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1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 제3장 불교 사상과 신앙의 사회적 확대
  • 2. 불교 개혁의 시도와 좌절
  • 결사 불교의 등장과 발전
  • 요세와 백련사
최연식

천태종의 백련 결사(白蓮結社)는 요세(了世, 1163∼1245)가 시작하였다. 요세는 신번현(新繁縣, 합천 지역)의 호장(戶長) 집안 출신으로 12세에 고향의 천태종 사찰에서 출가한 후 23세 되던 1174년(명종 4)에 승과에 합격하였 다. 그 후 여러 사찰을 돌아다니며 천태학을 수학하던 중 1198년(신종 원년) 개경의 고봉사(高峯寺)에서 개최된 법회에 참석하였다가 실망하고서 뜻을 같이하는 동료와 함께 신앙 결사를 만들 생각을 하였다. 이때 팔공산에서 정혜 결사를 시작한 지눌이 그에게 글을 보내어 참여를 권유하자 동료와 함께 참여하여 참선 수행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참선 수행으로 만족하지 못하여 지눌이 송광산으로 옮길 때에 동행하지 않았으며, 1208년(희종 4) 월출산에 머물 때에 문득 “천태의 묘해(妙解)에 의지하지 않으면 수행의 120병(病)을 어찌할 수 없다.”고 한 영명 연수의 말을 생각하고서 천태의 법화 신앙에 의한 수행을 결심하였다. 이후 근처의 만덕산(萬德山)으로 옮긴 그는 1216년(고종 3)에 백련 결사를 결성하고 1239년(고종 19)에는 그곳에 보현 도량을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천태 신앙에 기초한 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백련 결사는 천태종의 법화 신앙과 정토 신앙에 기초한 신앙 결사였다. 백련 결사의 중심이 된 보현 도량은 법화삼매를 닦아 정토왕생을 희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는데, 구체적인 수행법은 천태 지자가 스승인 남악 혜사(南岳慧思)의 가르침을 체계화한 『법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의 내용에 의거하였다. 요세 스스로 이에 의거하여 매일 선관(禪觀)을 닦는 여가에 『법화경』 전체를 독송하고, 준제다라니(準提陀羅尼) 1,000번과 아미타불 10,000번을 염송하며, 53체불(體佛)을 12번씩 돌며 전생의 업장을 참회하는 수행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실천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서참회(徐懺悔)’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요세는 이와 함께 천태 지자의 대표 저술인 『마하지관(摩訶止觀)』, 『법화현의(法華玄義)』, 『법화문구(法華文句)』의 강요를 뽑아서 정리한 『삼대부절요(三大部節要)』를 편찬하여 천태 교학을 선양하였고, 또한 천태 지자의 『관무량수경소(觀無量壽經疏)』에 북송의 사명 지례(四明知禮)가 주석을 붙인 『묘종초(妙宗抄)』를 즐겨 강의하며 교화하였는데, 그 내용은 천태의 지관에 기초한 정토 염불 신앙이었다. 이와 같이 요세의 백련 결사는 천태 교학에 기초하면서 정토 염불 신앙을 중시하였는데, 이는 정토 신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북송대 천태종의 신앙 경향과 통하는 것이었다.

한편, 요세는 지눌이 주재한 정혜 결사에도 참여하였기 때문에 선에도 이해가 깊었지만 경전과 계율을 무시하고 참선만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는 의천의 선종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 통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요세는 자신의 사상적 계보를 이야기할 때에 의천 이래의 고려 천태종의 흐름은 그다지 중시하지 않았다. 이는 의천대의 천태종이 참회 행법이나 정토 신앙과 같은 구체적 실천 신앙을 중요시하지 않았기 때문인 듯하다.

백련 결사는 처음에는 만덕산이 있는 강진 지역의 호장층이 주된 후원자였지만 결사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점차 중앙 관료도 관심을 갖고 참여하게 되었다. 1221년(고종 8)에 남원 태수로 있던 복장한(卜章漢)은 남원 지역에 제2 백련사를 개창하도록 요청하였고,186)최자 찬,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 1236년(고종 23)에는 상주 목사로 있던 최자(崔滋)가 상주 지역에 백련사를 따르는 미면사(米麵寺, 후대의 동백련사)를 설치하였다.187)천책(天), 『만덕산백련사제사세진정국사호산록(萬德山白蓮社第四世眞淨國師湖山錄)』 권하, 「유사불산기(遊四佛山記)」. 또 고위 관료인 이세재(李世材)는 백련사에 참여하면서 『법화경』 1,000여 부를 조판하여 널리 유포시켰다. 최씨 정권도 백련사에 관심을 갖고 후원하기 시작하였다. 최충헌의 부인이 백련사에 무량수불을 봉안하고, 최우는 보현 도량에서 『법화경』을 간행하게 하고 그 발문을 직접 지었다. 백련사에 대한 중앙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세에게는 1237년(고종 24) 선사의 승계가 주어졌다.188)최자 찬,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 처음 수선사에 관심을 갖고 후원하였던 최씨 정권은 비슷한 결사 운동을 하는 백련사에도 관심을 보였지만 후원의 정도는 수선사에 비하여 약하였다.

요세 이후 백련사는 제자인 천인(天因, 1205∼1248)과 천책(天, 1206∼?) 등이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천인과 천책은 모두 성균관에서 공부한 유학자 출신이었는데, 1228년(고종 15)에 함께 요세의 문하에 출가하였다. 천인은 출가 직후 수선사로 가서 혜심으로부터 참선을 배운 후 다시 백련사로 돌아 와 요세의 법화 신앙을 충실히 계승하고 요세 이후 백련사 제2세 사주가 되었다. 보현 도량에서 법화참법에 의한 정토 신앙을 실천한 그는 마음이 곧 정토이며, 이를 밝히는 길은 법화 신앙에 의지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천책은 과거에 합격하여 관직 임명을 기다리던 중 윗사람의 지시로 『법화경』을 베껴 쓰다가 발심하여 출가하였다. 그는 요세의 명으로 보현 도량을 개창할 때 그 발원소를 지었고 1236년(고종 23)에는 백련결사문을 지어 백련 결사의 의의를 드러내었다. 1244년(고종 31)에 최자의 초청으로 상주 동백련사의 제1세 사주로 갔다가 이후 백련사 제4세 사주를 맡았다.189)선종의 입장에서 교학 불교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의 저자 역시 천책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사상적 경향으로 볼 때 백련사의 천책과는 별개의 인물로 생각되고 있다. 후대에 다른 사람이 천책의 이름을 이용하였거나 같은 이름을 가진 선종 승려가 지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련사에 관인과 유학자가 관심을 갖게 된 배경에는 유학자 출신인 천인과 천책의 출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천인과 천책 이후 백련사는 그 제자들이 계승하여 발전시키면서 수선사와 함께 무신 집권기의 불교계를 대표하는 신앙 단체로서 위상을 확립해 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