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고려
  • 홍복원

홍복원[洪福源]

나라를 배반하고 영달을 도모한 자의 비참한 죽음

1206년(희종 2) ~ 1258년(고종 45)

1 개요

홍복원(洪福源)은 대몽항쟁기~원간섭기 초기에 살았던 인물로, 원래 고려 변방의 관리였다. 몽골군이 침입하자 투항하여 그들을 도왔고, 이어 서경(西京)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자 몽골로 달아났다. 그 뒤로는 몽골의 관리가 되어 고려 공격의 선봉에 섰다. 그러나 몽골 황족과 결혼한 고려의 왕족을 모욕했다가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

2 대를 이은 투항, 그리고 반란

열전에 따르면 홍복원은 원래 당성(唐城) 사람인데 선조가 인주(麟州)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인주는 고려 서북면의 최전선에 있는 요충지 중 한 곳이다. 압록강 하구에 있고, 대륙과 한반도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는 관문이던 의주(義州)와 인접한 곳이다. 그의 아버지 홍대순(洪大純)은 인주의 도령(都領)이었다. 도령은 해당 지역에 토호(土豪)처럼 군림하며 그 지역의 군대를 통솔하는 최고 지휘관이었다.

이들이 살았던 13세기 초는 북방 초원에서 몽골이 대두하며 천하의 형세가 달라지던 시점이었다. 몽골은 한반도로 진입한 거란족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고려의 영역으로 들어왔다. 1218년(고종 5)에 벌어진 ‘강동성(江東城) 전투’에서 고려는 몽골과 힘을 합쳐 거란족을 제압하였다. 이때 홍대순은 몽골군이 인주 지역으로 접근하자 이들을 맞이하며 투항하였다. 홍대순의 이런 행동은 아마도 어린 아들 홍복원의 머리와 가슴에 크게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점차 갈등의 수위를 높여가던 고려와 몽골은 결국 1231년(고종 18) 전쟁에 돌입하게 되었다. 살례탑(撒禮塔)이 이끄는 몽골군이 쳐들어오자, 인주를 지키던 홍복원은 13년 전 자기 아버지와 똑같이 이들을 맞이하여 투항하였다. 당시 그가 데리고 항복한 백성이 1500호였다고 한다. 홍복원은 이때 몽골에 “만약 대사가 마침내 이루어진다면 천자께서는 신의 우직한 충정을 생각해주시고, 혹 일을 그르치게 되더라도 자리로 나아가 감히 물러나지 않게 되기를 바라옵니다.”라고 하였다고 한다. 적군에게 투항한 홍복원은 적극적으로 이들을 돕기 시작하였다. 그는 살례탑과 함께 항복하지 않는 지역들을 공격하였고, 개경(開京)으로 가 국왕 고종(高宗)에게 항복을 요구하였다.

당시 고려는 몽골의 침입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귀주성(龜州城) 전투’ 등에서 처절한 싸움으로 몽골군을 물리치기도 했으나, 고려의 중앙군은 대패하고 말았다. 몽골군은 개경 근처까지 진격하여 고려를 압박하는 상태였다. 이때 홍복원이 몽골 측 사신단의 일원으로 온 것이며, 고려는 왕족 회안공(淮安公)을 몽골 진영에 보내는 한편 표문을 올려 화의를 맺었다. 살례탑은 고려에 72인의 다루가치를 두어 점령한 지역을 다스리게 하고, 1232년(고종 19) 1월에 되돌아갔다. 1차 침입의 끝이었다.

전쟁 중에 적군에게 투항하는 사람은 적지 않다. 그러나 홍복원처럼 적극적으로 그편에 서서 활동하는 사람도 드물 것이다. 1232년(고종 19) 6월, 고려 조정은 강화도(江華島)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살례탑이 남겨둔 다루가치도 모두 살해하였다. 그러자 홍복원은 기존에 몽골이 차지했던 북방 40여 주현(州縣)을 장악하고 몽골군이 다시 오기를 기다렸다. 실제로 두 달 뒤인 8월에 몽골은 다시 살례탑을 사령관으로 삼아 고려를 공격하였다. 처인성(處仁城)에서 살례탑이 전사하면서 몽골군이 철수하였지만, 몽골은 홍복원에게 계속 남아 해당 지역을 지키도록 하였다. 『원사(元史)』의 기록을 보면 당시 그는 몽골로부터 ‘고려군민만호(高麗軍民萬戶)’의 직위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고려측 자료에는 이 시기에 그가 서경낭장(西京郎將)으로 있었다고 적혀 있다. 아마도 고려와 몽골 양측에서 관직을 부여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233년(고종 20) 5월에 필현보(畢賢甫)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고려 관리를 죽이고 서경을 장악했는데, 고려군이 이를 12월에 진압하였다고 한다. 패배한 홍복원은 몽골로 달아났다. 홍대순을 비롯한 그의 가족들은 모두 고려 조정에 잡혔다. 고려는 ‘반역자’ 홍복원을 처단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홍복원과 고려의 악연은 이제부터 시작이었다.

3 몽골의 관리가 되어 고려를 핍박하다

위의 사건에 대하여 원측 자료에서는 10월 무렵부터 고려가 서경 등의 항복한 백성들을 공격하니 홍복원이 투항민을 이끌고 요양(遼陽)으로 옮겼다고 하였다. 그는 몽골로부터 관령귀부고려군민장관(管領歸附高麗軍民長官)이라는 지위를 받았고, 뒤에는 동경총관(東京惣管)이 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몽골에 투항했던 고려의 40여 성의 백성들을 총괄하는 막강한 권력을 누렸다. 몽골은 홍복원의 예를 선전 도구로 삼아 아직 투항하지 않은 고려 백성들에게 항복을 권유하기도 하였다. 홍복원이 이렇게 몽골에서 승승장구하자 고려 조정은 무척 당혹스러웠을 것이다. 열전에 따르면 고려의 무신집권자 최우(崔瑀)는 홍복원을 달래기 위해 그 아버지 홍대순에게 대장군(大將軍) 직위를 내려주고, 승려로 출가했던 동생 홍백수(洪百壽)를 환속시켜 낭장(郎將)으로 삼았다. 또 장위(張暐)라는 인물을 홍복원의 사위로 들여보내고 그를 통해 끊임없이 뇌물을 홍복원에게 보냈다고 한다. 이로 인해 홍복원의 마음이 조금 풀렸다고는 하지만, 그의 행동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다.

몽골은 이 뒤로도 긴 시간 동안 고려를 여러 차례 공격하였다. 1254년(고종 41)까지 네 차례에 걸친 침입이 더 이루어졌다. 고려가 입은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마지막 침입이 벌어졌던 1254년(고종 41) 한 해에만 포로로 잡혀간 고려인이 21만 명에 육박하고, 살육당한 사람은 이루 다 셀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홍복원은 그 전쟁터에 몽골군을 인도하여 등장하였다. 기록상 확인되는 것으로는 서북면 지역, 위주(渭州)와 평로진(平虜鎭), 현재의 경기도와 강원도‧충청도 일대, 지금의 전라도 일대를 침입하거나 개경 지역을 공격하는 등의 모습이 나타난다.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홍복원은 몽골의 충실한 관리로 일하며 고려 정복을 위해 분골쇄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철저하게 몽골의 입장에서 전쟁에 임했다. 가령 1253년(고종 40)에 홍복원은 몽골의 칸에게 “고려가 중성(重城)을 쌓은 것은 육지로 나와 항복[歸款]할 뜻이 없어서입니다.”라고 보고를 올렸다고 한다. 새로 고려에서 투항한 자들은 동경으로 보내져 홍복원의 지휘를 받도록 명령받았다. 홍복원의 위상은 하늘을 찔렀다.

4 오만이 부른 비참한 죽음

몽골에서 승승장구하던 홍복원의 기세는 꺾일 줄을 몰랐다. 그에게는 이제 고려의 왕족조차 대단치 않게 보였다. 당시 그의 눈에 고려는 몽골에게 멸망을 당할 나라였을 것이고, 자신은 거기에 큰 공을 세울 사람이었을 것이다. 성공에 도취된 순간의 오만함. 그것이 어이없을 정도로 한순간에 홍복원의 삶을 처참하게 끝내버렸다.

이에 관해서는 홍복원의 열전에 가장 자세한 기록이 전한다. 고려의 왕족 중에 영녕공 왕준(永寧公 王綧)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1241년(고종 28)에 독로화(禿魯花)로 몽골에 보내졌다. 그런데 생활이 여의치 않았는지, 홍복원의 집에서 기거를 하였다고 한다. 홍복원도 처음에는 그를 융숭하게 대접하였다. 하지만 점차 둘 사이에 틈이 생겼다. 기울어가는 나라에서 온 볼모 왕족과 그 나라를 배반하고 와 승승장구하는 사람이 계속 가깝게 지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더구나 둘 다 몽골에서 입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실제로 『원사(元史)』의 홍복원 열전에서는 왕준이 고려에서 귀순한 백성에 대한 통솔권을 탐하여 홍복원을 참소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258년(고종 45) 어느 날, 홍복원은 무당을 불러 나무 인형을 만들어 저주하는 의식을 몰래 치렀다. 고려에서 도망쳐 온 이주(李綢)라는 자가 왕준을 통해 이 이야기를 듣고는 황제에게 아뢰었다. 몽골인들은 이러한 일에 아주 민감했다. 황제의 조사관이 파견되고, 홍복원은 아이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일이었다고 둘러댔다. 이는 적당히 무마된 것 같은데, 그 뒤가 문제였다. 화가 난 홍복원은 왕준에게 거칠고 불손하게 따지고 들었다. “공(公)이 나에게 은혜를 입었던 것이 오래이면서 어찌 도리어 적(賊)에게 참소를 시켜서 나를 모함하는 것입니까? 〈이것은〉 이른바 기른 개가 도리어 주인을 문다는 것입니다!”

고려의 왕족을 개에, 자신을 주인에 비유한 이 말. 그때 곁에서 이 말을 함께 들은 사람이 있었다. 바로 몽골의 황족이었던 왕준의 부인이었다. 통역을 통해 홍복원의 말을 전해들은 왕준의 부인은 크게 분노하여 홍복원을 꾸짖었다. “내 남편이 개라면, 나는 무엇이라는 말이냐?”라는 식의 말이 나왔다. 이는 몽골의 황족인 자신에 대한 모독이라는 것이었다. 홍복원은 물론이고 왕준마저도 당황했다. 홍복원은 재산을 털어 왕준에게 뇌물로 바치고 그에게 울며 매달려 죄를 빌었다. 왕준도 부인을 달래려 하였다. 그러나 이미 상황은 너무 늦었다. 왕준의 부인은 그 길로 황제를 뵈러 갔고, 황제는 칙사를 보내 홍복원을 처벌하게 하였다. 길에서 홍복원을 만난 칙사는 장사 수십 명을 시켜 그를 발로 밟아 죽였다. 그의 처와 아들들 역시 형틀이 씌워져 압송당하였고, 재산은 모두 적몰되었다. 누구도 예상하기 어려웠던 한순간의 처참한 몰락이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몽골군에게 항복하는 모습을 곁에서 봤던 홍복원. 그는 철저하게 강자인 몽골에 붙어 일신의 영달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성공하였다. 하지만 그 성공에 도취된 순간에 부렸던 오만이 그의 모든 것을 날려버렸다. 고려인들의 입장에서는 사필귀정이라는 말이 떠올랐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끝은 아니었다. 홍복원의 아들들은 이 일에 깊은 원한을 품었다. 그중에서도 홍차구(洪茶丘)가 가장 지독한 원한을 새겼다. 이로 인한 고려와 홍씨 집안의 계속되는 악연. 이것은 홍차구 항목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훗날 홍차구의 활약으로 복원된 그가 몽골에서 ‘충헌(忠憲)’이라는 시호를 받은 것이 그의 삶을 잘 묘사하여 준다. 『고려사』에는 반역자 열전에 실린 것과 대조적으로, 그의 충성은 누구를 위한 것이었을까.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