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09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 제5장 전통 사회의 패션 리더들
  • 5. 조선의 커리어우먼, 기생
  • 더 짧게 더 좁게, 극단의 저고리
이민주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나라의 복식 구조는 1537년(중종 32)을 전후하여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기 시작하였다. 그 후 조선 후기로 들어오면서 기생을 중심으로 그 길이는 극도로 짧아져 도련 밑으로 허리 말기와 겨드랑이는 물론 심지어 젖가슴도 보였다. 게다가 저고리의 품과 소매통도 좁아졌다.

이익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당시 저고리의 변화를 복요(服妖)로 인식하고 금지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덕무 또한 당시 저고리의 극단을 안타까워하고 있음을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다.

확대보기
미인도
미인도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미인도
미인도
팝업창 닫기

지금 세상의 부녀들의 옷은 저고리는 너무 짧고 좁으며,…… 새로 생긴 옷을 시험 삼아 입어 보았더니 소매에 팔을 꿰기가 몹시 어려웠고, 한 번 팔을 구부리면 솔기가 터졌으며, 심한 경우에는 간신히 입고 나서 조금 있으면 팔에 혈기가 통하지 않아 살이 부풀어 벗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소매를 째고 벗기까지 하였으니 어찌 그리도 요망스런 옷일까.322)이덕무, 『청장관전서』 권30, 소사절, 제6 복식.

여성들의 저고리가 극도로 짧아지고 좁아지는 중심에 왜 기생들이 있었을까? 그것은 기생이 내외법에 가려 감추어진 인물로 살아가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생활과는 정반대의 길을 걷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긴 저고리는 오랜 기간 계속 착용하면서 사회의 규범으로 정착되었고 정숙성의 기준이 되었다. 그러나 관습적으로 가려지던 부위는 이성으로 하여금 강한 성적 매력을 느끼게 하고, 기생의 짧아지고 좁아진 저고리는 새롭게 감추던 것을 백일하에 드러내 놓음으로써 매력과 쾌락을 제공하게 되었다. 기생들은 짧고 좁아진 저고리를 통하여 지금까지 꽁꽁 묶어 놓았던 가슴을 드러내 놓고 몸매를 과시함으로써 단조로움에 의해 둔감해진 성적 충동을 자각시키고자 하였으며, 한 여성을 새롭게 매력적인 인간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이는 기생이라는 특수한 신분의 성적인 가치를 높여 에로티시즘을 자극하고자 하는 내면의 심리가 표현된 것이다.

확대보기
밀회
밀회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