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려
  • 문종

문종[文宗]

고려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군주

1019년(현종 10) ~ 1083년(문종 37)

문종 대표 이미지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청)

1 개요

문종(文宗)은 고려의 11대 국왕이다. 8대 국왕이었던 현종(顯宗)의 아들이며, 현종 사후 차례로 즉위한 덕종(德宗)과 정종(靖宗)은 모두 그의 이복형이다. 즉 현종 이후에 그의 세 아들이 차례로 즉위를 했던 것이다. 1019년(현종 10)에 태어나 1046년(정종 12)에 즉위하였고, 1083년(문종 37)에 사망하였다. 어머니는 원혜태후(元惠太后) 김씨였다. 부인으로 인평왕후(仁平王后) 김씨를 비롯하여 인예태후(仁睿太后)·인경현비(仁敬賢妃)·인절현비(仁節賢妃)·인목덕비(仁穆德妃)가 있었다. 자녀로는 그를 이어 즉위하는 순종(順宗)과 선종(宣宗), 숙종(肅宗) 등 여럿을 두었고,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역시 그의 아들이다. 능은 경릉(景陵)이다.

2 다원적 천하, 태평성대의 기틀이 되다

조선의 명군(明君)으로 세종(世宗)이나 영조(英祖), 정조(正祖)가 손꼽힌다면, 고려의 훌륭한 군주로는 문종을 들 수 있다. 그의 치세는 고려인들이 태평성대라 불렀음은 물론, 송나라에서도 문종이 훌륭한 임금이었음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태평성대의 기반은 우선 당시의 국제적인 정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거란과 송, 고려가 전란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 속에서 공존하며 경쟁·협력·견제하는 다원적인 천하의 시대가 열렸던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10세기 말부터 11세기 초반까지 거란과 송, 거란과 고려는 여러 차례 큰 전쟁을 벌였다. 그러나 1004년(목종 7)에 거란과 송이 전쟁 끝에 전연지맹(澶淵之盟)을 맺어 공존의 길을 택했고, 1019년(현종 10)에는 고려가 침공해 온 거란군을 상대로 귀주(龜州)에서 큰 승리를 거둔 뒤 곧 화의를 맺었다. 물론 각자의 심중에는 불만 혹은 훗날의 기회를 노리는 생각이 있었을 것이다. 이후 세 나라 간에는 국지적인 충돌이나 외교적 갈등이 간혹 벌어졌으나, 큰 전쟁은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되었다.

문종대 고려의 국제 관계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여진 및 송과의 관계이다. 한반도 북부 지역부터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 흩어져 살던 여진 부족들은 고려와 국초 이래로 많은 접촉을 하고 있었다. 시기에 따라, 또 부족의 입장에 따라 고려와 우호적인 관계인 경우도 적대적인 경우도 있었다. 거란과 고려가 전쟁을 벌이던 기간에 양측 모두 자국에게 협력하는 여진 부족들을 확보하고 있었다. 전쟁이 끝나고 고려가 군사적 역량을 입증하자, 이제 고려 쪽으로 귀부하는 여진 부족들이 상당히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문종대에는 특히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많은 여진 부족들이 거란에서 받은 직첩을 고려에 내고 고려의 직첩으로 바꿔 받아가기도 하였고, 공물을 들고 찾아오는 횟수도 크게 늘었다. 심지어 장성 너머에 거주하는 부족들이 찾아와 고려의 직할지로 삼아달라고 요청을 하였다. 이들은 고려의 군주에게 번병(藩屛)이 될 것을 자청하여, 고려의 해동천하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송과 통교를 재개했다는 점이다. 고려는 원래 송과 국교를 맺고 좋은 관계에 있었으나, 거란과의 전쟁을 거치며 화의 조건으로 송과 단교하였다. 물론 그 이후에도 종종 사신을 교환하였고 상인의 왕래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문종대에 들어서 다시 공식적으로 통교가 이루어진 것이다.

1058년(문종 12) 8월, 문종은 송과 통교를 재개하려 탐라(耽羅)와 영암(靈巖)에서 목재를 베어 큰 배를 만들도록 지시하였다. 그러나 조정의 신하들은 이에 반대하였다. 『고려사』에서는 그 반대의 이유로 세 가지를 들었다. 거란이 의심할 수 있고 탐라의 형편이 여의치 않으며, 현재 고려의 문물이 융성하고 상인을 통해 귀한 물건들은 입수하고 있으니 굳이 송과 다시 통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 때 문종은 조정의 건의를 수용하여 재개 준비를 중단하였다.

그러나 1068년(문종 22년) 7월에 뜻밖의 소식이 전해졌다. 송의 황제가 상인 황신(黃愼)을 통해 국교 재개를 원한다는 뜻을 전달한 것이다. 후한 대접을 받고 돌아간 황신은 2년 뒤에 다시 송 조정의 명을 받고 고려를 찾아왔다. 고려는 이에 답하여 1071년(문종 25) 3월에 민관시랑(民官侍郞) 김제(金悌)를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이 뒤로 양국은 활발하게 사신을 교환하며 문물을 주고받았다. 이러한 송의 제안은 당시 거란에 대항하기 위하여 고려와 연계하는 편이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문종은 송의 사신단을 지극히 환대하며 적극적으로 교류에 나섰다. 송은 문종의 이러한 태도에 반색하였다. 당시 지병으로 고생하던 문종의 요청에 대해 여러 명의 의관(醫官)과 많은 양의 약재를 보냈던 기록이 나타난다. 또 사신단을 선발할 때 학문과 문장에 뛰어난 인물을 특별히 선발하기도 하고, 대장경을 선물로 보내기도 하였으며, 사신들이 오갈 때에 국신물(國信物)도 매우 후하게 준비하였다. 고려의 사신단이 방문하면 경로의 지방관들에게 극진히 대접하도록 명령하여, 문장가로 유명한 소식(蘇軾)이 상소를 올려 너무 과한 대우를 한다고 비판할 정도였다. 이러한 고려와 송의 밀월 관계는 문종대는 물론, 이후 금(金)이 대두하여 국제 정세가 가파르게 변하는 시점까지 계속되었다.

3 국가 체제 정비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

문종대의 국제적 여건이 고려에게 아주 좋았다고 해도, 그것이 자동으로 고려의 태평성대를 만들어 주는 것은 아니다. 이 시기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국가 체제를 정비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다방면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갑작스러운 전쟁 등 외부로부터의 변수가 줄어들었다는 점도 그러한 노력이 성과를 거두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문종이 체제 정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은 즉위한 이듬해인 1047년(문종 원년) 6월에 시중(侍中) 최충(崔冲)에게 율관(律官)들과 함께 법률을 정비하게 한 모습에서부터 느낄 수 있다. 국가의 근간이 되는 법률에 대하여 “법률은 형벌을 판단하는 기준이니 명백하면 형벌이 억울하거나 지나친 것이 없고, 명백하지 못하면 형벌이 공평성을 잃게 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율령에 어떤 것은 잘못된 것이 많아 매우 우려하고 있다.”라고 하며 시급히 정비하게 한 것이다. 두 달 뒤에 죄수에게 사형(死刑)을 내릴 때에는 혹시라도 억울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세 번 심사하여 결정하도록 지시한 것, 그리고 몇 해 뒤에 반드시 세 명 이상의 법관이 죄인을 심문하도록 지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또 역학(曆學) 서적을 편찬하게 하고 각종 의학 서적을 간행시키는 등 다방면에 걸쳐 기준을 세워 현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한편 문종대에는 경제면에서 관료들의 보수체계 및 후생복지와 관련된 공음전시(功蔭田柴)와 전시과(田柴科)를 정비한 일, 양전(量田)의 단위를 새로 정하고 전품(田品)의 기준을 세운 일, 재해나 농사의 풍흉을 따져 세금을 조정하게 한 일 등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관료제도 역시 손질이 필요했다. 녹봉제 확대 실시, 남반(南班)의 위상 격하, 기인(其人) 제도의 수정, 국자감의 학사 관리 엄격화 등이 이루어졌다. 남경(南京)과 장원정(長源亭)을 건설하고 개경 인근의 경기(京畿)를 조정한 것은 국가적 거점 운용 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 일이었다. 이런 일련의 조치들은 국초의 제도들을 달라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중요한 일이었다.

4 고려인들, 풍요로운 문물 속에서 태평시절을 노래하다

위와 같은 국내외적 여건과 노력들은 당대의 고려인들에게 태평성대를 누리게 하였다. 물론 이것이 국왕인 문종 한 사람의 힘이 아니라, 당시의 수많은 고려 사람들이 노력했던 결과였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시기에는 유학과 불교 등 다방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유학의 경우, 문종은 학생들이 학업에 힘쓰도록 지원하면서 국자감의 학사 관리를 엄격하게 규정하도록 하였다. 역사서와 유학 관련 서적들을 간행하고, 이를 지방으로 내려 보내 공부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 과거 급제자를 오래 배출하지 못했던 지역 출신이 급제하면 크게 우대하도록 하여 각지의 젊은이들을 격려했다. 관료들에게도 자주 시를 지어 내도록 하여 글공부를 계속 연마하게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에 맞추어 당대의 명신이었던 최충은 은퇴 후에 제자들을 널리 모아 유학을 가르쳤으니, 이들을 문헌공도(文憲公徒)라 불렀다. 최충은 9개의 재(齋)를 두어 학생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당시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젊은이에게는 이곳에 들어가 공부하는 것이 큰 인기였다. 그리고 이를 본받아 다른 관리들도 속속 사학(私學)을 열었으니, 이들을 통칭하여 12도(徒)라고 부른다. 고려는 국초부터 관리들에게 제자를 두고 학문을 가르치도록 권장하곤 했는데, 이 시기에 이르러 조직화된 것이다.

문종은 불교에도 깊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훗날 천태종(天台宗)을 고려에서 일으키고 교장(敎藏)을 간행하는 의천이 그의 아들임은 앞에서 거론하였다. 또 대운사(大雲寺)와 대안사(大安寺), 흥왕사(興王寺) 등의 절을 창건하였다. 흥왕사는 2,800간에 달하는 거대한 사찰로, 무려 12년에 걸쳐 건립되었다. 훗날 문종은 이곳에 은으로 만들고 그 위에 금을 입힌 금탑을 세웠다. 앞서 송에서 대장경을 보냈다는 점을 언급하였는데, 거란에서도 또한 대장경을 고려에 보냈다. 불교의 정화라 할 수 있는 대장경을 선물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는 것이었고, 고려의 불교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려 역시 거란에 대장경을 선물로 보냈음이 기록되어 있다. 훗날 의천이 교장 간행이라는 거대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던 기반이 이미 문종대부터 마련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종의 시대에 대한 평은 고려말의 정치가인 이제현(李齊賢)이 남긴 사평에서 지극하게 내려진 바 있다. 그의 말 중 일부를 옮기는 것으로 문종에 대한 글을 마무리한다.

현종·덕종·정종·문종은 아버지가 일으키고 아들들이 계승하며, 형이 죽으면 아우가 뒤를 이어서 시작에서 끝이 거의 80년이고, 가히 전성기라 이를 만하다. 문종은 몸소 절약에 힘쓰고, 현명하고 재주 있는 자들을 등용하였으며, 백성을 사랑하고 형벌을 신중하게 하였고 학문을 숭상하고 노인을 공경하였다. 벼슬을 적임자가 아닌 사람에게 맡기지 않고 권력을 측근[近昵]에게 넘기지 않았으며, 비록 인척이라도 공훈이 없으면 상 주지 않고 좌우의 총애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처벌하였다. 환관(宦官)과 급사(給使)는 10여 명에 지나지 않고, 내시(內侍)는 반드시 공로와 재능이 있는 자를 가려서 충용(充用)하되 역시 2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쓸모없는 관원들을 줄여서 일을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절약하여 나라를 부유하게 하였다. 대창(大倉)의 곡식이 계속해서 쌓이고 쌓였으며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하니, 당시 사람들이 태평성세라 불렀다. 송(宋)은 매양 왕을 포상(褒賞)하는 글월[命]을 보냈으며, 요(遼)는 해마다 왕의 생일[慶壽]을 축하하는 예식을 행하였다. 동쪽 일본[倭]은 바다를 건너와 진기한 보물을 바쳤고, 북쪽 맥인(貊人)은 관문(關門)을 두드려서 토지를 얻어 살게 되었다. 그러므로 임완(林完)은 〈문종을〉 우리나라의 어질고 성스러운 군주라고 하였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