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세종이 소헌왕후를 위해 지은 찬불가

1447년(세종 29)

월인천강지곡 대표 이미지

월인천강지곡 권상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청)

1 개요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석가의 공덕을 찬송하여 지은 노래이다. 1446년(세종 28)에 세상을 떠난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 이듬해인 1447년(세종 29)에 수양대군(首陽大君, 훗날의 세조)이 산문 형태의 『석보상절』을 편찬하였다. 세종은 『석보상절』의 내용을 토대로 찬불가 형식의 『월인천강지곡』을 지었다.

‘월인천강(月印千江)’은 하나의 달이 천 개의 강물에 비춘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즉, 부처의 자비가 달빛처럼 모든 중생에게 비춘다는 뜻으로, 책 앞부분에 ‘부처가 백억세계에 화신하여 교화하심이 달이 천 개의 강에 비치는 것과 같으니라.’‘라는 주석이 있다.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은 매우 밀접하게 관련 있는 문헌으로, 1459년(세조 5)에 세조는 두 책의 내용을 합쳐 『월인석보(月印釋譜)』를 짓도록 했다. 신미(信眉), 수미(守眉), 학조(學祖) 등의 승려와 김수온(金守溫)과 같은 관료가 참여하여 『월인천강지곡』의 각 절을 본문으로 삼고, 그에 해당하는 『석보상절』의 내용을 주석이 되도록 편집하였다. 『월인석보』도 전권(全卷)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월인천강지곡』에서 전해지지 않는 내용의 상당 부분을 보완해주는 사료이다.

현재 『월인천강지곡』은 상권, 중권, 하권 중에서 상권과 중권의 낙장(落張)이 전해지고 있다. 상권에 실린 노래가 모두 194곡이므로, 책 전체로는 대략 600곡에 가까운 노래가 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월인석보』에 실린 것을 합하면 400여 곡의 노래가 알려져 있다.

2 세종의 숭불과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직접 지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방대한 양의 찬불가를 세종이 직접 지었다는 것에 의문을 갖는 연구자도 있지만, 『월인석보』의 석보상절서(釋譜詳節序), 어제월인석보(御製月印釋譜序)에 세종이 직접 지었다는 기록이 있고, 『세조실록』에도 세조가 부왕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듣다가 눈물을 흘렸다고 서술되어 있다.

세종은 『월인천강지곡』의 저자일 정도로 불교에 대한 이해와 신앙이 깊었다. 편찬 무렵에도 세종은 승려들을 모아 불경을 대자암(大慈庵)으로 옮겨두고, 유학자들을 동원하여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집에서 불경을 금자(金字)로 쓰게 하였는데 수양대군과 안평대군(安平大君)에게 감독하게 하였다. 대군과 제군(諸君)이 참여한 불교 법석(法席)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 2천 명의 승려가 7일 동안 행하였다.

이러한 세종의 숭불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다양하다. 세종이 노년기에 점차 쇠약해진 데다 소헌왕후까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대한 믿음이 독실해졌다는 견해, 『석보상절』의 편찬과 『월인천강지곡』의 저술은 국가적인 차원의 것이 아니라 개인 신앙의 표현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 등이 있다.

그러나 세종이 직접 찬불가를 지었다는 것은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에도 불구하고 삼국시대 이래 이어져왔던 불교사회의 면모를 부정하기 쉽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편찬의 배경과 의의를 개인 신앙에 국한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숭유억불‘을 기조로 하였던 조선에서 불교가 아무런 역할을 못했던 것도 아닐 뿐 아니라, 『월인석보』의 석보상절서에서는 『월인천강지곡』의 제작 이유가 석가모니의 성불을 한글로 번역하여 사람들에게 알림으로써 불교에 귀의하게 되기를 바란다는 서술이 있다.

한편, 『월인천강지곡』의 편찬을 통해 세종이 불교의 권위에 기대어 왕실의 위상을 높이려 했다는 의견도 있다. 『월인천강지곡』에는 부자간의 인연을 주제로 하여 가족의 소중함을 강조한 부분이 많은데, 이를 세종의 애민 정신과 연결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3 한글 창제와 『월인천강지곡』

1443년(세종 25)에 한글 문자가 창제되었고, 1446년(세종 28)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이 만들어졌다. 그 과정에서 한글 사용과 보급을 위한 여러 사업도 행해졌다. 한글로 조선 건국의 유래를 밝히고 태조 이성계가 조상의 성덕을 찬송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가 편찬되었고, 한자음을 표음문자인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과 체계를 담은 『동국정운(東國正韻)』이 완성되었다.

이처럼 한글을 활용한 여러 편찬 사업 중에서도 세종은 불경을 한글로 간행하는 일에 의욕적이었다. 세종이 불경을 한글로 짓게 된 배경에는 한글의 유통과 확산을 꾀했던 목적도 있었고,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불교 대중화의 소산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은 모두 한글 문헌이다. 특히, 『월인천강지곡』은 문자를 되도록 한자보다 한글로 표현하려 했던 세종의 노력이 엿보이는 문헌이다. 한글을 위주로 문자를 표기하였고, 한자는 협주로 처리하였다. 한자를 먼저 쓰고 한글을 그 아래에 달아놓은 『월인석보』의 「월인천강지곡」 부분과도 대조적일 뿐 아니라 중세의 거의 모든 한글 문헌이 한자를 큰 글자로 먼저 배치하였던 것과도 차이가 있다.

한편,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의 간행은 그 구체적인 내용이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한글 금속활자로 인쇄한 최초 문헌들 중 하나라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한글 활자가 갑인자(甲寅字) 주조 이후에 만들어졌음은 『월인천강지곡』에 쓰인 활자의 기술력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점이다. 갑인자는 1434년(세종 26)에 만들어진 20여만 개의 대·소자 동활자이다. 그리고 『월인천강지곡』의 한글 활자는 갑인자 주조 이후 활자 인쇄의 수준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시기에 만들어졌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 한글 활자를 ’갑인자 병용 한글활자‘로 이름지었는데, 현재는 활자 자체가 남아있지는 않다.

4 『월인천강지곡』의 내용

『월인천강지곡』은 현재 상권만 전해지고 있는데, 그 내용은 석가의 일대기라는 특성에 따라 석가모니의 탄생, 출가, 성불, 열반 등에 대한 이야기들이 시간 순으로 서술되었고, 일부는 주제별로 정리되었다. 기본적으로 편찬 차례가 석가의 팔상(八相)을 따르고 있다. 불교에서는 석가의 일생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을 여덟 개로 구분하여 팔상이라고 이른다. 일반적으로 도솔내의(兜率來儀, 도솔에 온 일), 비람강생(毘藍降生, 남비니원에 탄생한 일), 사문유관(四門遊觀, 출가 전 태자 때 카필라성의 동서남북 4문 밖에 나가 인생의 네 가지 괴로움을 보고 출가를 결심한 일), 유성출가(逾城出家, 성을 넘어 집을 나간 일), 설산수도(雪山修道, 눈 덮인 산에서 도를 닦은 일), 수하항마(樹下降魔, 나무 밑에서 악마를 항복시킨 일), 녹원전법(鹿苑轉法, 녹야원에서 설법을 한 일), 쌍림열반(雙林涅槃, 쌍림에서 열반에 든 일) 등의 내용이다. 『석보상절』이 팔상을 토대로 하여 석가모니의 일생을 산문체로 서술했고, 세종은 이를 보고 찬불가 형식의 『월인천강지곡』을 만들었기 때문에, 두 문헌의 서술 내용은 일부 다른 점이 있지만 비슷하다.

『월인천강지곡』 상권은 성불(成佛)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교만심, 재물욕, 색욕 등을 버리게 하여 불법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석가모니의 설법 내용이 서술되었다. 그리고 삽화가 있어 석가모니와 여러 부처가 설법으로 중생을 가난, 죽음, 이산 등의 각종 고통에서 벗어나게 한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어 성불의 방법으로 보시와 효도가 제시되었고, 석가모니가 비록 열반했지만 그의 가르침은 항상 이 세상에 머무르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이와 같이 『월인천강지곡』에서는 불교의 위대함, 불교 교화를 통한 갈등의 해소, 불사의 필요성과 타당성, 도덕적 윤리 등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특히 성불의 방법으로 효행이 매우 강조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아직 『월인천강지곡』의 중권·하권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나마 『석보상절』에 끼인 낙장본과 『월인석보』에 실린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그 내용을 헤아릴 수 있지만,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다만 『석보상절』의 내용이 『월인석보』에 실리면서 많이 수정된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일부 주석, 독음 표기 등 몇 가지 외에는 거의 그대로 수록되었기 때문에 『월인석보』를 통한 내용의 복원에는 용이한 편이다.

5 『월인천강지곡』의 사료적 가치

『월인천강지곡』은 『용비어천가』와 함께 가장 오래된 국문시가로, 수려한 한글 문체로 어우러져 있다. 또한 최초의 한글 금속활자본이다. 이에 불교사상사, 국문학, 서지학 등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