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16권 장시에서 마트까지 근현대 시장 경제의 변천
  • 제3장 개항기 상업 발달과 대외 무역
  • 2. 개항장의 발달과 도시의 거상들
  • 개항장 중심의 시장권 형성과 상품 유통
오성

부산은 개항 전부터 원격지 유통과 상인 자본의 성장에 따라 주변 지역뿐만 아니라 함경도와 서해안 지역까지 포함하는 시장권을 이루어 확대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부산에서는 대외 무역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고, 국내 각지와의 교역도 외국 무역의 성장과 국내 분업과 관련된 원거리 유통이 지속적으로 진전되면서 개항장으로서의 기능과 상품 유통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었다. 특히 경부 철도가 개통되면서 내륙의 상품 생산지도 부산의 시장권에 새롭게 편입되어 거래되는 상품의 양과 종류가 더욱 다양해졌다.

부산의 시장권을 통해 거래되었던 품목 중 곡물은 해로를 통하여 함경, 강원, 경상, 전라 지역으로 이출되었는데 함경도로 이출된 양이 가장 많았다. 곡물 가운데에는 미곡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콩이 그 뒤를 잇고 있었다. 콩은 거의 전량 수출되었다. 이 밖에도 보리, 밀, 조 등이 외국과의 교역용 또는 국내 소비용으로 이출되거나 이입되었다.

인천의 시장권은 개항 후 수년 사이에 경기도를 기점으로 전국 각지로 확대되어 갔다. 인천의 국내 교역 성장은 최대 시장인 서울과 유기적 관련을 맺으면서 이루어졌다. 또한 인천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상품 유통망과 유통량을 활용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개항장으로서 외국 시장이라는 거대한 수요와 선진적 생산에 기반을 둔 공급의 뒷받침을 받고 있었다.

확대보기
부산항
부산항
팝업창 닫기

개항장에는 외국 상인이 상주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국의 상인과 주민들이 이주해 와 상업 자본이 집중되면서 상품의 유통과 집적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 형성되고 있었다. 또한 개항장에는 근대적 수송 수단, 금융 기관, 통신 설비가 정비되어 더욱 효과적인 상업 활동과 유통 조직의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진남포, 목포, 군산 등지가 개항하면서 기존 서해 연안과의 시장권은 축소되었지만 주변의 내륙 지방으로는 한층 확대, 심화되었다. 하지만 경부 철도가 개통되면서 내륙에서의 직접적 교역이 발달하자 인천의 시장권이 축소되기 시작하였고, 1907년경에는 국내 교역이 격감하였고, 외국과의 무역도 1908년 이래 감소 추세가 되었다.137) 이헌창, 『개항기 시장 구조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0, pp.58∼61.

요컨대 근대적 유통 조직의 정비와 거대한 외국 시장으로부터의 수요와 공급의 확대와 함께 개항장 시장권은 계속 확대, 심화되어 갔다. 각 도의 해안마다 하나둘씩 교두보를 확보하여 전국을 에워싼 형세로 내지 곳곳을 공략하였던 것이다. 지역적인 면에서 볼 때 인천과 부산은 각기 몇 개의 도를 시장권에 편입시키고 있었고, 그 밖의 개항장들은 하나 내지 두 개의 도를 장악하고 있었다. 국내 교역과 외국 무역을 통하여 상호 연계된 개항장 시장권을 모두 합할 때는 거의 전국적인 범위를 포괄하였다고 보아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확대보기
제물포항
제물포항
팝업창 닫기

원산도 인천과 진남포의 개항으로 시장권이 지역적으로 축소되는 현상을 보였지만, 함경도뿐만 아니라 강원도, 경상도의 포구와 거래 관계를 가졌고 해가 갈수록 각 포구의 거래액이 증가하였다. 전라도를 배후지로 하는 목포와 군산도 러일 전쟁 전에 이미 외국 무역액이 100만 원을 넘어설 정도로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하였다.

확대보기
원산 전경
원산 전경
팝업창 닫기

개항장 시장권의 확대가 가장 두드러졌던 지역은 진남포의 개항에 따른 평안도 북부 지방이었다. 진남포에서는 개항 이듬해인 1898년까지 시장권이 그다지 확대되지 않다가 1901년경에는 평안북도 연안을 시장권에 편입하면서 점차 이 지역에서 산출되는 곡물을 흡수하였고 수입품의 판로도 확장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