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권율

권율[權慄]

행주대첩을 이끌다

1537년(중종 32) ~ 1599년(선조 32)

권율 대표 이미지

권율 영정

전통문화포털(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

1 권율의 일생

1537(중종 32)∼1599(선조 32). 조선의 문신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시기 장수로서도 크게 활약했다. 좋은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있다가 늦은 나이에 관직길에 나아갔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군사를 모아 서울 수복을 위해 북상했다. 이치전투, 독성산성전투, 행주산성전투에서 적의 맹공을 막아냈다.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 도원수에 올랐으며 사직과 복귀를 거치면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조선군을 지휘했다.

2 가문적 배경과 유년시절

중종을 거쳐 명종에서 선조대로 이어지는 시기는 성리학 사상으로 무장한 사림으로 불리는 이들이 옛 세력들에게 도전장을 내밀던 시기였다. 권율의 집안도 이 시기에 성장했다. 한편 당시 조선은 북쪽의 여진족과 남쪽의 왜구의 침략에도 신경을 써야만 했고 능력이 출중한 지방관, 무장들이 선발되어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기도 했다.

권율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자는 언신(彦愼)이다. 호는 만취당(晩翠堂), 모악(暮嶽)이다. 조부는 강화부사 권적(權勣), 부친은 영의정 권철(權轍), 어머니는 적순부위(迪順副尉) 조승현(曺承晛)의 딸이다. 이항복(李恒福)의 장인이다.

아버지 권철은 사관으로서 사초를 쓸 때 직필하여 당시 영의정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기도 한 사람이었다. 이후 복직되어 명나라에 두 차례 다녀왔으며 벼슬이 영의정에 올랐다.

권율은 다섯 살 때부터 〈효경〉을 배우기 시작하여 여덟 살 때에 〈소학〉을 읽었으며 이후로도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이가 40세가 넘도록 벼슬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주위에서 아버지 벼슬의 혜택을 이용한 음직이라도 받으라고 하였으나 강태공의 예를 들며 거절하였다고 한다. 그러다가 1582년(선조 15)에 46세의 나이에 과거에 합격하였고 1591년(선조 24) 임진왜란 직전에 의주목사에 임명되었다가 이듬해 해직되었다.

3 임진왜란 초기의 활동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에 임명되어 즉시 그곳으로 향했다. 그러나 수도 한성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방어사 곽영(郭嶸)의 중위장으로서 서울을 수복하기 위하여 북상했다. 전라도 순찰사 이광(李洸)도 대군을 이끌고 한성으로 향하고 있었는데, 이광은 권율의 조언을 듣지 않고 무리한 공격을 하다가 대패했고 권율은 광주로 돌아가서 다시 공격을 준비하기로 하였다.

귀환 후 군사들을 재결집한 권율은 다시 한성을 향해 진군했다. 그리고 동복현감 황진(黃進)과 함께 금산군에서 전주로 들어오려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의 군대와 이치에서 싸워 승리했다. 이를 이치전투(梨峙戰鬪)라고 부른다.

이 전투에서의 승리는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을 어렵게 만든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 공으로 나주목사에 임명되었다가 곧 전라도 관찰사 겸 순찰사로 승진하였다.

1592년 12월, 권율은 1만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다시 한성으로 향했다. 앞서 이광의 대패를 되돌아보며 곧장 한성으로 향하는 것을 피하고 잠시 수원의 독성산성(禿城山城)에 들어가 진지를 구축하기로 했다. 진지를 만들자 한성의 일본군은 한반도 남부에 퍼져있던 여타 일본군들과의 연락이 끊길 것을 염려하여 한성에 머물던 일본군들을 보내 독성산성을 공격하기로 했다. 권율은 성을 굳게 지키는 지구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정예병을 가끔 밖으로 보내 적과 교전하는 유격전을 벌여 적을 지치게 했다. 일본군은 더 이상의 공성전을 포기하고 결국 물러나고 말았다. 적이 퇴각할 때 정예기병을 풀어 적을 기습하여 많은 적을 사살했다. 독성산성 전투로 조정이 피난한 의주와 남부로의 길목이 생겨 연락이 수월해졌고, 한성수복 가능성도 커졌다.

4 행주산성전투

이즈음 명나라에서 조선을 구원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였다. 권율은 추후에 있을 명군과의 한성 탈환 연합작전을 대비하여 보다 한성에 가까운 지역으로 군사를 옮기기로 하였다. 먼저 휘하에 있던 조방장 조경(趙儆)에게 명하여 적당한 곳을 찾게 하였다. 그리고 주둔지로 행주산성(幸州山城)이 선택되었다. 권율은 조경에게 명령하여 2일에 걸쳐 목책을 완성하게 한 뒤 독성산성에 소수의 병력만을 남기고 군사를 이동시켰다. 전라도 병마절도사 선거이(宣居怡)에게는 4천 명의 병력을 주어 금천산에 주둔하게 하고 자신은 2천 3백 명을 거느리고 행주산성에 들어갔다. 이것이 1593년(선조 26) 2월의 일이었다.

이후 의승장 처영(處英)이 승병 천명을 이끌고 도착했으나 행주산성의 병력은 수천에 불과했다. 그에 비해 한성에 주둔한 일본군은 수만에 이르렀다. 한성의 일본군은 3만 여의 병력을 보내 행주산성을 공격하기로 하였다. 1593년(선조 26) 2월12일부터 시작된 공격에서 일본군은 수 겹으로 성을 둘러싸고 맹렬하게 도전해왔고, 행주산성은 거의 함락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으나 권율의 통솔력과 관군, 의병, 승병의 일치단결한 대응 덕분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이를 행주산성 전투, 혹은 행주대첩이라고 부른다.

행주대첩 이후 권율은 행주산성에서 파주산성으로 옮겼다. 주위에 이 성을 내려다 볼만한 다른 봉우리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5 도원수로서의 활동

행주산성 전투의 공으로 권율은 도원수에 임명되었다.

도원수는 국가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조선군을 총괄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주어지는 관직으로서 임진왜란이라는 위기가 닥치자 김명원이 그에 임명되었고 이 때 와서 권율로 교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도원수는 도체찰사와 직무상 겹치는 부분이 많았고 하급 장수들이 도원수의 명령에 불복하고 직속상관의 명령만을 따르려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들이 중첩되어 권율은 1595년 10월 일시적으로 도원수에서 물러나기도 했으나 다음해 1월 다시 도원수 직에 돌아왔다.

명과 일본의 강화교섭이 결렬되고 일본군이 다시 바다를 건너올 것이 예상되자 도원수 권율은 대책마련에 힘썼다. 이 때 이순신(李舜臣)이 가토 기요마사의 도해를 견제하지 않았다는 죄목 등으로 삼도수군통제사에서 물러나고 그 자리에 원균(元均)이 임명되었다. 권율은 일본군이 대함대를 이끌고 조선에 상륙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원균에게 일본군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원균은 출진을 주저했고 권율에 의해 곤장을 맞고서야 바다로 나갔다.

그러나 이번에는 일본군 역시 해전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한 상태였고 원균이 이끄는 조선함대는 칠천량전투(漆川梁海戰)에서 그들에게 크게 패하고 말았다.

당시 이순신은 권율의 밑에서 백의종군하고 있었다.

조선조정은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하였고, 권율은 이순신으로 하여금 수군을 다시 수습하게 하였고, 자신은 고령에 주둔하면서 경상도를 관리하고 전라도의 군사는 일본군이 공격하고 있는 남원을 구원하게 했다.

다시 조선을 구원하기 위해 들어온 명군은 그해 12월 울산성에 주둔하고 있는 가토 기요마사를 공격대상으로 삼고 남하했다. 권율이 통솔하는 조선군도 이에 참전했다. 조명연합군은 울산성을 함락 직전까지 몰아붙였으나 궂은 날씨와 일본군 원군도착 등으로 인해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이 후 명군은 부대를 세 개로 나누어 각각 울산성, 사천성, 순천왜성(順天倭城)을 공격하는 대규모 작전을 계획했다. 권율은 순천왜성을 공격대상으로 삼은 서로군에 참전하였다. 여기는 명군제독 진린과 조선의 이순신이 수군으로 참전하였다. 그러나 이 쪽 방면의 지휘관인 명군 제독 유정은 고니시 유키나가와 철수협상을 벌였고 사실상 공격을 포기했다.

도원수로서 권율은 최전선에 직접 나아가 활동하면서 일본군과 대치한 조선군을 지휘했다. 지휘권, 명령권 문제로 갈등이 있기도 했고, 군사작전권이 명군에게 주어져있었기에 임진왜란 초기와 같은 활약을 하지는 못했으나 전쟁이 끝날 때까지 조선군을 큰 문제없이 통솔했다.

전쟁이 끝난 후 1599년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7월에 세상을 떠났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1604년에 선무공신 1등에 추봉되었다.

1841년 행주에 기공사(紀功祠)가 건립되었고 그곳에 향사되었다. 기공사는 이후 충장사(忠壯祠)로 개칭되었다. 그가 임진왜란 때 활약한 공훈을 기록한 〈권원수실적(權元帥實蹟)〉이 전한다. 시호는 충장(忠莊)이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