만나자고 하였다. 다음날 자장이 대송정에 가니 과연 문수보살이 와 있었는데, 또 다시 태백산(太白山) 갈반지(葛蟠地)에서 다시 만나자고 하고 사라졌다. 자장과 제자가 태백산에 올라 큰 구렁이가 나무 밑에 서려있는 것을 보고 그곳이 갈반지임을 알아 문수보살을 기다렸다. 이때 남루한 노인이 죽은 개를 메고 와서 자장을 만나고자 하였는데, 자장과 제자가 미친 사람으로 여겨 무시해 버렸다. 그가 바로 문수보살이었는데, 그는 남을 업신여기려는 마음이 있는 자가 어찌 자기를 알아보겠냐는 말을 남기고는 빛을 내면서 홀연히 사라져 버린다. 뒤늦게 알아차린 자장이 서둘러 빛을 쫓아가려 했으나, 따라가지 못하고 그곳에 쓰러져 죽었다고 한다. 그러자 제자들이 화장하여 석혈(石穴)에 유골을 모셨다. 이때가 658년(태종무열왕 5) 경이다.

자장은 후에 신라 10성(聖)의 1인으로 추대되어 소상(塑像)을 만들어 흥륜사(興輪寺) 금당(金堂)에 모셨다. 그의 저서로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아미타경의기(阿彌陀經義記)』, 『사분률갈마사기(四分律羯磨私記)』, 『십송률목차기(十誦律木叉記)』, 『관행법(觀行法)』 등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 전하는 것은 없다. 다만 일본 승려 양충(良忠)이 지은 『법사찬사기(法事讚私記)』에 자장의 『아미타경의기』의 구절이 인용되어 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