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9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 제5장 전통 사회의 패션 리더들
  • 1. 전통 사회라고 유행이 없었을까
  • 위에서 아래로
이민주

유행 전파 이론의 고전적 견해는 유행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수직 이동, 확산된다고 하는 하향 전파설(downward-flow theory)이다. 하나의 스타일이 진정한 유행이 되기 위해서는 가장 높은 계층에서 먼저 채택하고, 낮은 계층에서 점차 모방함으로써 확산된다는 이론이다.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유행은 상류 계층에서 시작되어 하류 계층으로 전파되어 왔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경제적 여건상 소득의 여유를 가진 사람이 상류 계층에 한정되었으며 하류 계층은 유행에 대한 관심도 낮았고 모방 수단도 갖고 있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류 계층은 우월한 지위에 대한 상징으로 하류 계층과 구별되는 패션을 시도하였으며, 하류 계층은 계층 상승의 욕구 때문에 상류 계층의 상징인 패션을 모방하였다. 그러나 하류 계층의 모방으로 구별이 불가능해진 상류 계층은 새로운 패션을 시도하고 이러한 모방과 구별 추구의 행동은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전통 사회에서 새로운 것을 가장 먼저 선택하는 사람은 왕족이었다. 그래서 사대부들은 왕족을, 중간 계층은 사대부를 모방하고자 하였다. “서민들의 화려한 비단옷은 참람하게 경상(卿相)과 견주고 궁가(宮家)의 양식이라 하며 앞 다투어 모방하였다.”263)『정조실록』 권10, 정조 4년 10월 계해.고 한 것에서 유행은 궁가의 양식을 모방하는 것에서 출발하였으며, 사치가 밑바탕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